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그 역사문화상 기능 = An Application of Pianwen Style and its Cultural-Historical Function in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0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ianwen(騈文) has a strict rhyme structure with tonal pattern transposition, couplets, and synchronization of phrase-end tonal patterns in connected stanzas. Furthermore, it pursued splendor with complex literary quotations. In ancient state era Kor...

      Pianwen(騈文) has a strict rhyme structure with tonal pattern transposition, couplets, and synchronization of phrase-end tonal patterns in connected stanzas. Furthermore, it pursued splendor with complex literary quotations. In ancient state era Korea, rhetoric of Pianwen and classical Chinese culture were adopted simultaneously, forming distinctive aesthetics. Meanwhile, Pianwen was partly applied to passages of Idu scripts and classical Chinese literary works. This article traced development of Pianwen in pre-modern Korea, illustrating examples of such literary works in various categories, e.g. ①bestowed or tributed literary works, ②ceremonial works, ③examination papers and diplomatic documents, ④Buddhistic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⑤various applications of Pianwen style.
      In pre-modern Korea, Pianwen was used in epigraphs and diplomatic documents from around 7th century. Circa 654 CE (14th year of Uija of Baekje), an epigraph of Sat'aekchijŏkpi(砂宅智積碑) used Pianwen style couplets and tonal pattern transposition. Sasan Bimyŏng(四山碑銘) by Choe Chiwon in North-South Period was composed of a Pianwen style preface and an inscriptive poem with variation of rhyme. Pianwen style was prominent in North-South Period and the early Goryeo. In the late Goryeo, Choe Hae(崔瀣) compiled Tonginjimunsaryuk(東人之文四六). Also during the Joseon Dynasty, Pianwen used in court occasions, e.g. political and diplomatic affairs, or ceremonies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 beam. Pianwen was criticized by intellectuals because of its stylistic restrictions. However, it had been valued in a transcription field due to following three reasons.
      (1) From Six Dynasties to Tang, Song, Yuan, Ming, Qing, every ordinances and addresses to the throne used Pianwen, and responsive works for royal demand are also required to apply couplets and rhyme. These literary works are called court literature. In China, conventional court literature had used Pianwen style rather than classics style. Even Ouyang Xiu and Su Shi of Classics school used Pianwen when they draft appointment certificates. In Korea, court literature was used frequently in the same manner.
      (2) Pianwen style was used in diplomacy to China, especially in imperial correspondences(表箋). Qing specified the format of a document, however, its format was altered every time a new emperor accede. Therefore, intellectuals needed to brush up their ability to compose such works, and tested proficiency of Pianwen in a civil service examination.
      (3) Pre-modern readers-intellectuals of Korea secured a literary hegemony by mastering tonal pattern and rhyme of literature. Pianwen style that apply such methods was rated high. An ability to compose a ceremonial address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 beam was considered as a high- class cultural act. Even in classical writings, Pianwen style couplets are often used. This tendency was the same in a realm of Buddhist intellectu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騈文은 평측 교대와 對偶를 지키며, 聯과 聯의 연결 시 句末 평측을 동일하게 하는 등 外在律이 까다롭다. 이와 더불어 典故를 번다하게 사용하여 華美를 추구했다. 한국에서는 고대국가 시...

      騈文은 평측 교대와 對偶를 지키며, 聯과 聯의 연결 시 句末 평측을 동일하게 하는 등 外在律이 까다롭다. 이와 더불어 典故를 번다하게 사용하여 華美를 추구했다. 한국에서는 고대국가 시기에 중국의 한문문화를 수용하면서 변문의 서사법을 동시에 받아들여 독자적인 미학을 완성시켜 나가는 한편, 이두식 한문문장과 한문 고문의 행문에도 부분적으로 변문을 활용했다. 본 논문은 근대 이전의 한국에서 변문이 발달한 역사를 추적하고, 실제 문장에 활용된 예들을 부류별로 나누어 예시했다. 즉 ① 변려체 변문 下行文字와 上行文字, ② 변문 儀式文字: 상량문의 예, ③ 科表 부과에 따른 변문 중시, ④ 불가한문의 변문, ⑤ 고문 행문의 변문 투식 대우법 활용 등이 그것이다.
      근대 이전 한국에서는 7세기 경부터 변문이 금석문과 외교문서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654년(의자왕 14) 경 「砂宅智積碑」의 비문은 사륙변려체 즉 변문을 의식하여 대우법을 맞추고, 평측 교대법을 의식했다. 남북국 시대 신라의 최치원이 지은 四山碑銘은 변문의 序와 換韻의 銘으로 이루어졌다. 남북국시대와 고려 초에는 변문이 우세했다. 고려 말 崔瀣는 東人之文四六을 엮었다. 조선시대에도 조정의 정치와 외교, 상량식 등에서는 변문을 사용했다. 변문은 형식적 구속성 때문에 문인들의 비판을 받았다. 그렇지만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書寫 영역에서 줄곧 중시되었다.
      (1) 육조 이후 당ㆍ송ㆍ원ㆍ명에서 청초에 이르기까지 조정의 詔誥表章은 모두 변문을 사용했다. 또 應製 등 館閣文章은 聲律을 강구하고 對偶를 활용하여야 했고, 그 문체는 변문이 중심이었다. 고문가 구양수와 소식도 制誥를 草할 때 고문을 사용하지 않고 변문을 사용했다. 한국의 고대국가, 고려, 조선 전기에서도 조정의 奏章이나 응제문은 변려를 사용하는 일이 많았다.
      (2) 중국과의 외교에서 긴요하게 이용된 表箋은 변문으로 작성했다. 청나라는 표전의 서식을 정해 주었으나, 새 황제가 등극할 때마다 서식을 개변했으므로, 관각 문인들은 표전 제작의 능력을 연마해 둘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과거시험에서도 줄곧 변려 제술의 습숙도를 평가하는 시험이 부과되었다.
      (3) 근대이전 한국의 독서-지식층은 평측법과 압운법을 장악해서 문학적 역량을 온축함으로써 문자권력을 장악했다. 따라서 평측법을 行文에 활용하는 변려의 문체는 여전히 존중되었다. 더구나 지역 사회나 공공 정치영역에서 변문 등 상량문 제작 능력은 고급 문화역량으로 간주되었다. 산문의 고문에서도 변문 투의 連句를 활용하는 일이 많았다. 불가 지식층 사이에서도 변문의 제작 능력은 문자활용의 습숙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英徽, "樂隱姜銓爕先生華甲紀念論叢" 創學社 675-706, 1992

      2 李英徽, "羅·麗代 騈儷文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0

      3 심경호, "훈민정음 해례본의 한문 문장 구조와 성조점에 따른 의미 해석에 대하여" 2016

      4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제3책" 태학사 2012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6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7 이진오, "한국 불교문학의 연구" 민족사 324-, 1997

      8 권진옥, "택당 이식의 변문·고문 연찬과 산문 창작의 실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9 김문기, "최치원의 四山碑銘 연구 - 실태조사와 내용 및 문체분석을 중심으로" 퇴계학연구원 15 : 125-179, 1987

      10 이원석, "주희의 역사세계" 글항아리 2015

      1 李英徽, "樂隱姜銓爕先生華甲紀念論叢" 創學社 675-706, 1992

      2 李英徽, "羅·麗代 騈儷文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0

      3 심경호, "훈민정음 해례본의 한문 문장 구조와 성조점에 따른 의미 해석에 대하여" 2016

      4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제3책" 태학사 2012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6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7 이진오, "한국 불교문학의 연구" 민족사 324-, 1997

      8 권진옥, "택당 이식의 변문·고문 연찬과 산문 창작의 실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9 김문기, "최치원의 四山碑銘 연구 - 실태조사와 내용 및 문체분석을 중심으로" 퇴계학연구원 15 : 125-179, 1987

      10 이원석, "주희의 역사세계" 글항아리 2015

      11 李英徽, "조선조 騈儷文 연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4

      12 심경호,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 일지사 147-148, 1999

      13 심경호, "조선시대 문집 편찬의 역사적 특징과 문집 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2) : 101-130, 2015

      14 심경호, "정조의 문체정책과 제술부과" 진단학회 (127) : 131-157, 2016

      15 丁若鏞, "정본 여유당전서" 다산학술재단 2012

      16 丁若鏞, "정본 여유당전서" 다산학술재단 2012

      17 이지관, "역대 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원 210-211, 1994

      18 이구의, "신라한문학연구" 아세아문화사 2002

      19 윤병태, "서지학연표"

      2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1 심경호, "사라진 섬, 저자도" 고려대출판연구원 2020

      22 심경호, "불교서적 구결ㆍ현토의 역사와 탄허 현토" 2018

      23 심경호, "당역선공주의 1-2" 전통문화연구회 2018

      24 심경호, "당역선공주의 1-2" 전통문화연구회 2018

      25 심경호, "다산 정약용 한시 역주"

      26 심경호, "국왕의 선물" 성안당 2012

      27 正祖, "국역 홍재전서"

      28 徐居正, "국역 동문선" 민족문화추진회 1998

      2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시스템"

      30 "국립중앙도서관 통합검색 디브러리"

      31 심경호, "고전문학 발전의 실상과 연구 과제-운어(韻語)의 발달에 대한 일고찰-" 국어국문학회 (185) : 5-36, 2018

      3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33 박재우, "고려 崔承老의 정치사상과 그 지향" 한국중세사학회 (58) : 167-211, 2019

      34 李英徽, "鶴山趙鍾業博士華甲紀念論叢" 태학사 729-752, 1990

      35 金宗瑞, "高麗史節要" 韓國學文獻硏究所 1983

      36 鄭麟趾, "高麗史" 韓國學文獻硏究所 1983

      37 이종문, "高麗前期 漢文散文 作品의 現存 狀況과 그 意味에 關한 硏究"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0) : 149-186, 2009

      38 박우훈, "騈文의 用途와 創作狀況" 충남대 漢文學會 3 : 11-25, 1994

      39 殷武一, "騈文의 特性과 興衰 小考" 圓光漢文學會 2 : 42-49, 1985

      40 莫道才, "騈文觀止" 文化藝術出版社 1997

      41 姜書閣, "騈文史論" 人民文學出版社 1986

      42 박영희, "騈儷文의 영상적 표현 양상 및 특징 ― 중국 고대 산문에서의 이미지 작동과 구현" 한국중국학회 45 : 67-88, 2002

      43 박인훈, "騈儷文과 韻·散文의 關係" 어문연구학회 40 : 233-252, 2002

      44 李英徽, "騈儷文과 國文學의 相關性 考察" 충남대 대학원 13 : 1993

      45 박우훈, "騈儷文 硏究의 現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8) : 5-36, 2008

      46 박우훈, "韓國의 騈文集 硏究" 국어국문학회 114 : 185-214, 1995

      47 金斗鍾, "韓國古印刷技術史" 探求堂 1974

      48 박우훈, "韓ㆍ中의 反騈儷文觀" 동아인문학회 4 : 165-179, 2003

      49 劉勰, "陶淵明ㆍ文心雕龍" 筑摩書房 1968

      50 譚家健, "關于騈文硏究的若干問題" 1997 (1997): 118-, 1997

      51 載舒蕪, "近代文論選" 北京人民文學出版社 1959

      52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Ⅲ"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53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2"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54 歐陽詢, "藝文類聚(上ㆍ下)" 1965

      55 歐陽詢, "藝文類聚(1-16)" 1959

      56 洪瑀欽, "蒼谷金世漢敎授定年退職紀念論叢" 亞細亞文化社 3-18, 1991

      57 李睟光, "芝峯類說" 景仁文化社 1970

      58 丁若鏞, "與猶堂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2

      59 申用漑, "續東文選" 慶熙出版社 1970

      60 양광석, "統一新羅의 漢文學 硏究" 誠信女大 36 : 619-638, 1998

      61 김윤조, "秋史 金正喜 散文 연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5) : 67-92, 2006

      62 趙鍾業, "百濟時代 漢文學의 傾向에 對하여" 충남대 백제연구소 6 : 9-25, 1975

      63 洪思俊, "百濟 砂宅智積碑에 對하여" 역사학회 6 : 254-258, 1954

      64 任叔英, "疎菴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65 枕肱懸辯, "無竟集文稿"

      66 李植, "澤堂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67 李漢佑, "澤堂 李植 文學 硏究"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6

      68 丁若鏞, "洌水文簧"

      69 紀昀, "欽定四庫全書總目" 中華書局 1981

      70 吳孟復, "桐城文派述論" 태학사 1998

      71 李英徽, "栢谷 金得臣의 儷文 硏究" 語文硏究會 21 : 203-223, 1991

      72 國史編纂委員會, "朝鮮王朝實錄(48책)" 探求堂 1981

      73 金台俊, "朝鮮漢文學史" 朝鮮語文學會 1931

      74 박우훈, "朝鮮後期 騈文의 두 흐름"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39 : 103-134, 1992

      75 朱熹, "晦庵集" 臺灣商務印書館 1983

      76 朱熹, "晦庵先生朱文公文集 100卷 目錄2卷 續集11卷 別集10卷" 商務印書館

      77 박우훈, "明代 李天麟의 『四六全書』에 對하여" 충남대 한문학회 4 : 1995

      78 五臺山 月精寺, "方山窟法語(呑虛大禪師法語集)" 355-, 2003

      79 徐師曾, "文體明辨" 中文出版社 1988

      80 劉勰, "文心雕龍校注" 世界書局 1972

      81 劉勰, "文心雕龍(上ㆍ下)" 明治書院 1983

      82 "承政院日記"

      83 何祥榮, "從『四六叢話』看四六文體的分目與嬗變" 2009

      84 正祖, "弘齋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1

      85 김혈조, "崔致遠의 ?檄黃巢書?에 대한 一考" 동아인문학회 (9) : 63-106, 2006

      86 이구의, "崔致遠의 ‘眞鑑禪師碑銘’攷" 퇴계연구소 2 (2): 151-186, 2004

      87 이기백, "崔承老上書文硏究" 一潮閣 1993

      88 朱承平, "對偶辭格" 岳麓書社 2003

      89 백승호, "奎章閣 所藏 『國朝名臣奏議要略』에 대하여" 진단학회 (129) : 101-121, 2017

      90 金鍾秀, "夢梧集" 민족문화추진회 2000

      91 南龍翼, "壺谷漫筆 3책"

      92 劉勰, "增訂文心雕龍校注" 中華書局 2012

      93 紀昀, "四庫全書總目提要(1-6)" 臺灣商務印書館 1968

      94 紀昀, "四庫全書總目提要" 四庫全書總目提要編委會, 海南出版社 1999

      95 徐居正, "四佳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96 李時恒, "和隱集" 민족문화추진회 2008

      97 末松保和, "史學論叢 第二" 岩波書店 1941

      98 尹浩鎭, "古文의 範疇 試論" 영남중국어문학회 16 (16): 153-181, 1989

      99 吳洙亨, "古代散文 硏究에 관한 몇가지 문제" 嶺南中國語文學會 30 : 121-138, 1997

      100 李時秀, "及健齋漫錄" 驪江出版社 1987

      101 "原刊 『國粹學報』, 第2年(1906年)第4-9號"

      102 李鴻鎭, "南北朝騈文考" 경북대 35 : 107-127, 1983

      103 道坂昭廣, "初唐の「序」について" 中國文學會 54 : 1997

      104 "內閣日曆"

      105 김영태, "元曉의 本業經疏 연구" 元曉學會 4 : 11-92, 1999

      106 金鎭圭, "儷文集成(재구한구자본)"

      107 張仁靑, "中國騈文發展史 上冊" 臺灣中華書局 31-35, 1970

      108 嶺南中國語文學會, "中國語文學通論" 中文出版社 245-246, 1984

      109 禹埈浩, "中國散文의 體裁變遷에 관한 硏究" 韓國中國文化學會 7 : 41-42, 1998

      110 孫梅, "中國古典文學理論批評專著選輯" 人民文學出版社 2010

      111 金昌翕, "三淵集" 민족문화추진회 1996

      112 金富軾, "三國史記" 民族文化推進會 1973

      113 이대형,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의 변려문과 역사성 -사적사(事蹟詞)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62) : 195-224, 2018

      114 張玲玉, "『補閑集』에 나타난 崔滋의 四六文 批評" 대동문화연구원 (107) : 187-216, 2019

      115 박선이, "『正始文程』을 통해 살펴본 정조 문체정책의 한 국면" 민족문화연구원 (80) : 47-73, 2018

      116 渡部英喜, "『文』 硏究資料漢文學 第六卷" 明治書院 1993

      117 김광섭, "17-8세기 '儷文選集'類의 편찬 양상과 그 영향에 대하여" 민족어문학회 0 (0): 73-102, 2006

      118 徐居正, "(影印標點)東文選" 민족문화추진회 1999

      119 宋相琦, "(別本)東文選, 奎章閣資料叢書文學篇" 서울大學校 奎章閣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