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동향과 치료중재 효과크기 검증 = Domestic Research Trend of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ication of Effect Size in Therapeutic Inter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7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해 실행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음악치료 중재의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방법] 최종적으로 채택된 23개의 문헌을 크게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관련 특성, 그리고 효과크기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하위항목에 따라 분석하였다. 치료중재 효과크기는 Hedge’s의 g 산출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설정된 연구 문제에 따라 제시하였다. 첫째,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환자들은 대부분이 성인과 노인이었다. 많은 수는 아니었지만 소아·청소년을 위한 연구도 있었으며, 소아부터 성인까지의 투병유형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중재 관련 특성에서 중재장소·호스피스 유형은 입원형 호스피스가 많았으며, 치료 회기 수는 10회기 이하, 소요 시간은 20분~40분 이하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스피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중재의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치료중재의 효과크기 검증을 위해 필요한 정보, 즉 t 점수, 평균, 표준편차 등을 제시한 문헌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음악치료사가 중재한 치료세션의 효과크기는 평균적으로 중간 이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요약하면, 국내에서 실시한 호스피스 음악치료 중재와 관련된 국내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음악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후속 연구를 위해 필요한 연구의 방향성을 결과에 근거하여 제시한다면,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국내 음악치료의 연구 동향과 치료중재 효과크기를 검증한 문헌이 드물었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물이 발행되기를 바란다. 이 연구가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음악치료를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해 실행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음악치료 중재의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방법] 최종적으로 채택된 23개의 문헌을 크게 연구 참여자...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해 실행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음악치료 중재의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방법] 최종적으로 채택된 23개의 문헌을 크게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관련 특성, 그리고 효과크기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하위항목에 따라 분석하였다. 치료중재 효과크기는 Hedge’s의 g 산출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설정된 연구 문제에 따라 제시하였다. 첫째,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환자들은 대부분이 성인과 노인이었다. 많은 수는 아니었지만 소아·청소년을 위한 연구도 있었으며, 소아부터 성인까지의 투병유형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중재 관련 특성에서 중재장소·호스피스 유형은 입원형 호스피스가 많았으며, 치료 회기 수는 10회기 이하, 소요 시간은 20분~40분 이하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스피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중재의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치료중재의 효과크기 검증을 위해 필요한 정보, 즉 t 점수, 평균, 표준편차 등을 제시한 문헌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음악치료사가 중재한 치료세션의 효과크기는 평균적으로 중간 이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요약하면, 국내에서 실시한 호스피스 음악치료 중재와 관련된 국내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음악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후속 연구를 위해 필요한 연구의 방향성을 결과에 근거하여 제시한다면,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국내 음악치료의 연구 동향과 치료중재 효과크기를 검증한 문헌이 드물었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물이 발행되기를 바란다. 이 연구가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음악치료를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y the effect siz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Method] In total, 23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by collecting data in three categorie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2)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3) effect size of the therapy. Hedge’s g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Results]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hospice patients participants, these were mostly adults and the elderly. However, although not a large number, there were stud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types of cancer were varied. Second, there were a number of inpatient hospices in intervention as the setting. The number of therapy sessions was usually less than 10 and the session duration was 20-40 minutes or less. Third, the effect siz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hospice patients was verified. To that end, we combined t-scor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rom the literature, finding that sessions had a medium or high effect on average. [Conclusion] In su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y the effect size of therapy interventions. In terms of the recommende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 propose that, given the limited literature on the topic,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generate more data and verify the effect size. The findings of such studies could help support the planning of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번역하기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y the effect siz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Method] In total, 23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by c...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y the effect siz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Method] In total, 23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by collecting data in three categorie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2)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3) effect size of the therapy. Hedge’s g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Results]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hospice patients participants, these were mostly adults and the elderly. However, although not a large number, there were stud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types of cancer were varied. Second, there were a number of inpatient hospices in intervention as the setting. The number of therapy sessions was usually less than 10 and the session duration was 20-40 minutes or less. Third, the effect siz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hospice patients was verified. To that end, we combined t-scor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rom the literature, finding that sessions had a medium or high effect on average. [Conclusion] In su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and verify the effect size of therapy interventions. In terms of the recommende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 propose that, given the limited literature on the topic,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generate more data and verify the effect size. The findings of such studies could help support the planning of music therapy for hospice pati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미옥, "호스피스환자를 위한 원예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2 문지영, "호스피스에서의 음악치료"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0 (10): 67-73, 2007

      3 최혜진 ; 황은영,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ㆍ외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21 (21): 75-102, 2019

      4 최혜진,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외 음악치료연구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5 김남초, "호스피스 환자의 증상관리 지침서" 23 : 2-5, 2002

      6 임수란 ; 박혜영, "호스피스 환자의 불안과 삶의 질에 대한 노래회상 음악치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4 (14): 223-248, 2018

      7 김시영, "호스피스 완화의료" 51 (51): 505-508, 2008

      8 김은정, "한국의 호스피스 음악치료"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1 (21): 109-114, 2018

      9 황은영, "한국의 음악치료 미래변화와 그 전망: 음악치료 도입 20주년을 기념하며" 한국음악치료학회 18 (18): 1-20, 2016

      10 박지혜, "청소년 암환자의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음악 만들기와 뮤직비디오 적용 사례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1 송미옥, "호스피스환자를 위한 원예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2 문지영, "호스피스에서의 음악치료"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0 (10): 67-73, 2007

      3 최혜진 ; 황은영,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ㆍ외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21 (21): 75-102, 2019

      4 최혜진,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외 음악치료연구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5 김남초, "호스피스 환자의 증상관리 지침서" 23 : 2-5, 2002

      6 임수란 ; 박혜영, "호스피스 환자의 불안과 삶의 질에 대한 노래회상 음악치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4 (14): 223-248, 2018

      7 김시영, "호스피스 완화의료" 51 (51): 505-508, 2008

      8 김은정, "한국의 호스피스 음악치료"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1 (21): 109-114, 2018

      9 황은영, "한국의 음악치료 미래변화와 그 전망: 음악치료 도입 20주년을 기념하며" 한국음악치료학회 18 (18): 1-20, 2016

      10 박지혜, "청소년 암환자의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음악 만들기와 뮤직비디오 적용 사례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11 이대식,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적 중재 내용과 적용 효과: 2000∼2014년 국내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4 (14): 363-390, 2015

      12 서보순 ; 이지경, "장애유아를 위한 음악중재의 내용과 효과크기검증 문헌분석 -2005-2020년 국내 학술지논문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2 (22): 17-42, 2021

      13 원종례 ; 주용수, "장애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00~2007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93-115, 2008

      14 김지연 ; 김영신, "일회성 음악치료 중재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통증,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 11 (11): 21-35, 2009

      15 김은정 ; 김경숙, "음악치료가 암환자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 16 (16): 1-20, 2014

      16 이지현, "음악치료가 소아암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5

      17 홍정인, "음악치료가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가족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9

      18 김소영,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치료사 역량 훈련 필요성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9 서바른 ; 홍해숙, "음악요법이 말기암 환자의 통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초간호학회 12 (12): 48-57, 2010

      20 홍미순, "음악요법이 말기 암환자의 안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1 박미혜, "음악 치료적 활동이 자폐성의 감소와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21-137, 2006

      22 권송은,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정책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2

      23 정유진, "웰다잉(Well-dying) 인식 도구개발 : 중년을 대상으로" 고신대학교 대학원 2022

      24 김석란,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25 심송용 ; 강경아 ; 김신정, "암 환아 가족의 아동 호스피스 요구 측정도구 개발" 한국아동간호학회 11 (11): 72-82, 2005

      26 김재영, "소아암 환자 부모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27 정여주, "소아 호스피스의 암 환아 미술치료" 한국미술치료학회 14 (14): 227-246, 2007

      28 이은해 ; 최성은, "선호 음악 감상의 음악치료가 말기암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른 정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5 (15): 77-87, 2012

      29 민옥경, "생애 말기 암환자의 사망 전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행태" 상지대학교 대학원 2022

      30 통계청, "사망 원인 통계 연보"

      31 조그리, "병원학교에서의 음악치료활동이 소아암 환자 아동의 주관적 기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장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9

      32 김유림, "말기암 환자의 '희노애락' 인생회고를 위한 노래심리치료"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3 이경은,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34 전미혜, "말기 질환 아동을 위한 환경적 지지 모델(The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에 근거한 음악치료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5 박신영, "단일회기 음악치료 참여수준에 따른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과 피로감 지각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36 김은해, "단일곡 노래 활동이 말기 암 환자의 통증 및 기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37 임수란, "노래회상기법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호스피스 환자의 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38 황은정, "노래중심 음악치료에서 나타나는 호스피스 환자 반응에 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8

      39 김경희, "노래자서전 활동을 통한 말기 암환자의 죽음수용에 대한 질적 연구 : 관조와 희망의 노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0 이영은,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말기 암 환자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 사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41 이수현, "기독교 음악 감상이 말기 암 환자의 언어적 표출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2 오지은, "구조화된 목소리 활용 프로그램을 통한 호스피스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사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43 이효정, "구조적 인생회고 의미중심 음악치료가 호스피스완화의료 말기 암 환자의불안, 우울, 영적안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2

      44 이숙, "고통 속에서도 행복한 내 삶의 여정: 종말기 환자의 음악자서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 8 (8): 22-44, 2006

      45 최성규 ; 배정화, "개사를 통한 노래부르기가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279-296, 2004

      46 유현순, "감상을 중심으로 한 음악중재가 말기 암환자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2

      47 홍정인 ; 김경숙,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인생 회고 기법을 활용한 노래 중심 음악치료가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1 (21): 67-94, 2021

      48 Bruscia, K. E., "The dynamic of music psychotherapy" Barcelona Publisher 1989

      4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Erlbaum 1988

      50 Robb,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active music engagemnet(AME)intervention on children with cancer" 17 (17): 699-708, 2008

      51 Munro, P. S., "Music therapy perspectives in palliative care education" 9 (9): 39-42, 1993

      52 Brucia, K. E., "Improvisational models of music therapy" Charles C. Thomas Publisher Ltd 1987

      53 Davis, W. B.,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2008

      54 Barrickman, J, "A developmental music therapy approach for preschool hospitalized children" 7 (7): 10-16, 1989

      55 보건복지부, "2020 국가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례보고서" 경기도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