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소득원을 중심으로 =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Koreans -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come sourc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2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Koreans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come sources. To this end, the study used the data of the 6th year (2016)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Koreans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come sources. To this end, the study used the data of the 6th year (2016)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or data analysis, the study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e's pos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a sample of 4,550 older Koreans aged 65 years and over. The study found that in terms of socio-characteristics, factors such as gender, age, spouse presence, education level, and number of chronic disea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older Koreans.
      Regarding income sources, only labor incom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for the study population. However,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urces of retirement income at the same time, only gender, social security income, and labor incom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epare specific policy alternatives by presenting policy-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Korea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후 주요 소득원이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6차년도(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후 주요 소득원이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6차년도(2016)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550명을 표본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사후검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있어서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만성질환 개수와 같은 요인이, 소득원에 있어서는 근로소득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후소득원을 동시에 고려한 다중회귀분석에 있어서는 성별, 사회보장소득, 그리고 근로소득만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재희, "한국인 만성 질환과 건강 관련 삶의 질" 대한류마티스학회 11 (11): 263-274, 2004

      2 정영해, "한국 전·후기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과 성별 차이"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9 (39): 176-186, 2014

      3 박영신,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1-195, 2006

      4 정진영, "특광역시와 군지역 거주 노인의 경제적 요인과 자살생각 : 2009년, 2013년,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기반으로"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5 (45): 117-129, 2019

      5 송현주, "중고령자의 공적연금 수급과 삶의 질" 222-243, 2018

      6 김은영, "중고령자 은퇴 전후 소득과 삶의 만족도 변화" 2016 (2016): 11-17, 2016

      7 김대환,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 :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중심으로"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2 (22): 97-123, 2011

      8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9 유광자, "전기 남성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 요인" 4 (4): 55-66, 2012

      10 정순둘,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49-272, 2012

      1 윤재희, "한국인 만성 질환과 건강 관련 삶의 질" 대한류마티스학회 11 (11): 263-274, 2004

      2 정영해, "한국 전·후기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과 성별 차이"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9 (39): 176-186, 2014

      3 박영신,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1-195, 2006

      4 정진영, "특광역시와 군지역 거주 노인의 경제적 요인과 자살생각 : 2009년, 2013년,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기반으로"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5 (45): 117-129, 2019

      5 송현주, "중고령자의 공적연금 수급과 삶의 질" 222-243, 2018

      6 김은영, "중고령자 은퇴 전후 소득과 삶의 만족도 변화" 2016 (2016): 11-17, 2016

      7 김대환,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 :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중심으로"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2 (22): 97-123, 2011

      8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9 유광자, "전기 남성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 요인" 4 (4): 55-66, 2012

      10 정순둘,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49-272, 2012

      11 김성아, "연령대별 삶의 만족 영향요인 분석과 정책 과제" 270 : 95-104, 2019

      12 서홍란,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행위의 조절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57-84, 2013

      13 장항채, "소득유형과 고령자 삶의 만족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 (20): 23-46, 2018

      14 석재은, "세대별 노후부양관의 차이와 영향 요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39-163, 2009

      15 박기남, "성별. 지역별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2): 5-34, 2005

      16 김혜연, "성별 및 연령 집단별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well-being)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24 (24): 47-72, 2020

      17 김연명, "빈곤완화 효과를 통해서 본 기초연금의 정책목표 설정"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89-112, 2017

      18 김지훈, "베이비붐 세대의 가구소득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동남권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1) : 1-24, 2014

      19 남상권, "만성질환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 만성질환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196-221, 2011

      20 김용숙, "만성질환 노인의 통증이 기억기능, 일상신체활동, 수면장애에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로 한 경우" 한국노인간호학회 16 (16): 59-67, 2014

      21 이성은, "만성질환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참여의 조절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234-262, 2012

      22 권혁창,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상태와 노인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160-191, 2019

      23 권혁진,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공적연금의 적정성과 재정안정성에 대한 전망" 한국공공사회학회 8 (8): 38-92, 2018

      24 황미구,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한국노년학회 28 (28): 865-885, 2008

      25 이형하, "노인의 이전소득과 삶의 만족도 관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3 (23): 165-172, 2018

      26 김은아, "노인의 우울, 자살사고와 삶의 질의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6 (46): 179-208, 2018

      27 김은경, "노인의 연령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2807-2823, 2017

      28 전미애, "노인의 소득원별 소득비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283-303, 2017

      29 박순미, "노인의 소득수준별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97-124, 2016

      30 서종건, "노인의 소득 유형과 삶의 만족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노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57) : 31-54, 2017

      31 임선아,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892-903, 2016

      32 홍성희, "노인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89-108, 2016

      33 정경희, "노인의 삶의 질 지수 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34 심수진,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기초연구" 4 : 60-115, 2018

      35 원경혜, "노인의 공적,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도,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3787-3796, 2015

      36 장은혜, "노인의 4고(苦)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9) : 123-152, 2015

      37 백우진, "노인들의 삶의 질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 (2): 15-33, 2010

      38 강형민, "노인가구의 사적이전소득과 공적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2018 (2018): 389-401, 2018

      39 이소정, "노인 자살의 사회경제적 원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19, 2010

      40 정명숙,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노인복지학회 (37) : 249-274, 2007

      41 김태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Ⅱ)" 19 (19): 61-81, 1999

      42 김태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18 (18): 150-169, 1998

      43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 24 (24): 13-29, 2004

      44 이진숙, "남성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경로 연구: 성역할태도, 사회서비스 이용정도, 자아존중감, 삶의 질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377-404, 2014

      45 이채정, "기초연금의 정책효과 분석: 노인의 생활비 지출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8 (28): 365-388, 2016

      46 김혜연,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에미치는 효과"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120-159, 2017

      47 석재은, "기초연금 도입의 정책효과와 젠더불평등 개선"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05-236, 2015

      48 우해봉,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개혁의 소득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31 (31): 161-185, 2015

      49 유지연, "국민연금 수급액 차이에 따른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후의 차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70-178, 2016

      50 최요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보장학회 34 (34): 259-293, 2018

      51 황정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여부에 따른 빈곤노인가구의 생활실태 비교분석" 1 (1): 132-164, 2011

      52 주경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간과 공간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00-218, 2015

      53 김윤정,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 비수급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463-472, 2017

      54 박미은,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학대 관련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93-119, 2004

      55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56 이순아, "국가별 노후소득보장 전략의 유형화: 주요 노후소득보장제도와 소득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341-368, 2019

      57 하춘광, "공적연금수급노인과 일반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비교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21, 2007

      58 허만형, "공적연금 불평등 연구- 국민연금과 특수직연금의 비교분석 -" 한국정책학회 26 (26): 377-396, 2017

      59 부가청,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국제비교연구 활용 가능성" 한국조사연구학회 7 (7): 97-122, 2006

      60 남기성, "고령화연구패널의 조사 개요 및 주요 결과" 1 (1): 1-22, 2013

      61 조보배, "고령자의 근로여부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 고용보험 신규가입연령 상한기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64-87, 2018

      62 이형석, "「노인삶의질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의 표준화"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859-881, 2003

      63 Helliwell, J, F., "World happiness report 2015" UN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2015

      64 Plouffe, R. A.,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 Does religiosity play a role?" 109 : 67-71, 2017

      65 Neugarten, B. L.,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16 : 134-143, 1961

      66 Clark, A. E., "The curved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age" (10) : 1-12, 2006

      67 WH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5

      68 Baltes, P. B., "The Berlin aging study : Aging from 70to 1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69 OECD, "Society at a Glance 2019 : OECD Social Indicators" OECD Publishing 2019

      70 Frijters, P., "Money does matter!Evidence from increasing real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in East Germany following reunification" 94 (94): 730-740, 2004

      71 Helliwell, John F., "Measuring and Explaning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4

      72 Blanchflower, D. G., "Is well-being U-shaped over the life cycle?" 66 (66): 1733-1749, 2008

      73 Blanchflower, D. G., "Hypertension and happiness across nations" 27 (27): 218-233, 2008

      74 OECD, "Health at a Glance 2019 :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2019

      75 Biswas-Diener, R., "Culture and well-being" Springer 261-278, 2009

      76 Diener, E., "Advances in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2 (2): 253-, 2018

      77 Markides, K. S.,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34 (34): 86-93, 1979

      78 통계청, "2019 고령자 통계"

      79 정경희, "2017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