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학규 문학의 장소성과 지역문학적 위상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 The Placeness of Lee Hak-kyu's Literatureand Its Status as Local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8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akhasaeng Lee Hak-gyu (1770-1835), who lived in exile for 24 years in Gimhae at the mouth of the Nakdonggang River in the early 19th century, viewed places in Gimhae and how he shaped them into literature, and thus ultimately to identify the status of his local literature.
      Lee Hak-kyu's works feature a large number of everyday places and living environments, along with many place names are mentioned. . He shows an attitude of inquiry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by specifying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a region or place and adding historical commentary when explaining or incorporating it into his literary work. This study examined places by dividing them into two types: those with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ose having the concreteness of present life.
      While living in Gimhae, Lee Hak-kyu had a lasting relationship with historical places and shaped them into literary work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historical place is Gujibong Peak,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his literary works over a long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way it was presented. The differences are attributed to changes in his attitude over time, along with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styles such as nostalgic poetry, Yuefu poetry and folk poetry.
      Overall, Lee’s interest is more focused on places related to contemporary life than historical places. He observed and described places and events related to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revealing their everydayness and present meaning. He viewed and accepted places such as the sea and markets as new symbols of the region. He paid more attention to “this place where I now live (in exile)”, his realistic and individual life. That is, he focused more on the history filled with contemporary life than the theoretical historicity.
      t is a significant achievement of Lee Hak-gyu's literature that it highlighted the concreteness of cultural reality changing in history and discovered places of “today and here ”, thus building a realistic world of literature. This also contributes to creating the image of Gimhae as a region. The establishment of local identity or a new understanding of local history does not seem to be his ultimate goal. However, his works are regarded as an outstanding achievement of (Gimhae’s) local literature in that they consequently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reaching such a goa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akhasaeng Lee Hak-gyu (1770-1835), who lived in exile for 24 years in Gimhae at the mouth of the Nakdonggang River in the early 19th century, viewed places in Gimhae and how he shaped them into literatu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akhasaeng Lee Hak-gyu (1770-1835), who lived in exile for 24 years in Gimhae at the mouth of the Nakdonggang River in the early 19th century, viewed places in Gimhae and how he shaped them into literature, and thus ultimately to identify the status of his local literature.
      Lee Hak-kyu's works feature a large number of everyday places and living environments, along with many place names are mentioned. . He shows an attitude of inquiry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by specifying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a region or place and adding historical commentary when explaining or incorporating it into his literary work. This study examined places by dividing them into two types: those with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ose having the concreteness of present life.
      While living in Gimhae, Lee Hak-kyu had a lasting relationship with historical places and shaped them into literary work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historical place is Gujibong Peak,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his literary works over a long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way it was presented. The differences are attributed to changes in his attitude over time, along with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styles such as nostalgic poetry, Yuefu poetry and folk poetry.
      Overall, Lee’s interest is more focused on places related to contemporary life than historical places. He observed and described places and events related to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revealing their everydayness and present meaning. He viewed and accepted places such as the sea and markets as new symbols of the region. He paid more attention to “this place where I now live (in exile)”, his realistic and individual life. That is, he focused more on the history filled with contemporary life than the theoretical historicity.
      t is a significant achievement of Lee Hak-gyu's literature that it highlighted the concreteness of cultural reality changing in history and discovered places of “today and here ”, thus building a realistic world of literature. This also contributes to creating the image of Gimhae as a region. The establishment of local identity or a new understanding of local history does not seem to be his ultimate goal. However, his works are regarded as an outstanding achievement of (Gimhae’s) local literature in that they consequently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reaching such a go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세기 초 낙동강 하구의 김해에서 24년 간 유배생활을 했던 洛下生 李學逵(1770-1835)가 김해의 장소들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어떻게 작품으로 형상화했는가 고찰하고 이를 통해 이학규 문학의 지역문학적 위상을 구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학규의 작품에는 지명들이 많고 특히 일상 장소나 생활현장들이 대거 수용되어 있다. 지역ㆍ장소를 작품화거나 설명할 때는 방위ㆍ거리를 표시하고 고증적 해설에 공들임으로써 고증에 의한 탐구 태도를 보여 준다. 본고에서는 이 장소들을 역사적 성격을 갖는 장소와 현재 삶의 구체성을 담은 장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는 김해에 거주하면서 역사 장소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며 작품화했다. 구지봉은 대표적인 역사 장소로 오랜 시간에 걸쳐 작품화되었는데 그 태도나 그리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여기에는 회고시ㆍ악부시ㆍ기속시와 같은 양식적 성격과 함께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태도 변화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역사 장소보다 당대 삶과 관련된 장소에 대한 관심이 더 열려 있다. 그는 지역민의 삶과 관련된 지역, 개별 장소, 지역의 장소 표시들(바다, 시장)을 관찰, 묘사하며 그 일상성 및 현재적 의미를 드러냈다. 그는 내가 지금 (유배)살고 있는 이곳, 현실적이고 개별적인 삶에 더 관심을 가지고, 원론적인 역사성보다 당대의 삶이 구성하는 역사에 더 중점을 둔 것으로 생각된다.
      역사 속에서 접변하는 문화현실의 구체성에 주목하고 오늘ㆍ여기의 장소를 발견하여 寫實적이고 현실적인 문학세계를 구축한 것은 이학규 문학의 중요한 성과이다. 이것은 또한 김해라는 지역의 심상을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 지역 정체성의 수립이나 지역사 재인식이 궁극적인 목표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나, 결과적으로 그의 작품이 그러한 목표에 도달하는 두터운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김해)지역문학의 탁월한 성취라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19세기 초 낙동강 하구의 김해에서 24년 간 유배생활을 했던 洛下生 李學逵(1770-1835)가 김해의 장소들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어떻게 작품으로 형상화했는가 고찰하고 이를 통해 이...

      본고는 19세기 초 낙동강 하구의 김해에서 24년 간 유배생활을 했던 洛下生 李學逵(1770-1835)가 김해의 장소들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어떻게 작품으로 형상화했는가 고찰하고 이를 통해 이학규 문학의 지역문학적 위상을 구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학규의 작품에는 지명들이 많고 특히 일상 장소나 생활현장들이 대거 수용되어 있다. 지역ㆍ장소를 작품화거나 설명할 때는 방위ㆍ거리를 표시하고 고증적 해설에 공들임으로써 고증에 의한 탐구 태도를 보여 준다. 본고에서는 이 장소들을 역사적 성격을 갖는 장소와 현재 삶의 구체성을 담은 장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는 김해에 거주하면서 역사 장소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며 작품화했다. 구지봉은 대표적인 역사 장소로 오랜 시간에 걸쳐 작품화되었는데 그 태도나 그리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여기에는 회고시ㆍ악부시ㆍ기속시와 같은 양식적 성격과 함께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태도 변화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역사 장소보다 당대 삶과 관련된 장소에 대한 관심이 더 열려 있다. 그는 지역민의 삶과 관련된 지역, 개별 장소, 지역의 장소 표시들(바다, 시장)을 관찰, 묘사하며 그 일상성 및 현재적 의미를 드러냈다. 그는 내가 지금 (유배)살고 있는 이곳, 현실적이고 개별적인 삶에 더 관심을 가지고, 원론적인 역사성보다 당대의 삶이 구성하는 역사에 더 중점을 둔 것으로 생각된다.
      역사 속에서 접변하는 문화현실의 구체성에 주목하고 오늘ㆍ여기의 장소를 발견하여 寫實적이고 현실적인 문학세계를 구축한 것은 이학규 문학의 중요한 성과이다. 이것은 또한 김해라는 지역의 심상을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 지역 정체성의 수립이나 지역사 재인식이 궁극적인 목표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나, 결과적으로 그의 작품이 그러한 목표에 도달하는 두터운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김해)지역문학의 탁월한 성취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미정, "李學逵의 「金官竹枝詞」·「金官紀俗詩」 硏究飜譯"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 구모룡, "지역문학과 주변부적 시각" 신생 2006

      3 김성진, "조선후기 김해의 생활상에 미친 일본문물"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52 : 291-312, 1998

      4 김영숙, "조선시대 영사악부 연구" 영남대학교 1988

      5 송기섭, "장소의 생성과 지역문학" 국어문학회 75 (75): 163-189, 2020

      6 구모룡, "장소와 공간의 지역문학―지역문학의 문화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337-361, 2009

      7 박혜숙, "이학규의 악부시와 김해" 한국시가학회 6 : 163-183, 2000

      8 정우봉, "이학규의 문학론 연구" 한국한문학회 12 : 375-396, 1989

      9 석진주, "이학규의 「영남악부」·「해동악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국진, "이학규 한시의 표현기법과 미적 특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 안미정, "李學逵의 「金官竹枝詞」·「金官紀俗詩」 硏究飜譯"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 구모룡, "지역문학과 주변부적 시각" 신생 2006

      3 김성진, "조선후기 김해의 생활상에 미친 일본문물" 부산대 인문학연구소 52 : 291-312, 1998

      4 김영숙, "조선시대 영사악부 연구" 영남대학교 1988

      5 송기섭, "장소의 생성과 지역문학" 국어문학회 75 (75): 163-189, 2020

      6 구모룡, "장소와 공간의 지역문학―지역문학의 문화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337-361, 2009

      7 박혜숙, "이학규의 악부시와 김해" 한국시가학회 6 : 163-183, 2000

      8 정우봉, "이학규의 문학론 연구" 한국한문학회 12 : 375-396, 1989

      9 석진주, "이학규의 「영남악부」·「해동악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국진, "이학규 한시의 표현기법과 미적 특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1 송준호, "유득공의 시문학 연구" 태학사 1985

      1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주 이십일도회고시" 푸른역사 2009

      13 민긍기, "역주 김해읍지" 누리 2014

      14 심경호, "서정자아의 근대적 변모와 그 한계-낙하생 이학규의 한시를 중심으로" 일지사 4 : 176-205, 1981

      15 이학규, "낙하생집" 민족문화추진회

      16 이학규, "낙하생전집상ㆍ중ㆍ하" 아세아문화사 1985

      17 임형택, "낙하생전집 해제, 낙하생전집상" 아세아문화사 1985

      18 정우봉, "낙하생 이학규의 산문세계" 6 : 185-212, 2003

      19 이강옥, "낙하생 이학규의 문학과 조선후기 김해" 경남부산지역문학회 10 : 135-184, 2004

      20 정은주, "낙하생 이학규 문학의 변모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21 백원철, "낙하생 이학규 문학연구" 보고사 2005

      22 이병태, "김해지리지" 김해문화원 2002

      23 김철범, "김해제영시 일고-김해팔경시류를 중점으로" 경성대 한국학연구소 3 : 45-66, 1995

      24 최재남, "금관가야지역의 회고시와 기속시" 경남대 인문과학연구소 6 : 105-123, 1994

      25 김창원, "고전시가의 지역성과 심상지리" 한국문화사

      26 김수천, "洛下生 李學逵의 嶺南樂府 硏究 : 作家意識의 變貌 樣相을 中心으로"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7

      27 마루타 하지메, "‘장소’론-웹상의 리얼리즘과 지역의 로맨티시즘" 심산 2011

      28 정은주, "19세기 星湖學派 문인의 문물 고증과 기록, 『東事日知』" 한국한문고전학회 31 (31): 223-25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