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를 통해 본 국악 숏폼(Short-form) 동영상 콘텐츠의 분석 = Analysis of Korean Music Short-form Video content Focusing on Social Network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25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self-sustaining popularity of Korean music and to exam- ine the video cont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 Korean music shortform by content and type in terms of future Korean music industry. Prior to this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se- lect the Nuri network service "Instagram"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596 shortform video con- tents were analyzed by subject, genre, and number of views through hashtag search. As a result, first, the 596 short-form video contents analyzed were divided into nine themes by subject, of which 155 (26%) were broadcasted and edited, and 132 (22.1%) were popular Korean instrument cover types. However, there were two (0.3%) typ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hich was very insufficient. Second, i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by genre, it was divided into songs, instrumental music, dance, theory, and other categories. The field of song and instrumental music topped the list, with the number of 251 (45.1%) and 169 (28.3%) respectively. In detail, 167 (28%) was the field of song combined with popular music, and 72(12.1%) Piri and 41(6.9%) Gayageum were top in the field of in- strumental music. However, the field of dance and theory of Korean music seem a very low tendency, with the number of 24(4%) and 0(0%) respectively. Third, in the top 20 views, by subject, 9 (45%) cov- ered popular song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14 creative types (70%) were the most common in video typ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hort-form video content is currently exerting considerable ripple effects in the culture and arts and Korean music industries, so it identi- f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discussed some future Korean music content direc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self-sustaining popularity of Korean music and to exam- ine the video cont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 Korean music shortform by content and type in terms of future Korean music industry. Prior to this s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self-sustaining popularity of Korean music and to exam- ine the video cont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 Korean music shortform by content and type in terms of future Korean music industry. Prior to this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se- lect the Nuri network service "Instagram"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596 shortform video con- tents were analyzed by subject, genre, and number of views through hashtag search. As a result, first, the 596 short-form video contents analyzed were divided into nine themes by subject, of which 155 (26%) were broadcasted and edited, and 132 (22.1%) were popular Korean instrument cover types. However, there were two (0.3%) typ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hich was very insufficient. Second, i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by genre, it was divided into songs, instrumental music, dance, theory, and other categories. The field of song and instrumental music topped the list, with the number of 251 (45.1%) and 169 (28.3%) respectively. In detail, 167 (28%) was the field of song combined with popular music, and 72(12.1%) Piri and 41(6.9%) Gayageum were top in the field of in- strumental music. However, the field of dance and theory of Korean music seem a very low tendency, with the number of 24(4%) and 0(0%) respectively. Third, in the top 20 views, by subject, 9 (45%) cov- ered popular song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14 creative types (70%) were the most common in video typ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hort-form video content is currently exerting considerable ripple effects in the culture and arts and Korean music industries, so it identi- fied the current situation and discussed some future Korean music content direc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악의 자생적인 대중성 확보와 미래 국악산업 측면에서 누리 소통망 서비스(이하, SNS)의 국악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내용과 유형별로 살펴보고 국악 숏폼 콘텐츠의 방향과 제언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조사에 앞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누리 소통망 서비스 ‘인스타그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해시 태그(Hashtag) 검색을 통해 596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주제별, 장르별, 조회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분석된 596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주제별로 다시 9개의 주제로 나누어졌다. 세부적으로는 방 송홍보 및 편집형이 155개(26%)로 가장 많았고 차상위로 대중가요 국악기 커버형이 132개(22.1%)로 나타났 다. 다만 국악 교육형은 2개(0.3%)로 매우 부족하였다. 둘째, 국악의 장르별 분류에서는 가창, 기악, 무용, 이 론 그 외 4가지로 나누어 구별하였다. 가창분야 251개(45.1%), 기악분야 169개(28.3%)가 상위를 차지했으 며 세부적으로는 대중가요와 결합한 가창형태가 167개(28%)로, 기악분야에서는 피리 72개(12.1%)와 가야금 41개(6.9%)가 상위에 해당하였다. 반면 무용분야는 24개(4%), 국악이론은 0개(0%)로 저조하였다. 셋째, 20 개의 최상위 조회수에서 주제별로는 대중가요 국악기 커버형이 9개(45%)로 가장 많았으며 영상유형에서는 크 리에이티브 유형이 14개(70%)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현재 숏폼 동영상 콘텐츠가 상당한 파급력을 행사하 고 있다는 점에서 현 상황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미래 국악 콘텐츠 방향을 일부 논의한 것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악의 자생적인 대중성 확보와 미래 국악산업 측면에서 누리 소통망 서비스(이하, SNS)의 국악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내용과 유형별로 살펴보고 국악 숏폼 콘텐츠의 방향과 제언...

      본 연구는 국악의 자생적인 대중성 확보와 미래 국악산업 측면에서 누리 소통망 서비스(이하, SNS)의 국악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내용과 유형별로 살펴보고 국악 숏폼 콘텐츠의 방향과 제언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조사에 앞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누리 소통망 서비스 ‘인스타그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해시 태그(Hashtag) 검색을 통해 596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를 주제별, 장르별, 조회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분석된 596개의 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주제별로 다시 9개의 주제로 나누어졌다. 세부적으로는 방 송홍보 및 편집형이 155개(26%)로 가장 많았고 차상위로 대중가요 국악기 커버형이 132개(22.1%)로 나타났 다. 다만 국악 교육형은 2개(0.3%)로 매우 부족하였다. 둘째, 국악의 장르별 분류에서는 가창, 기악, 무용, 이 론 그 외 4가지로 나누어 구별하였다. 가창분야 251개(45.1%), 기악분야 169개(28.3%)가 상위를 차지했으 며 세부적으로는 대중가요와 결합한 가창형태가 167개(28%)로, 기악분야에서는 피리 72개(12.1%)와 가야금 41개(6.9%)가 상위에 해당하였다. 반면 무용분야는 24개(4%), 국악이론은 0개(0%)로 저조하였다. 셋째, 20 개의 최상위 조회수에서 주제별로는 대중가요 국악기 커버형이 9개(45%)로 가장 많았으며 영상유형에서는 크 리에이티브 유형이 14개(70%)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현재 숏폼 동영상 콘텐츠가 상당한 파급력을 행사하 고 있다는 점에서 현 상황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미래 국악 콘텐츠 방향을 일부 논의한 것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녕, "한국무용작품 분석을 통한 콘텐츠 활용방안: 국·공립 예술단체 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8

      2 단문수, "한·중 국악을 활용한 리얼리티 프로그램 특성 비교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3 김희선, "포스트 코로나 예술 패러다임 전환과 전통공연예술의 사유와 모색" 한국예술연구소 (30) : 27-52, 2020

      4 장윤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악공연의 환경변화: 사회적 거리두기 속 국악공연의 의미, 형태, 소통과 활용" 동양음악연구소 48 : 83-104, 2020

      5 김자은, "전통공연예술 관객개발을 위한 영상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7

      6 송정아, "이러닝 e-learning 국악교육 콘텐츠 현황 연구 : 아카이브·이론교육 이러닝·실기교육 이러닝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7 오윤지 ; 김영재, "은유추출기법을 활용한 온라인 국악공연 콘텐츠 구현 방식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37-56, 2021

      8 장유진, "유튜브 국악 커버영상의 흥행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9 정민희, "온라인문화예술플랫폼이 국악의 가치확산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 온스테이지2.0을 중심으로" 37-56, 2020

      10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58) : 121-139, 2020

      1 이소녕, "한국무용작품 분석을 통한 콘텐츠 활용방안: 국·공립 예술단체 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8

      2 단문수, "한·중 국악을 활용한 리얼리티 프로그램 특성 비교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3 김희선, "포스트 코로나 예술 패러다임 전환과 전통공연예술의 사유와 모색" 한국예술연구소 (30) : 27-52, 2020

      4 장윤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악공연의 환경변화: 사회적 거리두기 속 국악공연의 의미, 형태, 소통과 활용" 동양음악연구소 48 : 83-104, 2020

      5 김자은, "전통공연예술 관객개발을 위한 영상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7

      6 송정아, "이러닝 e-learning 국악교육 콘텐츠 현황 연구 : 아카이브·이론교육 이러닝·실기교육 이러닝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7 오윤지 ; 김영재, "은유추출기법을 활용한 온라인 국악공연 콘텐츠 구현 방식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37-56, 2021

      8 장유진, "유튜브 국악 커버영상의 흥행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9 정민희, "온라인문화예술플랫폼이 국악의 가치확산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 온스테이지2.0을 중심으로" 37-56, 2020

      10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58) : 121-139, 2020

      11 송미숙, "문화예술교육개론" 레인보우북스 2019

      12 김희선 ; 박유성, "기술구현을 통한 전통공연예술의 확장과 미래 -국립국악원 국악 VR의 제작과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49 (49): 45-74, 2020

      13 "국어국어원"

      14 정설주, "국악찬양 콘텐츠 개발 연구-시조 찬양을 중심으로-" 3 : 97-119, 2018

      15 김경태,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7) : 83-102, 2021

      16 허정은, "국악 공연 실황 영상 콘텐츠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17 강여주, "국립국악원 공연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관객 만족도 분석" 국립국악원 (25) : 1-22, 2012

      18 서주연,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사례를 통한 문화콘텐츠로의 발전 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19 송방송, "韓國音樂通史" 일조각 1998

      20 김광희, "ʼ아리랑ʼ을 소재로 한 공연콘텐츠 개발방안-전남도립국악단을 중심으로-" 3 : 267-300, 2013

      21 이연지, "Z세대의 온라인 동영상 광고에 대한 지각된 침입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22 석무현, "SNS를 활용한 국악콘텐츠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23 송영우, "SNS 마케팅 방법론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6

      24 차이창 ; 이동훈, "AISAS 모델 기반의 중국 숏폼 (short-form) 비디오 광고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6 : 393-406, 2021

      25 이창민, "2020 미디어 트렌드" 한스미디어 2016

      26 김천수, "1인미디어 시대의 글로벌스타들" 클라우드나인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1 1.11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