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과정에 나타난 과학적 대화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2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과정에 나타난 교사와 유아간의 과학적 대화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을 전공한 학사 이상 학력의 교사로서 교직경력이 3년 이상인 만 5세반을 담당하고 있는 공, 사립유치원 교사 10명이다. 연구대상 교사들은 사전 연구를 통하여 선정된 2가지 공통된 과학 활동을 수행하였다. 활동을 실시하기 전에 수업에 대한 계획안을 미리 작성하도록 하였는데 연구 대상 교사의 대부분이 교사-주도적인 형태의 실험활동으로 계획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주도적인 형태로 실시된 과학 실험 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과학적 대화를 분석하였다. 교사와 유아의 과학적 대화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유형은 개시 상호작용유형과 반응 상호작용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상호작용유형은 전반적으로 개시 상호작용이 반응 상호작용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시 상호작용유형에서는 진술형, 생산적질문형, 단순질문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응 상호작용유형에서는 교사-중심적인 반응이 유아-중심적인 반응보다 높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과정에 나타난 교사와 유아간의 과학적 대화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을 전공한 학사 이상 학력의 교사로서 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과정에 나타난 교사와 유아간의 과학적 대화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을 전공한 학사 이상 학력의 교사로서 교직경력이 3년 이상인 만 5세반을 담당하고 있는 공, 사립유치원 교사 10명이다. 연구대상 교사들은 사전 연구를 통하여 선정된 2가지 공통된 과학 활동을 수행하였다. 활동을 실시하기 전에 수업에 대한 계획안을 미리 작성하도록 하였는데 연구 대상 교사의 대부분이 교사-주도적인 형태의 실험활동으로 계획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주도적인 형태로 실시된 과학 실험 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과학적 대화를 분석하였다. 교사와 유아의 과학적 대화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유형은 개시 상호작용유형과 반응 상호작용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상호작용유형은 전반적으로 개시 상호작용이 반응 상호작용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시 상호작용유형에서는 진술형, 생산적질문형, 단순질문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응 상호작용유형에서는 교사-중심적인 반응이 유아-중심적인 반응보다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the scientific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child during science teaching. This research studied 10 teachers in charge of 5-year-old classes in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korea. All teachers had at least a bachelor's degre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eaching experience of 3 years or more. The teachers conducted 2 common activities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study. Prior to conducting the activities, teachers were asked to document a lesson plan. Most of the plans developed by the teachers were teacher-led experiment activities. As a result, this research analyzed scientific dialogue demonstrated during teacher-led science experiment activity. The type of interaction in the scientific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child was analyzed after separating initiation interaction from responding interacti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reveal that overall, initiation interaction was more frequent than responding interaction. Among initiation interaction, the most frequent type was statements followed by productive questions and simple questions. Among responding interaction, teacher-centered responses were more frequent child-centered respons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nalyzed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the scientific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child during science teaching. This research studied 10 teachers in charge of 5-year-old classes in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korea. All teache...

      This research analyzed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the scientific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child during science teaching. This research studied 10 teachers in charge of 5-year-old classes in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korea. All teachers had at least a bachelor's degre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eaching experience of 3 years or more. The teachers conducted 2 common activities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study. Prior to conducting the activities, teachers were asked to document a lesson plan. Most of the plans developed by the teachers were teacher-led experiment activities. As a result, this research analyzed scientific dialogue demonstrated during teacher-led science experiment activity. The type of interaction in the scientific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child was analyzed after separating initiation interaction from responding interacti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reveal that overall, initiation interaction was more frequent than responding interaction. Among initiation interaction, the most frequent type was statements followed by productive questions and simple questions. Among responding interaction, teacher-centered responses were more frequent child-centered respon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화, "질 높은 교수-학습을 위한 상호작용분석" 17 (17): 79-99, 1994

      2 김미숙,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활동 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3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 지식과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5 (5): 117-139, 2001

      4 Kamii, C., "물리적 지식 활동 : 피아제 이론이 암사하는 과학 교육" 창지사 1990

      5 김애옥, "교사의 언어형태가 유아의 과학적 행동유형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6 유은경, "과학활동 전개시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12 (12): 105-123, 2003

      7 송명섭, "과학 탐구 학습을 위한 교사의 질문" 40 : 71-91, 2005

      8 Shepardson, D. P., "Zones of interaction: Differential access to elementary science discourse" 43 (43): 443-466, 2006

      9 Abraham, M. R., "Verbal interaction: A menas for self-evaluation" 73 (73): 678-686, 1973

      10 Varelas, M., "Urban primary-grade children think and talk science: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hat nurture participation and argumentation" 92 (92): 65-95, 2008

      1 정진화, "질 높은 교수-학습을 위한 상호작용분석" 17 (17): 79-99, 1994

      2 김미숙,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활동 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3 조형숙, "유아교사의 과학 지식과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5 (5): 117-139, 2001

      4 Kamii, C., "물리적 지식 활동 : 피아제 이론이 암사하는 과학 교육" 창지사 1990

      5 김애옥, "교사의 언어형태가 유아의 과학적 행동유형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6 유은경, "과학활동 전개시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12 (12): 105-123, 2003

      7 송명섭, "과학 탐구 학습을 위한 교사의 질문" 40 : 71-91, 2005

      8 Shepardson, D. P., "Zones of interaction: Differential access to elementary science discourse" 43 (43): 443-466, 2006

      9 Abraham, M. R., "Verbal interaction: A menas for self-evaluation" 73 (73): 678-686, 1973

      10 Varelas, M., "Urban primary-grade children think and talk science: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hat nurture participation and argumentation" 92 (92): 65-95, 2008

      11 Harlen, W., "The teaching of science in primary schools" David Fulton Publishers 2000

      12 Elstgeest, J., "The right question at the right time. in: Primary science: Taking the plunge" Heinemann 25-35, 2001

      13 Buzzelli, C. A., "The moral implications of teacher-child discours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11 : 515-534, 1996

      14 Olson, J. K., "The crucial role of the teacher" 46 (46): 45-49, 2008

      15 Martin, R.,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Inquiry methods for constructing understanding" Pearson Education 2005

      16 Tu, T., "Teacher-child verbal interactions in preschool science teaching" Iowa state University 2001

      17 Hapgood, S., "Teacher, text, and experience: A case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13 (13): 455-505, 2004

      18 Lemke, J.,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0

      19 Candela, A., "Students' power in classroom discourse" 10 (10): 139-163, 1999

      20 O'Connor, M., "Shifting participant frameworks: Orchestrating thinking practices in group discussion. in: Discourse, learning, and schooling" Cambridge University 63-103, 1996

      21 Harlan, J. D.,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An integrated approach" Merill Prentice Hall 2000

      22 Norton-Meier, L., "Questions, claims, and evidence: The important place of argument in children's writing" NSTA Press 2008

      23 Newton, L. D., "Questions that help children understand elementary science" 18 (18): 6-9, 2002

      24 Herris, D. P., "Questioning 'open questioning' in early years science dicourse from social semiotic perspective" 46 : 68-82, 2007

      25 Tu, T., "Preschool science environment: What is available in a preschool classroom?" 33 (33): 245-251, 2006

      26 Forman, E. A., "Orchestrating the multiple voices and inscriptions of a mathematics classroom" 11 (11): 251-174, 2002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1996

      28 Clough, M. P., "Modified SATIC coding sheet" Iowa State University 1999

      29 Charlesworth, R., "Math & Science for young children (5th ed.)" Thomson Delmar Learning 2007

      30 Samarapungavan, A., "Learning science through inquiry in kindergarten" 92 : 868-908, 2008

      31 Jurow, A. S., "Improvisational science discourse: Teaching science in two K-1 classroom" 16 : 275-297, 2005

      32 Fleer, M., "Identifying teacher-child interaction which scaffolds scientific thinking in young children" 76 (76): 373-397, 1992

      33 Jalongo, M. R., "Exploring your role: A practitioner's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2nd ed.)" Prentice Hall 2004

      34 Moje, E. B., "Exploring discourse, subjectivity, and knowledge in a chemistry class" 32 : 35-44, 1997

      35 Kelly, G., "Experiments, contingencies and curriculum: Providing opportunities for learning through improvisation in science teaching" 84 : 624-657, 2000

      36 Neuman, D., "Experiences in science for young children" Waveland Press 1992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Eager to learn: Educating our preschoolers" National Academy Press 2001

      38 Friedman, R. C., "Differentiating instruction for high-achieving/gifted children in regular classrooms: A field test of gifted education models" 19 (19): 405-436, 1996

      39 Hicks, D., "Dicourse, learning, and teaching" 21 : 49-95, 1995

      40 Kostelnik, M, J.,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Best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4th ed.)" Merrill Prentice Hall 2007

      41 Sawyer, R. K., "Creative teaching: Collaborative discourse as disciplined improvisation" 33 (33): 12-20, 2004

      42 Martin, D. J.,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Delmar 2001

      43 Cazden,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2nd ed.)" Heinemann 2001

      44 Metz, K. E.,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Their conceptualization of uncertainty in investigations of their own design" 22 (22): 219-29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