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동남아 담론 분석 = An Analysis of Southeast Asian Discourse in Korean Media Using Text-Mining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개 언론사 일간지를 통해 생산 된동남아관련기사들의시기별, 지면영역별특징을빅데이터분석방법의하 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개 언론사 일간지를 통해 생산 된동남아관련기사들의시기별, 지면영역별특징을빅데이터분석방법의하 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중의 인식을 유도하고 특정한 관점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언론에 의해 생산된 기사들은 그 자체로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동남아와 관련하여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주도 적인 담론을 ‘동남아 담론’으로 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동남아 관련 기 사들에 대한 어휘 빈도와 어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약 30년간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동남아 담론에 대한 지면 영역별 기사 수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된 동남아 관련 기사 들이주로국제및경제, 문화영역에편중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통해한국의언론담론속에서동남아가중국과미국, 일본등의강 대국들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는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주로 경제적 관계와 관련하여 주시되어왔음을 보여준다.
      특기할 만한 현상은 정치면 기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내용 면 에서 동남아 자체의 정치가 아닌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어져왔다는 점 이다. 전체시기에 걸쳐 ‘북한’은 정치면 기사 고빈도 어휘목록에서 1위를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동남아가 남북한 외교의 각축장으로서 주시되어 왔음이 확인된다.
      또한 언론의 동남아 공간 담론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사실은 한국과의 경제적관계비중이높은일부국가들에대한편중성이크다는점이다. 이러한현상 은 동남아 연구의 대상 지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온 사실과 일정 정도 차이 가있는것으로, 언론및대중담론과학술담론사이에간극이나지체는없는지 를 살펴 이와 같은 편중성을 극복하는 것이 한국 동남아학계의 과제로 남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윤환, "한국의 동남아연구: 반성적 회고" 한국동남아학회 25 (25): 37-75, 2015

      2 전제성, "한국의 동남아연구 성장과 포괄성 문제" 한국동남아학회 28 (28): 1-29, 2018

      3 박승우, "한국의 동남아시아 지역연구: 사회과학 분야 제2세대 동남아 지역연구자에 대한 심층 분석" 한국동남아학회 19 (19): 215-275, 2009

      4 전제성,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와 정치학계의 기여" 50 (50): 237-249, 2010

      5 나희량,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와 경제학: 학술지 분석 및 방향성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 22 (22): 43-93, 2012

      6 전제성, "한국의 동남아 연구 동향과 과제: '제3세대' 연구자 선언을 기대하며" 동아연구소 (52) : 109-140, 2006

      7 박번순, "한국의 동남아 경제 연구" 1 (1): 227-258, 2011

      8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9 신윤환, "한국과 동남아" 2 (2): 13-18, 1995

      10 전병유, "한국경제 성장 체제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5) : 9-43, 2015

      1 신윤환, "한국의 동남아연구: 반성적 회고" 한국동남아학회 25 (25): 37-75, 2015

      2 전제성, "한국의 동남아연구 성장과 포괄성 문제" 한국동남아학회 28 (28): 1-29, 2018

      3 박승우, "한국의 동남아시아 지역연구: 사회과학 분야 제2세대 동남아 지역연구자에 대한 심층 분석" 한국동남아학회 19 (19): 215-275, 2009

      4 전제성,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와 정치학계의 기여" 50 (50): 237-249, 2010

      5 나희량,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와 경제학: 학술지 분석 및 방향성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 22 (22): 43-93, 2012

      6 전제성, "한국의 동남아 연구 동향과 과제: '제3세대' 연구자 선언을 기대하며" 동아연구소 (52) : 109-140, 2006

      7 박번순, "한국의 동남아 경제 연구" 1 (1): 227-258, 2011

      8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9 신윤환, "한국과 동남아" 2 (2): 13-18, 1995

      10 전병유, "한국경제 성장 체제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5) : 9-43, 2015

      11 레이코프, 죠지, "프레임 전쟁" 창비 2007

      12 김희숙, "총체적 단위로서의 동남아시아의 인식과 구성"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9

      13 남춘호, "일기자료 연구에서 토픽모델링 기법의 활용가능성 검토" 비교문화연구소 22 (22): 89-135, 2016

      14 사이드, 에드워드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4

      15 허수, "어휘 연결망을 통해 본 ‘제국’의 의미― ‘제국주의’와 ‘제국’을 중심으로 ―" 대동문화연구원 (87) : 501-562, 2014

      16 신진욱,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비판사회학회 (89) : 10-45, 2011

      17 조흥국, "동남아시아 연구의 문제와 과제" 5 (5): 47-67, 2001

      18 푸코, 미셸, "담론의 질서" 새길 1993

      19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4 (14): 106-145, 2006

      20 보통, 알랭 드, "뉴스의 시대" 문학동네 2014

      21 김선기,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4 (24): 5-68, 2016

      22 Wiedemann, Gregor, "Text Mining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A Study on Democratic Discourse in Germany" Springer 2016

      23 Scholz, Ronny, "Quantifying Approaches to Discourse for Social Scientists" Palgrave Macmillan 2019

      24 Bubenhofer, Noah, "Quantifying Approaches to Discourse for Social Scientists" Palgrave Macmillan 251-284, 2019

      25 Evans, James A., "Machine Translation:Mining Text for Social Theory" 42 : 21-50, 2016

      26 오명석, "<기획좌담>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동남아연구:학문분야별 회고와 성찰" 한국동남아학회 18 (18): 331-399,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2 0.812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