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를 통해 미치는 영향에 관해 금융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즉 금융직종 종사자들에 행해지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51998
서울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 경영학과 인사조직전공 , 2014. 8
2014
한국어
650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ⅳ, 70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장영철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57-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를 통해 미치는 영향에 관해 금융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즉 금융직종 종사자들에 행해지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를 통해 미치는 영향에 관해 금융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즉 금융직종 종사자들에 행해지는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기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금융직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금융기관종사자들은 461명의 표본을 SPSS 19.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감성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2)자기효능감은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즉, 감성리더십은 자기효능감이라는 조절변수가 없더라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써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감성지능리더십은 조직발전과 개인의 발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입증되었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더 다양한 분야에서 감성지능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financial organizations. It focuses on verifying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of the employees of the financial organizati...
This study analyzes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financial organizations.
It focuses on verifying how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of the employees of the financial organizatio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financial organization verified sample of 461 people using SPSS 19.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influenc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Self-efficacy as a Moderating variable doesn't influenc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refore, even though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doesn't have Moderating variable, “ self-efficacy”, it is verified that it is the variable which can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so we Should try to improve it. and I hope to run a research More diverse in the field of emotional intelligenc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