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아동패널, "패널 자료실, 자료 안내, 도구 프로파일, 양육 스트레스"
2 박윤현, "취학 전 전자매체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1학년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주의집중문제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451-473, 2019
3 조윤주, "지역사회 관련 요인이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1" 한국생활과학회 27 (27): 117-127, 2018
4 한국아동패널, "조사소개 및 발간물, 조사 설계, 일반조사, 표본 설계"
5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문화체육관광부 2018
6 박소영,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자군에 따른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25-45, 2015
7 이효원, "유아들이 경험하는 바깥놀이터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73-400, 2016
8 권미경, "유아기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23 (23): 121-138, 2016
9 김희정, "유아교육기관 귀가 후 한국과 일본 유아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209-238, 2014
10 소혜진,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의 변화: 2015-2016년과 2017년의 연구 결과 비교" 대한소아신경학회 26 (26): 251-262, 2018
1 한국아동패널, "패널 자료실, 자료 안내, 도구 프로파일, 양육 스트레스"
2 박윤현, "취학 전 전자매체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1학년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주의집중문제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451-473, 2019
3 조윤주, "지역사회 관련 요인이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1" 한국생활과학회 27 (27): 117-127, 2018
4 한국아동패널, "조사소개 및 발간물, 조사 설계, 일반조사, 표본 설계"
5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문화체육관광부 2018
6 박소영,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자군에 따른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25-45, 2015
7 이효원, "유아들이 경험하는 바깥놀이터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73-400, 2016
8 권미경, "유아기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23 (23): 121-138, 2016
9 김희정, "유아교육기관 귀가 후 한국과 일본 유아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209-238, 2014
10 소혜진,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의 변화: 2015-2016년과 2017년의 연구 결과 비교" 대한소아신경학회 26 (26): 251-262, 2018
11 김민우, "유아 공간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479-499, 2017
12 이윤진, "영유아의 문화 시설 이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정책연구소 8 (8): 65-93, 2014
13 이윤진, "영유아 문화인프라 이용실태와 지원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14 류미향,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 인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307-329, 2014
15 김영란, "어머니가 인식하는 영ㆍ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337-374, 2016
16 김대웅,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 전자매체 이용시간, 외현화 문제 행동의 관계: 성별 다집단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135-156, 2018
17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5 (35): 141-150, 1997
18 현은자,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기관: 놀이터, 어린이 도서관, 청소년 기관" 한국아동학회 30 (30): 139-151, 2009
19 유구종,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69-94, 2018
20 김수정, "부모의 양육행동, 미디어 사용 유형, 유아의 정서 및 행동 문제의 구조 관계" 육아정책연구소 10 (10): 73-93, 2016
21 김동희, "미취학 아동의 미디어 사용과 아동의 기질,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22 (22): 201-210, 2014
22 방효국,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3-64, 2013
23 이성미, "국내 청소년의 여가시설 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83-92, 2016
24 김성재, "거주지역에 따른 유아의 신체건강과 관련한 기본생활습관의 차이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23, 2010
25 노신애,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인식이 미취학자녀 부모의 양육 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30 (30): 135-149, 2012
26 Beschorner, B., "iPads as a literacy teaching tool in early childhood" 1 (1): 16-24, 2013
27 Vandewater, E. A., "The impact of educational television on young children's reading in the context of family stress" 25 (25): 717-728, 2004
28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29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0
30 Özdirenç, M., "Physical fitness in rural children compared with urban children in Turkey" 47 (47): 26-31, 2005
31 Walton, K., "Parenting stres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associations with childhood obesity, physical activity, and TV viewing" 14 : 1-7, 2014
32 Magill-Evans, J., "Parent-child interactions, parenting stress, and developmental outcomes at 4 years" 30 (30): 135-150, 2001
33 Crnic, K. A., "Maternal stress and social support: Effects on the mother‐infant relationship from birth to eighteen months" 54 (54): 224-235, 1984
34 Bronfenbrenner, "Making human beings human: Bioecological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Sage 2005
35 Beentjes, J. W., "Children and their changing media environment" Routledge 85-112, 2001
36 Schmidt, M. E., "Children and television" Routledge 87-106, 2009
37 Linebarger, D. L.,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media use, cumulative risk,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ing" 35 (35): 367-377, 2014
38 Baker, I. R., "An asset-based community initiative to reduce television viewing in New York state" 44 (44): 437-44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