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감성지능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 :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 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5199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5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 형태사항

        ⅳ, 70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장영철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57-65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를 통해 미치는 영향에 관해 금융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즉 금융직종 종사자들에 행해지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기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금융직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금융기관종사자들은 461명의 표본을 SPSS 19.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감성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2)자기효능감은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즉, 감성리더십은 자기효능감이라는 조절변수가 없더라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써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감성지능리더십은 조직발전과 개인의 발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입증되었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더 다양한 분야에서 감성지능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를 통해 미치는 영향에 관해 금융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즉 금융직종 종사자들에 행해지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를 통해 미치는 영향에 관해 금융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즉 금융직종 종사자들에 행해지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기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금융직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금융기관종사자들은 461명의 표본을 SPSS 19.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감성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2)자기효능감은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즉, 감성리더십은 자기효능감이라는 조절변수가 없더라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써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감성지능리더십은 조직발전과 개인의 발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입증되었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더 다양한 분야에서 감성지능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financial organizations.
      It focuses on verifying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of the employees of the financial organizatio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financial organization verified sample of 461 people using SPSS 19.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doesn't influenc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refore, even though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doesn't have Moderating variable, “ self-efficacy”, it is verified that it is the variable which can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so we Should try to improve it. and I hope to run a research More diverse in the field of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financial organizations. It focuses on verifying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of the employees of the financial organizati...

      This study analyzes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financial organizations.
      It focuses on verifying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of the employees of the financial organizatio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financial organization verified sample of 461 people using SPSS 19.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doesn't influenc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refore, even though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doesn't have Moderating variable, “ self-efficacy”, it is verified that it is the variable which can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so we Should try to improve it. and I hope to run a research More diverse in the field of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논문의 구성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5
      • 제 1 절 감성지능리더십 5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논문의 구성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5
      • 제 1 절 감성지능리더십 5
      • 1. 감성지능리더십의 정의 5
      • 2. 감성지능리더십의 구성요소 6
      • 1) 자기인식능력 8
      • 2) 자기관리능력 9
      • 3) 사회적인식능력 9
      • 4) 관계관리능력 9
      • 3. 감성지능리더십의 선행연구 10
      • 제 2 절 직무만족 13
      • 1. 직무만족의 정의 13
      • 2. 직무만족의 구성요인 15
      • 3. 직무만족의 선행연구 16
      • 제 3 절 조직몰입 18
      • 1. 조직몰입의 정의 18
      • 2. 조직몰입의 구성요소 19
      • 3. 조직몰입의 선행연구 21
      • 제 4 절 자기효능감 23
      • 1. 자기효능감의 정의 23
      • 2. 자기효능감의 연구배경 25
      • 3. 자기효능감의 선행연구 26
      • 제 3 장 연구설계 29
      • 제 1 절 연구모형 29
      • 제 2 절 연구가설 30
      • 1. 감성지능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대한 가설 30
      • 2. 감성지능리더십과 조직몰입에 대한 가설 30
      • 3. 자기효능감이 감성지능리더십과 직무만족사이의 조절에 대한 가설 30
      • 4. 자기효능감이 감성지능리더십과 조직몰입사이의 조절에 대한 가설 30
      • 제 3 절 측정도구 31
      • 1.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31
      • 1) 감성지능리더십 31
      • 2) 직무만족 32
      • 3) 조직몰입 32
      • 4) 자기효능감 32
      • 2. 설문지 구성 33
      • 1) 조사목적 및 대상 33
      • 2) 설문지의 회수 현황과 표본의 특성 34
      • 제 4 장 실증 분석 및 가설검증 35
      • 제 1 절 실증분석 35
      • 1. 표본의 특성 35
      • 2. 변수의 타당성 분석 35
      • 1) 감성지능리더십의 요인분석 36
      • 2) 자기효능감의 요인분석 38
      • 3)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요인분석 39
      • 3. 기술통계와 신뢰도분석 40
      • 4. 상관관계분석 42
      • 5. 회귀분석 42
      • 제 2 절 가설검증 47
      • 1. 가설 1 검증 47
      • 2. 가설 2 검증 48
      • 3. 가설 3 검증 49
      • 4. 가설 4 검증 51
      • 제 5 장 결론 53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53
      • 참 고 문 헌 57
      • ABSTRACT 66
      • 설문지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