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용도 관점의 도시 생활권 공원 평가 및 영향 요인 연구: 부산광역시 생활권 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Park and Analysis of Its Influencing Factors Focusing on Park Use: Focused on Urban Park in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39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Busan’s urban parks in terms of use frequency and to derive key variables that affect the use frequency in order to prepare effective measures for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The final 144 urban parks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2019 monthly floating population among the 464 urban parks in Busan. The variables affecting park use were finally selected as ‘Population Density’, ‘Park size’, ‘Slope’, ‘Elevation’, ‘Public Transportation Access’, and ‘Nearby Park Access’,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 park with the highest number in terms of park use was analyzed as ‘APEC Naru Park’, and ‘Busan Citizens Park’, and ‘Hwamyeong Arboretum’ were recorded hig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k use and the other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wider the park size and the better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the more the public can sue the par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in providing public spaces (park, community space, etc.) that citizen can perceive its value and us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Busan’s urban parks in terms of use frequency and to derive key variables that affect the use frequency in order to prepare effective measures for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The final 144 urban parks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Busan’s urban parks in terms of use frequency and to derive key variables that affect the use frequency in order to prepare effective measures for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The final 144 urban parks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2019 monthly floating population among the 464 urban parks in Busan. The variables affecting park use were finally selected as ‘Population Density’, ‘Park size’, ‘Slope’, ‘Elevation’, ‘Public Transportation Access’, and ‘Nearby Park Access’,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 park with the highest number in terms of park use was analyzed as ‘APEC Naru Park’, and ‘Busan Citizens Park’, and ‘Hwamyeong Arboretum’ were recorded hig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k use and the other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wider the park size and the better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the more the public can sue the par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in providing public spaces (park, community space, etc.) that citizen can perceive its value and us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용도의 관점에서 부산시 도심 생활권 공원을 평가하고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 조성된 부산시 내 도심 생활권 공원 464개소 중 2019년 월별 유동인구 수를 고려하여 최종 144개소의 생활권 공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공원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인구 밀도’, ‘공원 면적’, ‘경사도’, ‘표고’, ‘대중교통 접근성’, ‘인접 공원 접근성’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 수행을 통해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공원 이용도 관점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공원은 ‘APEC 나루공원’으로 분석되었으며, ‘부산시민공원’과 ‘화명 공립 수목원’도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이용도와 변수들의 영향 관계에서는 공원 면적이 넓을수록, 대중교통과의 접근성이 개선될수록 대중들의 공원 이용도는 증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 자원 조성 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이용도의 관점에서 부산시 도심 생활권 공원을 평가하고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 조성된 부산시 내 도심 생활권 공원 464개소 중 2...

      본 연구는 이용도의 관점에서 부산시 도심 생활권 공원을 평가하고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 조성된 부산시 내 도심 생활권 공원 464개소 중 2019년 월별 유동인구 수를 고려하여 최종 144개소의 생활권 공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공원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인구 밀도’, ‘공원 면적’, ‘경사도’, ‘표고’, ‘대중교통 접근성’, ‘인접 공원 접근성’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 수행을 통해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공원 이용도 관점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공원은 ‘APEC 나루공원’으로 분석되었으며, ‘부산시민공원’과 ‘화명 공립 수목원’도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이용도와 변수들의 영향 관계에서는 공원 면적이 넓을수록, 대중교통과의 접근성이 개선될수록 대중들의 공원 이용도는 증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 자원 조성 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영, "현대 공공공간의 새로운 가능성 고찰" 한국지리학회 6 (6): 455-463, 2017

      2 문윤석, "헤도닉 가격기법을 이용한 도시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 경관가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지호, "조건부가치추정법(CVM)을 이용한 신도시 중앙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99-214, 2004

      4 구자훈,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일몰제 대응 공(功)과 과(過)" 447 : 3-11, 2019

      5 성현찬, "이용자 의식조사를 통한 도시공원 내 시설 평가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6 (16): 363-372, 2007

      6 이종헌, "시민의식 조사에 의한 부천시 공원·녹지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7 장민숙, "수변공원의 이용 만족도 평가" 한국조경학회 38 (38): 41-52, 2010

      8 "소상공인 마당"

      9 장규진, "서울시 마포구 생활공원을 통해 본 공공시설의 종합적 가치 평가" 고려대학교 2018

      10 김용국,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평가 및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6 (16): 133-149, 2015

      1 김미영, "현대 공공공간의 새로운 가능성 고찰" 한국지리학회 6 (6): 455-463, 2017

      2 문윤석, "헤도닉 가격기법을 이용한 도시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 경관가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지호, "조건부가치추정법(CVM)을 이용한 신도시 중앙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99-214, 2004

      4 구자훈,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일몰제 대응 공(功)과 과(過)" 447 : 3-11, 2019

      5 성현찬, "이용자 의식조사를 통한 도시공원 내 시설 평가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6 (16): 363-372, 2007

      6 이종헌, "시민의식 조사에 의한 부천시 공원·녹지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7 장민숙, "수변공원의 이용 만족도 평가" 한국조경학회 38 (38): 41-52, 2010

      8 "소상공인 마당"

      9 장규진, "서울시 마포구 생활공원을 통해 본 공공시설의 종합적 가치 평가" 고려대학교 2018

      10 김용국,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평가 및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6 (16): 133-149, 2015

      11 조수찬, "상상 어린이 공원 내 시설물 디자인의안전성 평가" 2014 (2014): 395-398, 2014

      12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13 홍지선, "미집행 도시공원의 현황과 집행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강릉시를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1

      14 이상민, "미집행 도시공원 관리체계 및 제도 개선 제안" 106 : 2015

      15 이기철, "미개발 근린공원의 개발 우선순위 결정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29 (29): 80-91, 2001

      16 구민아, "도심공원 이용 후 평가를 통한 이용 만족도와 이미지 평가 -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6 (46): 11-20, 2018

      17 황재웅, "도시공원의 이산화탄소저감 효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숲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18 강용길, "도시공원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셉테드학회 2 (2): 1-17, 2011

      19 김은영,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측정가능성 검토"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6 (26): 227-241, 2017

      20 김형준,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정성 평가" 한국조경학회 39 (39): 18-27, 2011

      21 강정은,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른 생태네트워크 변화 분석: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7 (27): 618-634, 2018

      22 강석점, "도시공원 일몰제에 대한 법적 개선방안 연구" 법학연구소 (80) : 141-176, 2018

      23 김현, "도시공원 이용권 분석을 통한 수원시 공원서비스의 적정성 평가" 한국조경학회 43 (43): 114-124, 2015

      24 국토교통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2019년 12월 10일 일부개정)"

      25 국토교통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2020년 5월 8일 일부개정)"

      26 김소연, "도시공원 다기능 효율성 지표를 활용한 미집행 보전 및 해제 우선순위 평가" 서울대학교 2019

      27 이우성, "도시공간의 통합적 녹지환경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7 (17): 15-31, 2014

      28 윤요선, "농촌 산업단지 내 근린공원의 이용실태 및 시설 평가 연구- 천안 제 4지방산업단지 내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5 (15): 63-70, 2013

      29 이슬기, "근린생활권의 물리적 환경이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를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5-22, 2013

      30 이경주, "근린공원 입지계획지원을 위한 공급적정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63 : 107-122, 2009

      31 "국가공간정보포털"

      32 이형숙, "구도심 지역 공원 서비스 현황과 노인의 공원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67-676, 2019

      33 반영운, "공원조성 압력지수를 이용한 공원개발 우선순위 선정 - 청주시 도심 미개발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7 (37): 1-11, 2009

      34 엄영숙, "공원일몰제 시행과 도시녹지 서비스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선호측정: 아파트 실거래 기반 헤도닉가격접근법을 적용하여" 한국환경경제학회 28 (28): 61-93, 2019

      35 김은정, "공급적정성 평가를 활용한 신규 도시공원 입지 분석: 경기도 시흥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9 (19): 87-102, 2016

      36 박준범,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8 (8): 289-303, 2019

      37 노정민, "거리에 따른 도시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와 영향요인의 변화"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143-154, 2012

      38 김영하, "가상평가법(CVM)에 의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시 APEC기념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2 (42): 19-32, 2014

      39 Karanikola, P., "Weekend visitor’s views and perceptions at an urban national forest park of Cyprus during summertime" 17 : 112-121, 2017

      40 Donahue, M. L., "Using social media to understand drivers of urban park visitation in the Twin Cities, MN" 175 : 1-10, 2018

      41 Brown, G., "Using participatory GIS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and urban park benefits" 121 : 34-44, 2013

      42 Lyu, F., "Using multi-source big data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urban park use in Wuhan" 43 : 126367-, 2019

      43 Du, M., "Urban greening : A new paradox of economic or social sustainability?" 92 : 1-11, 2020

      44 Bahrini, 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and use pattern of parks and their spatial accessibility at the city level : A case study from Tehran, Iran" 27 : 332-342, 2017

      45 Thani, S. K., "Surveillance by design : Assessment using principles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in urban parks" 234 : 506-514, 2016

      46 Glennon, M. J., "Size of the ecological effect zone associated with exurban development in the Adirondack Park, NY" 112 : 10-17, 2013

      47 Zavadskas, E. K., "Safety evaluation methodology of urban public parks b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189 : 372-381, 2019

      48 Edmundas, K. Z., "Safety evaluation methodology of urban public b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189 : 372-381, 2019

      49 Zhang, S., "Recreational visits to urban parks and factors affecting park visits : Evidence from geotagged social media data" 180 : 27-35, 2018

      50 Li, C., "Quality of life: The perspective of urban park recreation in three Asian cities" 29 : 100260-, 2020

      51 Chang, Z.,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spatial inequality of urban park accessibility : New evidence from Hong Kong" 76 : 111-122, 2019

      52 Ambrey, C., "Public greenspace and life satisfaction in urban Australia" 51 (51): 1290-1321, 2014

      53 윤혜연, "LQ지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충청권 사회혁신기업의 입지분포 특성 분석" 한국지리학회 8 (8): 95-108, 2019

      54 Rigolon, A., "Inequities in the quality of urban park systems : An environmental justice investigation of cities in the United States" 178 : 156-169, 2018

      55 Lin, I., "Examining the economic impact of park facilities on neighboring residential property values" 45 : 322-331, 2013

      56 Mexia, T., "Ecosystem services : Urban parks under a magnifying glass" 160 : 469-478, 2017

      57 Garrod, G., "Economic Valuation of the Environment: Methods and Case Studies" Edward Elagar 1999

      58 Brown, R. D., "Desinging urban parks that ameliorat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138 : 118-131, 2015

      59 Milline, R., "Carbon in the vegetation and soils of Great Britain" 49 (49): 413-433, 1997

      60 Greg, B., "An evaluation of participatory mapping methods to assess urban park benefits" 178 : 18-31, 2018

      61 Xiao, Y., "An assessment of urban park access in Shanghai-Implications for the social equity in urban China" 157 : 383-393, 2017

      62 국토교통부, "20년 상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가이드라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 0.86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