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진로구성 및 자기구성 경험 : 포스트코로나 시대 구성주의 진로상담 사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75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시킨 포스트코로나 사회 및 문화 맥락에서 우리나라 대학생이 경험하는 진로 과정 가운데,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적용한 진로 상담을 통해 경험한 진로구성 및 자기구성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연구하고 진로상담 이론에 현실적인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정한 준거를 만족하는 대상을 선정하여, 단일 사례 연구로 진행하였고, 진로상담 및 비구조화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자료 조직, 의미 단위 추출, 주요 주제로 도출하는 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그 결과 총 152 개의 의미 단위를 추출하였고, 60 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9개의 본질적 주제는 상실, 후회스러운 진로과정, 실촌에 관한 질문, 결핍과 이상, 새로운 세계 앞에서 갈등, 다양한 나를 발견, 새로운 시도, 기적과 같은 일이 일어남, 나를 바탕으로 소명을 구성함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구성주의 진로상담은 자신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자기 개념을 이해하고 동시에 발전시킬 수 있는 자기구성 과정을 제공하며, 급변하고 불안정한 시대적 상황에서 안정적인 정체성을 토대로 보다 적응적이고 능동적인 진로구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어, 실질적인 진로상담 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덧붙여 삶의 과정인 진로가 실촌의 질문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구성주의 진로상담이 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경험이 충분히 구술되어 자기구성 및 진로구성에 통합될 수 있는 상호연결이 중요하다고 기술하였다. 이어 본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 방향 등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시킨 포스트코로나 사회 및 문화 맥락에서 우리나라 대학생이 경험하는 진로 과정 가운데,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적용한 진로 상담을 통해 경험한 진로구성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시킨 포스트코로나 사회 및 문화 맥락에서 우리나라 대학생이 경험하는 진로 과정 가운데,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적용한 진로 상담을 통해 경험한 진로구성 및 자기구성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연구하고 진로상담 이론에 현실적인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정한 준거를 만족하는 대상을 선정하여, 단일 사례 연구로 진행하였고, 진로상담 및 비구조화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자료 조직, 의미 단위 추출, 주요 주제로 도출하는 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그 결과 총 152 개의 의미 단위를 추출하였고, 60 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9개의 본질적 주제는 상실, 후회스러운 진로과정, 실촌에 관한 질문, 결핍과 이상, 새로운 세계 앞에서 갈등, 다양한 나를 발견, 새로운 시도, 기적과 같은 일이 일어남, 나를 바탕으로 소명을 구성함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구성주의 진로상담은 자신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자기 개념을 이해하고 동시에 발전시킬 수 있는 자기구성 과정을 제공하며, 급변하고 불안정한 시대적 상황에서 안정적인 정체성을 토대로 보다 적응적이고 능동적인 진로구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어, 실질적인 진로상담 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덧붙여 삶의 과정인 진로가 실촌의 질문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구성주의 진로상담이 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경험이 충분히 구술되어 자기구성 및 진로구성에 통합될 수 있는 상호연결이 중요하다고 기술하였다. 이어 본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 방향 등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ntext of the post-covid world accelera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elf-construction and career-construction experi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 in counseling applied theory of career construction and to suggest practice for the theoretical framework. With the criteria for case selection, a single case study is performed and the thematic analysis is conducted by the following process: collecting data by career counseling and unstructured interview, generating themes, identifying themes, and rewriting with interpretative perspectives. As a result, 152 meaning units and 60 sub-themes are derived and 9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the loss , regretted career-construction , questions in existence , deficiency and idealization , conflicts in the new world , the diversity of myself , new challenge , miracle, wonderful thing happened , calling-construction based on self Counseling for career-construction is based on narrative structure provides self-construction process to understand and to develop self-concept, and shows that it can be a more active and adaptive model with a balanced self in a fast-changing world. Additionally career as a whole-life with the question of existence, it is important that counseling for career-construction be focused on personal narrative in cooperative relations that integrates experiences with self-construction and career-construction. And it ends with researc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번역하기

      In the context of the post-covid world accelera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elf-construction and career-construction experi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 in counseling applied theory of career construct...

      In the context of the post-covid world accelera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elf-construction and career-construction experi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 in counseling applied theory of career construction and to suggest practice for the theoretical framework. With the criteria for case selection, a single case study is performed and the thematic analysis is conducted by the following process: collecting data by career counseling and unstructured interview, generating themes, identifying themes, and rewriting with interpretative perspectives. As a result, 152 meaning units and 60 sub-themes are derived and 9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the loss , regretted career-construction , questions in existence , deficiency and idealization , conflicts in the new world , the diversity of myself , new challenge , miracle, wonderful thing happened , calling-construction based on self Counseling for career-construction is based on narrative structure provides self-construction process to understand and to develop self-concept, and shows that it can be a more active and adaptive model with a balanced self in a fast-changing world. Additionally career as a whole-life with the question of existence, it is important that counseling for career-construction be focused on personal narrative in cooperative relations that integrates experiences with self-construction and career-construction. And it ends with researc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