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생학습도시 구축을 위한 평생학습 실태 및 요구분석 = Analysis of Needs and Recognition of Lifelong Learning to Build Lifel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1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평생교육은 교육에서 소외된 집단들에게 제2의 기회를 주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평생학습에 대한 연 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외된 지역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경기도 ...

      평생교육은 교육에서 소외된 집단들에게 제2의 기회를 주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평생학습에 대한 연 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외된 지역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경기도 양평군의 평 생학습 생태계를 진단하고, 평생학습도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평군의 평생교육 기관에 근무하는 실무자들이 생각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양평군 주민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 특성들은 무 엇인가? 셋째,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평생교육 조직의 체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관 련 기관 실무자들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Weisbord의 6Box 모델을 사용하여 양 평군의 평생교육 기관 및 하위 조직들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들은 양평 군의 물리적 자원 환경에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학습자 서비스 및 활동에 대해 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평군 지역주민들의 평생교육 인지도와 참여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들은 평생교육을 하는 이유 중 학습지향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6Box 모델을 통해 분석한 평생교육 조직 체계는 양평군의 지역적 특징인 농업과 자영업 을 토대로 한 4050세대의 취·창업 및 직업교육 활성화와 평생교육법상의 평생교육 행정조직인 평생학 습팀, 집행기구인 평생교육센터, 심의협의 기구인 평생교육협의회의 정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남겼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felong education began with educational support for the marginalized. Minimal research of alienated areas from the national benefit of lifelong learning are found while abundant of research on lifelong learning can be found? This study aims to diagn...

      Lifelong education began with educational support for the marginalized. Minimal research of alienated areas from the national benefit of lifelong learning are found while abundant of research on lifelong learning can be found? This study aims to diagnose lifelong learning ecosystems and explore the development plan for building a lifelong learning city in Yangpyeong.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eisbord’s 6Box Model was adopted to diagnos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subsystem of Yangpyeong, and parties of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residents responded to a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persons in lifelong education rated the most positive physical resources environment of Yangpyeong, then the services and activities for the learner was scored the next highest. Second, awareness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lifelong learning appeared to be very high. Third, residents responded with the highest rate in the learning-oriented motives.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to expand Yangpyeong’s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First, redefining of lifelong learning system tailored to the physical and cultural resources environment; Second, re-organizing train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residents of awareness; Third, providing liberal arts and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progra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영선, "학습조직 모델에 터한 우리나라 평생학습도시 재구조화 전략"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65-191, 2011

      2 권대봉, "평생학습도시의 사회경제적 의미"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9-44, 2010

      3 손승남, "평생학습도시 추진현황 및 지역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 전남지역 평생학습도시를 중심으로 -" 한독교육학회 14 (14): 59-83, 2009

      4 김신일,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추진모형 연구" 10 (10): 1-30, 2004

      5 변종임,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주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43-167, 2008

      6 이희수,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기초연구 용역" 강북구청 2009

      7 고영상,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성과분석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8 이희수,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기초조사 및발전계획" 영등포구청 2007

      9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도시 조성"

      10 현영섭, "평생학습도시 정책이 지역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 : 학술지 게재논문의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1 (1): 45-67, 2013

      1 송영선, "학습조직 모델에 터한 우리나라 평생학습도시 재구조화 전략"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65-191, 2011

      2 권대봉, "평생학습도시의 사회경제적 의미"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9-44, 2010

      3 손승남, "평생학습도시 추진현황 및 지역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 전남지역 평생학습도시를 중심으로 -" 한독교육학회 14 (14): 59-83, 2009

      4 김신일,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추진모형 연구" 10 (10): 1-30, 2004

      5 변종임,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주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43-167, 2008

      6 이희수,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기초연구 용역" 강북구청 2009

      7 고영상,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성과분석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8 이희수,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기초조사 및발전계획" 영등포구청 2007

      9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도시 조성"

      10 현영섭, "평생학습도시 정책이 지역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 : 학술지 게재논문의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1 (1): 45-67, 2013

      11 김영아, "평생학습도시 정책, 어디로 가야 하는가?" 교육종합연구소 6 (6): 69-88, 2008

      12 김남선, "평생학습도시 유형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촌형을 중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25-49, 2007

      13 권대봉, "평생학습 참여 현황 및 요구분석 - 서울시 강남구민을 대상으로 -" 원격교육연구소 5 (5): 19-44, 2009

      14 이희수, "평생학습 주민요구도 조사 및 발전방안연구" 중구청 2015

      15 조대연, "평생학습 권역 설정과 권역별 프로그램 요구분석: 마포구 사례"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65-189, 2011

      16 권대봉, "평생교육의 다섯마당" 학지사 2001

      1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백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

      18 이영호, "평생교육과 평생학습" 원미사 2004

      19 한국교육개발원, "지역혁신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평생학습도시 매뉴얼" 한국교육개발원 2005

      20 변종임, "지속가능한 평생학습도시의 미래를 향해 2005년 평생학습도시 현황을 진단한다, 학습국가를 향한 성공전략" 한국교육개발원 2005

      21 박맹우, "지방정부 조직진단의 모형 정립과 적용" 동의대학교 2006

      22 강환실, "지방자치단체의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제언: 공주시를 사례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0 (10): 47-68, 2008

      23 권인탁, "지방자치 수준에서의 평생교육체제 구축 방안"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121-147, 2006

      24 변종임, "외국의 학습도시 평가 사례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177-200, 2006

      25 양평군청, "양평군정백서" 양평군청 2012

      26 이소연, "실천공동체(CoP)에 입각한 지역사회교육운동 사례의 성과요인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57-82, 2012

      27 윤명희, "부산지역 평생학습도시 지원체제 강화를 위한 실태 및 요구조사" 원격교육연구소 6 (6): 191-214, 2010

      28 권인탁,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활용한 평생학습도시의 발전전략"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29, 2008

      29 이희수, "금천구 중장기 교육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학술연구용역" 금천구청 2010

      30 조대연, "국내 성인교육훈련의 요구분석 연구동향: 1990년-2005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85-106, 2006

      31 이희수, "광진구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 기초조사 및발전계획 연구" 광진구청 2008

      32 Yarnit, M., "Towns, cities and regions in the learning age: A survey of learning communities" LGA 2000

      33 김정원, "S시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안암교육학회 20 (20): 307-325, 2014

      34 이희수, "Putnam의 지방정부 성취 측정 방법에 근거한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추진과정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12 (12): 33-56, 2010

      35 UNESCO, "Preparation under way to establish the UNESCO Global Learning Cities Network (UNESCO-GLCN)"

      36 Witkin, B. R.,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A practical guide" Sage Publications 1995

      37 Weisbord, M. R., "Organizational diagnosis: Six places to look for trouble with or without a theory" 1 (1): 430-447, 1976

      38 Weisbord, M. R., "Organizational diagnosis: A workbook of theory and practice" Addison-Wesley 1978

      39 Burke, W. W., "Organization development: A process of learning and changing" Addison-wesley 1994

      40 이희수, "OECD 학습도시 정책동향 비교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143-163, 2004

      41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42 OECD, "Cities and regions in the new learning economy" OECD 2001

      43 교육부, "2014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4

      44 교육부, "2013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4-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3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