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형기반의 도로명주소 및 국가기초구역 통합데이터 모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0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도로명주소는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정착되었고, 국가의 최소단위지역으로 국가기초구역도 2012년 고시, 2014년 부터는 본격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도로구간, 주소, 그리고 국가기초구역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어 도로명주소 데이터와 국가기초구역 데이터를 연계한 통합적 데이터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명주소와 국가기초구역 정보를 연계한 국가기초구역 데이터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시범적으로 구축해 봄으로써 그 적용가능성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로명주소를 사용하는 해외의 데이터모델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도로명주소, 국가기초구역 데이터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선형기반의 도로정보와 주소정보, 각종 구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서대문구를 대상으로 시범구축 하였다. 시범구축결과 첫째 도로구간이 미세하게 세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도로명주소 데이터의 도로중심선 정보를 사전에 정리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종속구간에 대해서는 주소범위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며, 셋째, 국가기초구역 설정에 종속구간이 활용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주소는 부여하지 않더라도 종속구간의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하고 해당되는 면형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도로명주소는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정착되었고, 국가의 최소단위지역으로 국가기초구역도 2012년 고시, 2014년 부터는 본격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도로구간, 주소, 그리고 국가...

      우리나라의 도로명주소는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정착되었고, 국가의 최소단위지역으로 국가기초구역도 2012년 고시, 2014년 부터는 본격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도로구간, 주소, 그리고 국가기초구역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어 도로명주소 데이터와 국가기초구역 데이터를 연계한 통합적 데이터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명주소와 국가기초구역 정보를 연계한 국가기초구역 데이터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시범적으로 구축해 봄으로써 그 적용가능성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로명주소를 사용하는 해외의 데이터모델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도로명주소, 국가기초구역 데이터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선형기반의 도로정보와 주소정보, 각종 구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서대문구를 대상으로 시범구축 하였다. 시범구축결과 첫째 도로구간이 미세하게 세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도로명주소 데이터의 도로중심선 정보를 사전에 정리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종속구간에 대해서는 주소범위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며, 셋째, 국가기초구역 설정에 종속구간이 활용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주소는 부여하지 않더라도 종속구간의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하고 해당되는 면형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ew address system based on road name in Korea has been settled from 2012. In addition, national basic district as a smallest unit region of nation has also been notified in 2012 and is envisioned to be utilized in earnest from 2014. It is needed for us to construct an integrated data by connecting address data based on road name with national basic district data because road, address, and national basic district are closely interconnected. In this study, we propose data model of national basic district by integrating the information of national basic district with the address based on road name and try to derive some initiatives and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by implementing this model in a study area. We have analyzed not only data model of foreign countries which use the address system based on road name, but also current data model of the address system and the national basic district in Korea. Based on this analysis, we have designed data model which can include all kinds of linear information related to road, address and district and have implemented this model in Seodaemoon-gu as a sample case.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we have confirmed three folds: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nse the centerline of road features in order to prevent that the road segments are divided into tiny sections. Second, it is needed not to assign the address attribute for the subordinate road segment. Finally, since there is an example that subordinate road segments are used in the delimination of national basic district, it is needed to input related districts information after distinguishing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ubordinate road segments even though the address attributes are not assigned.
      번역하기

      The new address system based on road name in Korea has been settled from 2012. In addition, national basic district as a smallest unit region of nation has also been notified in 2012 and is envisioned to be utilized in earnest from 2014. It is needed ...

      The new address system based on road name in Korea has been settled from 2012. In addition, national basic district as a smallest unit region of nation has also been notified in 2012 and is envisioned to be utilized in earnest from 2014. It is needed for us to construct an integrated data by connecting address data based on road name with national basic district data because road, address, and national basic district are closely interconnected. In this study, we propose data model of national basic district by integrating the information of national basic district with the address based on road name and try to derive some initiatives and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by implementing this model in a study area. We have analyzed not only data model of foreign countries which use the address system based on road name, but also current data model of the address system and the national basic district in Korea. Based on this analysis, we have designed data model which can include all kinds of linear information related to road, address and district and have implemented this model in Seodaemoon-gu as a sample case.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we have confirmed three folds: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nse the centerline of road features in order to prevent that the road segments are divided into tiny sections. Second, it is needed not to assign the address attribute for the subordinate road segment. Finally, since there is an example that subordinate road segments are used in the delimination of national basic district, it is needed to input related districts information after distinguishing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ubordinate road segments even though the address attributes are not assig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해외의 주소 및 권역정보 데이터 모델 비교
      • 1. 미국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해외의 주소 및 권역정보 데이터 모델 비교
      • 1. 미국
      • 2. 영국
      • 3. 캐나다
      • 4. 시사점
      • III. 우리나라 도로명 및 각종권역정보 데이터 현황
      • 1. 도로명주소 데이터 현황
      • 2. 국가기초구역 현황
      • 3. 행정구역
      • 4. 각종권역정보
      • IV. 선형기반 도로명주소 및 국가기초구역 통합 데이터 시범구축
      • 1. 선형기반 도로명주소 및 국가기초구역 데이터 모델 구축 방향
      • 2. 데이터모델링
      • 3. 시범구축
      • 4. 시사점 도출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캐나다 통계국"

      2 행정안전부, "지역의 위치표시체계 개발 연구" 2009

      3 "영국 통계국"

      4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데이터모델 연구(II)" 1999

      5 국토지리정보원, "수자원 및 행정경계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표준화 연구" 2003

      6 강영옥, "소지역 통계구역 획정방안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0 (10): 15-36, 2007

      7 강영옥, "소지역 통계공표구역 유지관리방안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1 (11): 53-65, 2008

      8 변필성, "소지역 통계 공표구역의사례: 잉글랜드․웨일즈의 Output Area" 300 : 92-99, 2006

      9 행정안전부, "새주소(도로명주소) 업무편람" 2012

      10 "미국 중앙부처 통계국"

      1 "캐나다 통계국"

      2 행정안전부, "지역의 위치표시체계 개발 연구" 2009

      3 "영국 통계국"

      4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데이터모델 연구(II)" 1999

      5 국토지리정보원, "수자원 및 행정경계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표준화 연구" 2003

      6 강영옥, "소지역 통계구역 획정방안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0 (10): 15-36, 2007

      7 강영옥, "소지역 통계공표구역 유지관리방안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1 (11): 53-65, 2008

      8 변필성, "소지역 통계 공표구역의사례: 잉글랜드․웨일즈의 Output Area" 300 : 92-99, 2006

      9 행정안전부, "새주소(도로명주소) 업무편람" 2012

      10 "미국 중앙부처 통계국"

      11 "도로명주소 안내 시스템"

      12 행정안전부, "도로명주소 부여체계 품질분석" 2009

      13 김은형,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설계지침 개발 및 표준적용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03

      14 국토지리정보원, "기본지리정보 데이터 모델 설계지침 및 표준적용 방안 연구" 2003

      15 행정안정부, "국가기초구역 유지관리지침"

      16 ETRI, "국가기초구역 설정지침 개발을 위한 현황조사" 2010

      17 강영옥, "국가기초구역 설정 방법 비교 연구 - 종로구, 아산시, 태안군을 사례로 -" 한국지도학회 12 (12): 113-127, 2012

      18 건설교통부, "국가GIS 통합 Data Model 확립연구" 2002

      19 강영옥, "국가 기본공간정보로서 새주소 자료 구축전략" 한국지도학회 10 (10): 113-127, 2010

      20 국토지리정보원, "교통 및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표준화 연구" 2003

      21 U.S. Census Bureau, "United States Census 2010" 2010

      22 Ordnance Survey, "OS MasterMap Address Layer and Address Layer 2 User Guide"

      23 Puderer, H., "Introduction the Dissemination Area for the 2001 Census: an Update" 2001

      24 Longley, P.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Science" John Wiley & Sons 2010

      25 Teorey, T., "Database Modeling and Design: Logical Design, 4th edition" Morgan Kaufmann 2005

      26 Muller, R.J., "Database Design for Smarties: Using UML for Data Modeling" Morgan Kaufmann 1999

      27 Simsion, G.C., "Data Modeling Essentials" Morgan Kaufmann 2004

      28 Sanders, G.L., "Data Modeling" Boyd & Fraser Pub. Co 1995

      29 U.S. Census Bureau, "Census 2000 Summary File1 (SF1)"

      30 U.S. Census Bureau, "2010 Census TIGER/Line shapefile Technical Documentation" 2011

      31 Statistics Canada, "2006 Census Dictionary"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1 0.9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