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적 부호 분할 다중 접속방식(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쓰이는 광 직교 부호(Optical Orthogonal Code)는 좋은 성질의 자기상관관계와 상호상관관계를 갖는 이진수열이다[3, 4, 5]. 이러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302234
서울 :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3
2003
한국어
서울
iii, 37 p. ; 26 cm.
요약 : p. iii
Abstract : p. 35
참고문헌 : p. 32-3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광학적 부호 분할 다중 접속방식(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쓰이는 광 직교 부호(Optical Orthogonal Code)는 좋은 성질의 자기상관관계와 상호상관관계를 갖는 이진수열이다[3, 4, 5]. 이러한...
광학적 부호 분할 다중 접속방식(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쓰이는 광 직교 부호(Optical Orthogonal Code)는 좋은 성질의 자기상관관계와 상호상관관계를 갖는 이진수열이다[3, 4, 5]. 이러한 광 직교 부호의 자기상관관계와 상호상관관계 값은 그 시스템의 성능을 판가름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따라서 1차원 자기상관관계와 상호상관관계 값에 따른 최대 부호 크기에 관한 바운드와 부호 설계 기법이 연구되어왔다[3]. 최근에는 1차원보다는 더욱 많은 사용자를 지원하는 2차원에서의 부호 설계가 연구되어지고 있다[6, 7]. 본 논문에서는 2차원 광 직교 부호의 자기상관관계와 상호상관관계 값을 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광 직교 부호의 크기에 대한 상한값을 유도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