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과 장소의 경계-강원도 천주교와 문화 공동체- = Border between Region and Place: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and Cultural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9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region with a focus on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and discusses the way to research local culture and to promote it. Local culture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histor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reduced to a physical place. Although the physical basis of the region must be acknowledged, the visibility of the region functions as a material foundation that enables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o get the experiences of the imagination and emotional projection. A region is a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that opens the horizon of existence.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historicity of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Even if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appears to be merely a minor branch of history, it is in reality an individual totality through which the history of East-West relation and the Joseon Catholic penetrates.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having the reputation of the first religious village in Korea, represents a series of processes that reac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ungsuwon, passing through the ordeal of persecu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potential in Kyo-u-chon. On the other hand, as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connotes a risk of being sunk in the dilemma of cultural univers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it calls for the certain kinds of future values ​​and ethical attitudes related to local culture. In order to solve the dilemma of duality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cultural univers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this study proposes a cultural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resources, avoiding the concept of cultural identity. A cultural community is a kind of network that revitalizes various cultural resources and, therefore, expands their vitality by bringing them face to face. A cultural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resources has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cultural ecosystem because it is a dialogue community that summons and activates each cultural resource to each other.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region with a focus on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and discusses the way to research local culture and to promote it. Local culture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historical and emotional characteri...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region with a focus on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and discusses the way to research local culture and to promote it. Local culture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histor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reduced to a physical place. Although the physical basis of the region must be acknowledged, the visibility of the region functions as a material foundation that enables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to get the experiences of the imagination and emotional projection. A region is a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that opens the horizon of existence.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historicity of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Even if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appears to be merely a minor branch of history, it is in reality an individual totality through which the history of East-West relation and the Joseon Catholic penetrates.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having the reputation of the first religious village in Korea, represents a series of processes that reac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ungsuwon, passing through the ordeal of persecu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potential in Kyo-u-chon. On the other hand, as Gangwon province’s Catholicism connotes a risk of being sunk in the dilemma of cultural univers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it calls for the certain kinds of future values ​​and ethical attitudes related to local culture. In order to solve the dilemma of duality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cultural universalism and cultural relativism, this study proposes a cultural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resources, avoiding the concept of cultural identity. A cultural community is a kind of network that revitalizes various cultural resources and, therefore, expands their vitality by bringing them face to face. A cultural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resources has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cultural ecosystem because it is a dialogue community that summons and activates each cultural resource to each o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를 중심으로 지역의 개념적 의미를 살펴보고 지역문화의 연구 및 활성화 방안을 논구한다. 지역문화는 물리적 장소로 환원되지 않는 역사성과 정서적 특성을 통해 이해해야 한다. 지역의 물리적 기반은 당연히 인정되어야 하지만 지역의 가시성은 지역민과 방문자의 상상 및 정서적 투영을 가능케 하는 물적 토대로 기능한다. 지역은 실존의 지평을 여는 역사 문화 공간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의 역사성을 개관한다. 강원도 천주교는 일견 지엽적 역사의 산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동서교섭사 및 조선천주교사 전체가 그 안을 관통하는 일종의 개체적 전체이다. 한국 최초의 신앙촌이라는 위상을 가진 강원도 천주교는 박해기의 시련과 교우촌(敎友村)의 잠재력 강화를 거쳐 풍수원 본당으로 제도화되어가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다. 동시에 강원도 천주교는 중심과 주변의 이분법, 문화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의 딜레마에 매몰될 위험을 내포하는바 지역문화와 관련한 미래적 가치와 윤리적 태도를 요청한다. 중심과 주변의 이원성, 문화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의 딜레마를 해소하려는 차원에서 본 논문은 문화적 정체성 개념을 지양하고 문화의 자원 개념에 의거한 문화 공동체를 제안한다. 문화 공동체는 다양한 문화 자원을 서로 맞대면시킴으로써 서로를 활성화하고 생명력을 확장하는 문화 네트워크이다. 자원 개념에 기반한 문화 공동체는 각각의 문화 자원을 서로 소환하고 활성화하는 대화 공동체이기 때문에 문화 생태계를 강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를 중심으로 지역의 개념적 의미를 살펴보고 지역문화의 연구 및 활성화 방안을 논구한다. 지역문화는 물리적 장소로 환원되지 않는 역사성과 정서적 특성을 통해 ...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를 중심으로 지역의 개념적 의미를 살펴보고 지역문화의 연구 및 활성화 방안을 논구한다. 지역문화는 물리적 장소로 환원되지 않는 역사성과 정서적 특성을 통해 이해해야 한다. 지역의 물리적 기반은 당연히 인정되어야 하지만 지역의 가시성은 지역민과 방문자의 상상 및 정서적 투영을 가능케 하는 물적 토대로 기능한다. 지역은 실존의 지평을 여는 역사 문화 공간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의 역사성을 개관한다. 강원도 천주교는 일견 지엽적 역사의 산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동서교섭사 및 조선천주교사 전체가 그 안을 관통하는 일종의 개체적 전체이다. 한국 최초의 신앙촌이라는 위상을 가진 강원도 천주교는 박해기의 시련과 교우촌(敎友村)의 잠재력 강화를 거쳐 풍수원 본당으로 제도화되어가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다. 동시에 강원도 천주교는 중심과 주변의 이분법, 문화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의 딜레마에 매몰될 위험을 내포하는바 지역문화와 관련한 미래적 가치와 윤리적 태도를 요청한다. 중심과 주변의 이원성, 문화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의 딜레마를 해소하려는 차원에서 본 논문은 문화적 정체성 개념을 지양하고 문화의 자원 개념에 의거한 문화 공동체를 제안한다. 문화 공동체는 다양한 문화 자원을 서로 맞대면시킴으로써 서로를 활성화하고 생명력을 확장하는 문화 네트워크이다. 자원 개념에 기반한 문화 공동체는 각각의 문화 자원을 서로 소환하고 활성화하는 대화 공동체이기 때문에 문화 생태계를 강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논고" 아카넷 2010

      2 김옥희, "한국천주교 박해시대 교우촌 형성에 관한 사적 고찰1" 54 : 80-91, 1981

      3 장동하, "한국 근대사와 천주교회" 가톨릭 출판사 2006

      4 강석진, "초기 한국 교회 선조들의 공동체적 삶-박해시기를 중심으로" 4 (4): 15-18, 2011

      5 이원희, "천주교 집회장소의 변화양상 -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9) : 275-305, 2012

      6 이태원 ; 김원동, "지역정체성의 다차원성과 결정요인 검증: 강원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5 (55): 3-37, 2016

      7 김광억, "지방사와 지방문화" 2 : 9-41, 2000

      8 조 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의 기초" 경인문화사 2010

      9 조 광, "조선후기 사회와 천주교" 경인문화사 2010

      10 이원희, "자료소개(資料紹介) : 『뮈텔주교일기』에 수록된 강원지역 교인촌 순방 기록" 15 : 159-173, 2010

      1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논고" 아카넷 2010

      2 김옥희, "한국천주교 박해시대 교우촌 형성에 관한 사적 고찰1" 54 : 80-91, 1981

      3 장동하, "한국 근대사와 천주교회" 가톨릭 출판사 2006

      4 강석진, "초기 한국 교회 선조들의 공동체적 삶-박해시기를 중심으로" 4 (4): 15-18, 2011

      5 이원희, "천주교 집회장소의 변화양상 - 강원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9) : 275-305, 2012

      6 이태원 ; 김원동, "지역정체성의 다차원성과 결정요인 검증: 강원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5 (55): 3-37, 2016

      7 김광억, "지방사와 지방문화" 2 : 9-41, 2000

      8 조 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의 기초" 경인문화사 2010

      9 조 광, "조선후기 사회와 천주교" 경인문화사 2010

      10 이원희, "자료소개(資料紹介) : 『뮈텔주교일기』에 수록된 강원지역 교인촌 순방 기록" 15 : 159-173, 2010

      11 이석원, "부엉골본당(1885~1896)의 설정과 변화 과정 연구"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11) : 177-211, 2014

      12 조 광, "박해시대 공소의 탄생"

      13 프랑수아 줄리앙, "문화적 정체성은 없다" 교유서가 2020

      14 이광재, "문화의 세기와 강원문화" 한울 49-64, 2006

      15 서희경, "대한민국 건국헌법의 역사적 기원 (1898-1919):만민공동회?3.1운동?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의‘민주공화’정체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0 (40): 139-163, 2006

      16 안세현, "강원지역 천주교의 유입과 유교사회의 대응"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8 : 247-276, 2015

      17 이원희, "강원지역 천주교사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18 이원희, "강원지역 교안(敎案 ; 1886 - 1910)의 발생배경과 성격" 인문과학연구소 (26) : 249-284, 2010

      19 이원희, "강원도사, 9권 광복과 분단"

      20 이원희, "강원도사, 8권 일제강점기"

      21 이원희, "강원도사, 7권 근대"

      22 이원희, "강원도사, 6권 조선후기"

      23 여진천, "黃嗣永 帛書와 異本" 국학자료원 2003

      24 이원희, "原州ㆍ橫城 지역의 천주교 전래와 정착 연구" 6 : 138-190, 2001

      25 Jean Ladrière, "Vie Sociale et destinée" Duculot 1973

      26 François Jullien, "Ressouces du Christianisme" L'Herne 2018

      27 François Jullien, "Politique de la décoïncidence" L'Herne 2020

      28 Maurice Merleau-Ponty,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1945

      29 François Jullien, "Les transformations silencieuses" Grasset 2009

      30 Maurice Blondel, "Le lien substantiel et La Substance composée d'après Leibniz" B. Nauwelaerts 1972

      31 Leibniz, Chr. Fremont, "L'Etre et la Relation, avec Trente-cinq lettres de Leibniz au R.P. Des Bosses" Vrin 1981

      32 Ch. Dallet, "Histoire de l’Eglise de Corée, t.1-2" Librairie Victor Palmé 1874

      33 François Jullien, "Ce point obscur d'où tout a basculé" L’observatoire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