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미정, "李學逵의 「金官竹枝詞」·「金官紀俗詩」 硏究飜譯"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 구모룡, "지역문학과 주변부적 시각" 신생 2006
3 김성진, "조선후기 김해의 생활상에 미친 일본문물"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52 : 291-312, 1998
4 김영숙, "조선시대 영사악부 연구" 영남대학교 1988
5 송기섭, "장소의 생성과 지역문학" 국어문학회 75 (75): 163-189, 2020
6 구모룡, "장소와 공간의 지역문학―지역문학의 문화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337-361, 2009
7 박혜숙, "이학규의 악부시와 김해" 한국시가학회 6 : 163-183, 2000
8 정우봉, "이학규의 문학론 연구" 한국한문학회 12 : 375-396, 1989
9 석진주, "이학규의 「영남악부」·「해동악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국진, "이학규 한시의 표현기법과 미적 특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 안미정, "李學逵의 「金官竹枝詞」·「金官紀俗詩」 硏究飜譯"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 구모룡, "지역문학과 주변부적 시각" 신생 2006
3 김성진, "조선후기 김해의 생활상에 미친 일본문물"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52 : 291-312, 1998
4 김영숙, "조선시대 영사악부 연구" 영남대학교 1988
5 송기섭, "장소의 생성과 지역문학" 국어문학회 75 (75): 163-189, 2020
6 구모룡, "장소와 공간의 지역문학―지역문학의 문화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337-361, 2009
7 박혜숙, "이학규의 악부시와 김해" 한국시가학회 6 : 163-183, 2000
8 정우봉, "이학규의 문학론 연구" 한국한문학회 12 : 375-396, 1989
9 석진주, "이학규의 「영남악부」·「해동악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국진, "이학규 한시의 표현기법과 미적 특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1 송준호, "유득공의 시문학 연구" 태학사 1985
1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주 이십일도회고시" 푸른역사 2009
13 민긍기, "역주 김해읍지" 누리 2014
14 심경호, "서정자아의 근대적 변모와 그 한계-낙하생 이학규의 한시를 중심으로" 일지사 4 : 176-205, 1981
15 이학규, "낙하생집" 민족문화추진회
16 이학규, "낙하생전집상ㆍ중ㆍ하" 아세아문화사 1985
17 임형택, "낙하생전집 해제, 낙하생전집상" 아세아문화사 1985
18 정우봉, "낙하생 이학규의 산문세계" 6 : 185-212, 2003
19 이강옥, "낙하생 이학규의 문학과 조선후기 김해" 경남부산지역문학회 10 : 135-184, 2004
20 정은주, "낙하생 이학규 문학의 변모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21 백원철, "낙하생 이학규 문학연구" 보고사 2005
22 이병태, "김해지리지" 김해문화원 2002
23 김철범, "김해제영시 일고-김해팔경시류를 중점으로" 경성대 한국학연구소 3 : 45-66, 1995
24 최재남, "금관가야지역의 회고시와 기속시" 경남대 인문과학연구소 6 : 105-123, 1994
25 김창원, "고전시가의 지역성과 심상지리" 한국문화사
26 김수천, "洛下生 李學逵의 嶺南樂府 硏究 : 作家意識의 變貌 樣相을 中心으로"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7
27 마루타 하지메, "‘장소’론-웹상의 리얼리즘과 지역의 로맨티시즘" 심산 2011
28 정은주, "19세기 星湖學派 문인의 문물 고증과 기록, 『東事日知』" 한국한문고전학회 31 (31): 223-25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