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논고" 아카넷 2010
2 김옥희, "한국천주교 박해시대 교우촌 형성에 관한 사적 고찰1" 54 : 80-91, 1981
3 장동하, "한국 근대사와 천주교회" 가톨릭 출판사 2006
4 강석진, "초기 한국 교회 선조들의 공동체적 삶-박해시기를 중심으로" 4 (4): 15-18, 2011
5 이원희, "천주교 집회장소의 변화양상 -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9) : 275-305, 2012
6 이태원 ; 김원동, "지역정체성의 다차원성과 결정요인 검증: 강원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5 (55): 3-37, 2016
7 김광억, "지방사와 지방문화" 2 : 9-41, 2000
8 조 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의 기초" 경인문화사 2010
9 조 광, "조선후기 사회와 천주교" 경인문화사 2010
10 이원희, "자료소개(資料紹介) : 『뮈텔주교일기』에 수록된 강원지역 교인촌 순방 기록" 15 : 159-173, 2010
1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논고" 아카넷 2010
2 김옥희, "한국천주교 박해시대 교우촌 형성에 관한 사적 고찰1" 54 : 80-91, 1981
3 장동하, "한국 근대사와 천주교회" 가톨릭 출판사 2006
4 강석진, "초기 한국 교회 선조들의 공동체적 삶-박해시기를 중심으로" 4 (4): 15-18, 2011
5 이원희, "천주교 집회장소의 변화양상 -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9) : 275-305, 2012
6 이태원 ; 김원동, "지역정체성의 다차원성과 결정요인 검증: 강원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5 (55): 3-37, 2016
7 김광억, "지방사와 지방문화" 2 : 9-41, 2000
8 조 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의 기초" 경인문화사 2010
9 조 광, "조선후기 사회와 천주교" 경인문화사 2010
10 이원희, "자료소개(資料紹介) : 『뮈텔주교일기』에 수록된 강원지역 교인촌 순방 기록" 15 : 159-173, 2010
11 이석원, "부엉골본당(1885~1896)의 설정과 변화 과정 연구"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11) : 177-211, 2014
12 조 광, "박해시대 공소의 탄생"
13 프랑수아 줄리앙, "문화적 정체성은 없다" 교유서가 2020
14 이광재, "문화의 세기와 강원문화" 한울 49-64, 2006
15 서희경,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역사적 기원 (1898-1919):만민공동회?3.1운동?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의‘민주공화’정체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0 (40): 139-163, 2006
16 안세현, "강원지역 천주교의 유입과 유교사회의 대응"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8 : 247-276, 2015
17 이원희, "강원지역 천주교사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18 이원희, "강원지역 교안(敎案 ; 1886 - 1910)의 발생배경과 성격" 인문과학연구소 (26) : 249-284, 2010
19 이원희, "강원도사, 9권 광복과 분단"
20 이원희, "강원도사, 8권 일제강점기"
21 이원희, "강원도사, 7권 근대"
22 이원희, "강원도사, 6권 조선후기"
23 여진천, "黃嗣永 帛書와 異本" 국학자료원 2003
24 이원희, "原州ㆍ橫城 지역의 천주교 전래와 정착 연구" 6 : 138-190, 2001
25 Jean Ladrière, "Vie Sociale et destinée" Duculot 1973
26 François Jullien, "Ressouces du Christianisme" L'Herne 2018
27 François Jullien, "Politique de la décoïncidence" L'Herne 2020
28 Maurice Merleau-Ponty,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1945
29 François Jullien, "Les transformations silencieuses" Grasset 2009
30 Maurice Blondel, "Le lien substantiel et La Substance composée d'après Leibniz" B. Nauwelaerts 1972
31 Leibniz, Chr. Fremont, "L'Etre et la Relation, avec Trente-cinq lettres de Leibniz au R.P. Des Bosses" Vrin 1981
32 Ch. Dallet, "Histoire de l’Eglise de Corée, t.1-2" Librairie Victor Palmé 1874
33 François Jullien, "Ce point obscur d'où tout a basculé" L’observatoire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