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법과 사법의 교착(交錯)에 관한 시론적 고찰 = Verschränkung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2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Theorie der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und Privatrecht galt lange Zeit als unüberprüfbare Prämisse des Rechtswissenschaft. Das öffentliche Recht wurde traditionell auf der Prämisse des Dualismus von Staat und Gesellschaft entwickelt. Di...

      Die Theorie der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und Privatrecht galt lange Zeit als unüberprüfbare Prämisse des Rechtswissenschaft. Das öffentliche Recht wurde traditionell auf der Prämisse des Dualismus von Staat und Gesellschaft entwickelt. Diese einfache These bricht zusammen, da sich die Domänen der anderen kreuzen und überschneiden. Der „Unterscheidungsmythos“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ist längst verschwunden, und die Mischung aus öffentlicher Interessen und privater Interessen macht es schwierig, Rechtsgebiet, Rechtsverhältnis und Rechtsmittel eindeutig einzuordnen und zu erklären.
      Der globale Liberalismus und der Einfluss des EU-Rechts haben die traditionelle Theorie der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und gerichtlichem Recht grundlegend beeinflusst. Zudem verändert sich mit der Ausweitung der Wirkungen von Grundrechten und verschiedenen Handlungsformen das Verhältnis von Staat und Gesellschaft in eine andere Dimension. Insbesondere nach der Pandemie war die Fähigkeit des Staates, das öffentliche Interesse zu schützen, oft eingeschränkt, und die Belastung der Bürger hat zugenommen. Es ist an der Zeit, eine neue Perspektive auf das sich ändernde öffentliche Interesse und die Werte der Gemeinschaft zu haben.
      Die Verschränkungen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rtrecht können durch kleine Risse in der Dogmatik fest werden. Wie die Verwaltung durch Konsultation muss ein soziales Phänomen, das einen Wendepunkt darstellt, von einer Anpassung durch kontinuierliche Überwachung der Verwaltungs- und Gesetzgebungsmaßnahmen begleitet werden. Die Diskussion um die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kann als Maßstab für eine ausgewogene Sicht auf Problemen für rechtliche Stabilität und Kontrolle der Verwaltung dien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부하, "헌법이론의 논제로서 국가에 대한 헌법적 고찰— 독일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8 (28): 33-58, 2018

      2 박재윤, "행정행위의 부관에 관한 분쟁유형별 고찰" 행정법이론실무학회 (38) : 25-47, 2014

      3 황선훈, "행정의 사법적 활동과 공법적 규율" 중앙법학회 18 (18): 205-248, 2016

      4 김종보, "행정법학의 개념과 그 외연(外延) ― 제도중심의 공법학방법론을 위한 시론(試論)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1) : 1-21, 2008

      5 박정훈, "행정법의 체계와 방법론" 박영사 2005

      6 김현준, "행정법과 사법(私法)" 한국법학원 181 : 80-108, 2020

      7 송시강, "행정권한 민간위탁의 헌법상 한계" 행정법이론실무학회 (63) : 141-171, 2020

      8 강지은, "프랑스 행정법상 분리가능행위" 경인문화사 2017

      9 박우경, "프랑스 행정법상 공역무 수행방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7

      10 강지은, "프랑스 행정법상 공역무 개념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 이부하, "헌법이론의 논제로서 국가에 대한 헌법적 고찰— 독일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8 (28): 33-58, 2018

      2 박재윤, "행정행위의 부관에 관한 분쟁유형별 고찰" 행정법이론실무학회 (38) : 25-47, 2014

      3 황선훈, "행정의 사법적 활동과 공법적 규율" 중앙법학회 18 (18): 205-248, 2016

      4 김종보, "행정법학의 개념과 그 외연(外延) ― 제도중심의 공법학방법론을 위한 시론(試論)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1) : 1-21, 2008

      5 박정훈, "행정법의 체계와 방법론" 박영사 2005

      6 김현준, "행정법과 사법(私法)" 한국법학원 181 : 80-108, 2020

      7 송시강, "행정권한 민간위탁의 헌법상 한계" 행정법이론실무학회 (63) : 141-171, 2020

      8 강지은, "프랑스 행정법상 분리가능행위" 경인문화사 2017

      9 박우경, "프랑스 행정법상 공역무 수행방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7

      10 강지은, "프랑스 행정법상 공역무 개념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1 조성규,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쟁점과 과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1 (21): 101-139, 2021

      12 홍준형, "유럽통합의 공법적 영향에 관한 연구 : 유럽통합이 독일행정법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10 (10): 2001

      13 임성훈, "유럽인권협약 제6조의 공정한 심판(fair trial)을 받을 권리와 행정제재" 행정법이론실무학회 (63) : 173-201, 2020

      14 최계영, "오토 마이어의 행정행위 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5 김성수, "오토 마이어 - 행정법의 아이콘인가 극복의 대상인가" 한국공법학회 45 (45): 231-255, 2016

      16 강지은, "사피엔스(Sapiens)와 公法의 미래 ― 유발 하라리 저서 『사피엔스』상 인류 역사를 토대로 고찰해본 公法의 발전 과정 및 미래 전망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55) : 211-237, 2018

      17 장영철, "사법의 헌법화경향에 대한 소고 ― 독일과 한국의 헌법판례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5 (25): 1-36, 2018

      18 류철호, "법령상 협의규정에 관한 검토" 법제처 (569) : 2005

      19 박훈민, "독일행정법상 국고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 ‘국가사인설’의 이론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4

      20 차진아, "독일의 차별금지법 체계와 「일반적 평등대우법」의 역할" 한국공법학회 40 (40): 327-356, 2011

      21 황선훈 ; 김병기, "독일 이단계이론에 대한 법적 소고" 중앙법학회 17 (17): 185-222, 2015

      22 강지은, "독일 공법상 1차권리구제와 2차권리구제 — 전통적 도그마틱의 변화와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60) : 53-77, 2020

      23 양천수, "공익과 사익의 혼융현상을 통해 본 공익 개념 : 공익 개념에 대한 법사회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5 (5): 2008

      24 정호경, "공법・사법 구별과 행정법 : 독일에서의 역사적 발전과 그 방법론적 의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1

      25 김용욱, "공법과 사법 구분의 기원‧변천 및 당위체계에 관한 연구 - 금전급부 8 유형론의 구체적 실례 및 그 정리와 해결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50 : 166-216, 2015

      26 정호경, "공(公)사법(私法) 구별의 역사와 의미에 관한 일고찰(1)"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3 (23): 2006

      27 김대환, "私法秩序에서의 기본권의 효력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6 (16): 117-163, 2010

      28 박정훈, "公ㆍ私法 區別의 方法論的 意義와 限界 ― 프랑스와 독일에서의 발전과정을 참고하여 ―" 한국공법학회 37 (37): 83-110, 2009

      29 이승민, "‘불확정 부관(개방형 부관)’에 대한 법적 검토 ― 협의, 협약(계약) 체결, 사후 승인신청 등을 요하는 부관의 법적 문제점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48) : 153-184, 2017

      30 Ute Sacksofsky, "Öffentliches Recht und Privatrecht(Veröffentlichungen der Vereinigung der Deutschen Staatsrechtslehrer), Band 79" De Gruyter 2020

      31 Bernhard Stüer, "Öffentliches Recht und Privatrecht" 23 : 2019

      32 Stefan Muckel, "Wandel des Verhältnisses von Staat und Gesellschaft" 79 : 2020

      33 Sophie Schönberger, "Wandel des Verhältnisses von Staat und Gesellschaft" 79 : 2020

      34 Hans Peter Ipsen, "Verwaltung durch Subventionen" 25 : 1967

      35 Sabine Schlacke, "Verschränkungen öffentlich-rechtlicher und privatrechtlicher Regime im Verwaltungsrecht" 79 : 2020

      36 Klaus-Dieter Drüen, "Verschränkungen öffentlich-rechtlicher und privatrechtlicher Regime im Verwaltungsrecht" 79 : 2020

      37 Robert Frau, "Versammlungsfreiheit und Privateigentum"

      38 Mark Freedland, "The Public Law/Private Law Divide" Hart Publishing 2006

      39 Friedhelm Hufen, "Staatsrecht II" C. H. Beck 2020

      40 Henning Wendt, "Recht zur Versammlung auf fremdem Eigentum?"

      41 Jan Philipp Schaefer, "Neues vom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Gewährleistungsverantwortung nach dem Fraport-Urteil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51 : 2012

      42 Jeanne de Gliniasty, "Les théories jurisprudentielles en droit administratif"

      43 Margrit Seckelmann, "Kategoriale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23 : 2019

      44 Alexander Somek, "Kategoriale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79 : 2020

      45 Julian Krüper, "Kategoriale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79 : 2020

      46 Hoffmann-Riem, "Grundlagen des Verwaltungsrechts, Band I" C. H. Beck 2006

      47 Conrad Neumann, "Flashmobs, Smartmobs, Massenpartys. die rechtliche Beurteilung moderner Kommunikations- und Interaktionsformen"

      48 Pierre-Laurent Frier, "Droit administratif"

      49 Oliver Dörr, "Der europäisierte Rechtsschutzauftrag deutscher Gerichte - Artikel 19 Abs. 4 GG unter dem Einfluß des europäischen Unionsrecht" Mohr Siebeck 2003

      50 Ulrich Jan Schröder, "Das Verhältnis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23 : 2019

      51 Hartmut Maurer, "Allgemeines Verwaltungsrecht" C.H. Beck 2020

      52 이원우, "21세기 행정환경의 변화와 행정법학방법론의 과제" 행정법이론실무학회 (48) : 83-11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1-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영문명 : Korea Administrative Law And Practice Association(약칭 Kalpa) -> Korea Administrative Law And Practice Association(약칭 KALP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행정법연구(行政法硏究) -> 행정법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1 1.37 1.384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