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도로 노상주차 식별을 위한 Google Street View API와 딥러닝 모형의 적용 = Application of Google Street View API and Deep Learning for Detection of Street Parking on Community Ro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6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trained and validated a deep learning model that identifies street parking on the streets of Seoul by utilizing the street view images obtained through the Google Street View API. We derived the final model which shows highest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among models with variation of the number of training iterations. The final model shows 75.68%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for all object types and 82.07% for street parking vehicles.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introduces improved data collection method of street parking data in terms of time and monetary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ield survey. Also this study applies the deep learning using street view image on the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for the urban planning and spatial analysis field.
      번역하기

      This study has trained and validated a deep learning model that identifies street parking on the streets of Seoul by utilizing the street view images obtained through the Google Street View API. We derived the final model which shows highest accuracy ...

      This study has trained and validated a deep learning model that identifies street parking on the streets of Seoul by utilizing the street view images obtained through the Google Street View API. We derived the final model which shows highest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among models with variation of the number of training iterations. The final model shows 75.68%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for all object types and 82.07% for street parking vehicles.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introduces improved data collection method of street parking data in terms of time and monetary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ield survey. Also this study applies the deep learning using street view image on the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for the urban planning and spatial analysis fie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Google Street View API를 통해 취득한 가로 이미지를 활용하여 서울시 생활도로의 노상주차를 식별하는 모형을 학습 및 검증하였다. 다양한 반복학습 횟수에 따른 모형들의 정확도를 검증하여 최종모형으로 도출하였으며, 최종 모형은 모든 객체 유형에 대해 약 75.68%, 노상주차 차량에 대해 약 82.07%의 객체 탐색 정확도를 나타낸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주로 현장조사에 의존해 진행되어, 시간과 금전적 비용이 많이 필요하던 노상주차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을 보완하였다는 점과, 딥러닝 모형을 공간분석 및 도시 계획 분야의 공간정보 수집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Google Street View API를 통해 취득한 가로 이미지를 활용하여 서울시 생활도로의 노상주차를 식별하는 모형을 학습 및 검증하였다. 다양한 반복학습 횟수에 따른 모형들의 정확도를 ...

      본 연구는 Google Street View API를 통해 취득한 가로 이미지를 활용하여 서울시 생활도로의 노상주차를 식별하는 모형을 학습 및 검증하였다. 다양한 반복학습 횟수에 따른 모형들의 정확도를 검증하여 최종모형으로 도출하였으며, 최종 모형은 모든 객체 유형에 대해 약 75.68%, 노상주차 차량에 대해 약 82.07%의 객체 탐색 정확도를 나타낸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주로 현장조사에 의존해 진행되어, 시간과 금전적 비용이 많이 필요하던 노상주차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을 보완하였다는 점과, 딥러닝 모형을 공간분석 및 도시 계획 분야의 공간정보 수집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일, "생활도로에서의 교통행태와 교통사고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36 (36): 97-104, 2016

      2 이호준, "근린의 도로 네트워크 구조와 보행자 교통사고의 연관성분석: 서울시 TAAS (2012~2014)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141-161, 2017

      3 Yin, L., "‘Big data’ for pedestrian volume: exploring the use of Google Street View images for pedestrian counts" 63 : 337-345, 2015

      4 Redmon, J., "YOLOv3: an incremental improvement"

      5 Gebru, T., "Using deep learning and Google Street View to estimate the demographic makeup of the us"

      6 Rundle, A. G., "Using Google Street View to audit neighborhood environments" 40 (40): 94-100, 2011

      7 Hanson, C. S., "The severity of pedestrian crashes: an analysis using Google Street View imagery" 33 : 42-53, 2013

      8 Everingham, M., "The pascal visual object classes (voc) challenge" 88 (88): 303-338, 2010

      9 Lee, S., "Role research of autonomous district for securing walk space of community road" The Seoul Institute 1-83, 2017

      10 Oh, I. S., "Machine learning" Hanbit Academy, Inc 194-221, 2017

      1 이수일, "생활도로에서의 교통행태와 교통사고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36 (36): 97-104, 2016

      2 이호준, "근린의 도로 네트워크 구조와 보행자 교통사고의 연관성분석: 서울시 TAAS (2012~2014)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141-161, 2017

      3 Yin, L., "‘Big data’ for pedestrian volume: exploring the use of Google Street View images for pedestrian counts" 63 : 337-345, 2015

      4 Redmon, J., "YOLOv3: an incremental improvement"

      5 Gebru, T., "Using deep learning and Google Street View to estimate the demographic makeup of the us"

      6 Rundle, A. G., "Using Google Street View to audit neighborhood environments" 40 (40): 94-100, 2011

      7 Hanson, C. S., "The severity of pedestrian crashes: an analysis using Google Street View imagery" 33 : 42-53, 2013

      8 Everingham, M., "The pascal visual object classes (voc) challenge" 88 (88): 303-338, 2010

      9 Lee, S., "Role research of autonomous district for securing walk space of community road" The Seoul Institute 1-83, 2017

      10 Oh, I. S., "Machine learning" Hanbit Academy, Inc 194-221, 2017

      11 Diakakis, M., "Identifying elements that affect the probability of buildings to suffer flooding in urban areas using Google Street View: a case study from Athens metropolitan area in Greece" 22 : 1-9, 2017

      12 Long, Y., "How green are the streets? An analysis for central areas of Chinese cities using Tencent Street View" 12 (12): e0171110-, 2017

      13 김성재, "GIS를 이용한 화재진압 취약성 지도 제작 -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사례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11-20, 2015

      14 Buduma, N., "Fundamentals of deep learning" Hanbit Media, Inc 105-126, 2017

      15 Kang, J., "Building instance classification using street view images" 145 : 44-59,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KCI등재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 대한공간정보학회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 -> 한국공간정보학회
      영문명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Of Korea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1 0.94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