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 公共組織의 效果的 팀제 導入 戰略에 관한 硏究 : 行政自治部·KOTRA·LG化學 事例 比較 分析을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Strategy of Effective Team System for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9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am system cannot secure its success until appropriate process suitable for the organization is introduced. That is, it is difficult to simply integrate a successful team to the public organization, in which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organizat...

      Team system cannot secure its success until appropriate process suitable for the organization is introduced. That is, it is difficult to simply integrate a successful team to the public organization, in which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even if the team is successful for general corporations. Therefore, appropriate introduction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organization, should be passed through.
      Each ministry and office of central government is introducing the team system as a way of organization renov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that started with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in March 2005. This paper elucidates the appropriate strategy of team system, suitable for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establish successful team systems in public organizations and enhance its effect as a way of adapting the new environment in the rapidly changing administrative environment of central government.
      Under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auses of system change and suggest of effective team system and strategy to general organizations preparing for it, especially public organizations, by clarifying what environments and elements are factors that influence system changes and how they are applied in terms of general organizations and policy changes by analyzing the case studies of the process of successful team system, successfully introduced by various subjects until now. For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eam system to public institutions, public enterprises, and private enterprises, which are evaluated as the introduction of comparatively successful team system in order to draw the success factors of team system, especially introduction process.
      The summarizations about the results of case studies on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eam system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KOTRA, and LG Chemicals are as follows: First,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is reforming the conventional and inefficient organizations, KOTRA is getting out of the operation of typically inefficient corporations, and LG Chemicals is introducing the team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lowdown of corporation growth, the increase of organization, the over growth of organization size, the acceleration of promotion backlog, the decline of morale, aging of high position people, and the aggravation of labor cost.
      Second, seeing the results of case studies,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KOTRA, and LG Chemical reorganized all sorts of systems, supporting th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and this systematic consolidation was better performed in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public enterprises such as KOTRA than in private enterprises such as LG chemical.
      Third, all study objects commonly introduced the task force, set the principle of appropriate division of work, and tended to transfer the authority of settlement to the subordinate while downsizing the stages of settlement in both private enterprise and public sector.
      Fourth, the subordinate class of public sector did not feel the necessity of team system in the introduction process and reacted passively, while the chief officers revealed strong willingness and support of team system, and in the private enterprise, the willingness of chief officer to introduce the system was very aggressive, and the organization members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of team system and they were actively engaged in the team.
      Fifth, in the public sector, the aggressive willingness of chief officers was strong, while the sharing of objectives among members and concreteness of those objectives were rather low, whereas LG Chemicals shared the team objects with concreteness.
      In such way, as a result of analyzing, summarizing, and evaluating the cases of team system introduction process, the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KOTRA focused on the reconsideration of efficiency within the organization, and LG Chemicals put weight on resolving the interior problems such as the backlog of promotion, ageing, the increase of high positions, and the burden of labor cost.
      Second, the consolidation service and establishment of relevant systems were actively carried out. Study objects introduced new evaluation system and reward system, and established the information system.
      Third, the team system types of all study objects were similar to the large team system and task force team, and settlement stages were readjusted downwardly below the team leader and broadly reduced under the line of team leaders or general managers.
      Fourth, the strong willingness of introduction and support of chief executive officers were working significantly in the study objects, and in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eam system, all sorts of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were appointed to team leaders, along with the demand of the role of team leaders and leadership.
      Fifth, when the attitude on th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is examined, the strong willingness of the chief officers was important as a driving force, but the sharing of objectives and concreteness was rather low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the perspective of effectiv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in public organizations, which hold a fixed and thoroughly bureaucratic culture,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expand the service of customer centered administration, traditionally hierarchical organization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team system organization in the public organization.
      Second, a team system that is suitable for the features of public organization should be introduced. If public organization ignores the features of public organization, and attempts the introduction only with the reason that it has improved the efficiency of private organization, the possibility to fail is higher than that of success.
      Third, the type of team system that should be introduced in the public organization should be of a task force type so that the size of team system should begin with the current large scale team system of department unit and be gradually downsized to a small scale team system of division unit, which can enhance efficiency, in consideration of current duty and bureaucratic tendencies.
      Fourth, th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should be recognized by all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members should lead the participation of all staff rather than outside promotion of th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Fifth, team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by phases, and especially, the objective of team system should be divided into long-term and short-term concretely and clearly.
      Sixth, the reorganization or complement of relevant system is needed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However, gradual complement or reorganization is needed rather than considerable chaos or unexpected side effect because of temporary complement, revision, and new establishment of system.
      Seventh, an operation that counts on its team leader excessively can cause a low outcome of the whole team or undesirable results, such as trouble within the team.
      Eighth, the willingness of introduction and support by the chief officer or top management are important in the success of team system.
      This paper has several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it was not reasonable to evaluate the outcome of cases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KOTRA, with the exception of LG Chemicals, which introduced team system a long time ago, because of short period of introduction. Nonetheless, public institutions and the sector of public enterprise were selected as cases because other appropriate cases were not found.
      Second, multidimensional access is needed because team system requires the whole change of organization. In this sense, this paper has limits in that it analyzed only selected factors of the introduction, operational system equipment, structure, maintenance, and systematic support of team system.
      Third, it is believed that more desirabl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can be suggested by analyzing team system through connecting the introduction process and the outcome of team system in the case analysis process of team system. However, due to the lack of documents, related to outco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cess and outcome of team process could not be sufficiently considered.
      First of all, in depth study should be conducted with the pluralizing case study objects of team system and finding more appropriate cas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index, measuring the introduction outcome of team system concretely and its applicationare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the objectivity of case studies.
      In addition, the objectivity of analysis should be enhanced by developing a standardized index, which is an analysis index that is related to the study of team system, and concrete casual relationships should be drawn by connecting analysis index with the outcome of team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팀제는 그 조직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적절한 도입 과정을 거쳐 도입되어야만 비로소 그 성공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일반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팀제라고 해서 조직적 ...

      팀제는 그 조직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적절한 도입 과정을 거쳐 도입되어야만 비로소 그 성공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일반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팀제라고 해서 조직적 특성에 큰 차이가 있는 공공조직에 그대로 단순히 접목시켜서는 성공적인 정착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그 조직에 맞는 적절한 도입 과정을 거쳐야만 할 것이다. 중앙정부는 2005년 3월에 행정자치부가 정부 최초로 본부·팀제 전면 도입을 시작으로 인하여 중앙기관의 각 부처에서는 조직혁신의 일환으로 속속 팀제를 도입하고 있다. 오늘날 급변하는 행정환경 속에서 중앙정부가 이러한 환경변화에 보다 유연하고 신속하게 적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일반조직 특히 공공조직의 팀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조직에 적합한 팀제의 도입 전략을 체계적으로 규명 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하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비교적 성공적으로 도입된 팀제 도입 과정을 사례 분석하여 일반적인 조직과 제도변화라는 차원에서 어떤 환경과 요소들이 제도변화의 영향 요인이고 그것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밝힘으로써 제도변화의 동인을 파악하여 팀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일반조직 특히 공공조직에 효과적인 팀제 도입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성공적으로 팀제를 도입하였다고 평가되고 있는 공공기관, 공기업, 사기업을 대상으로 팀제 도입 과정을 분석하고 팀제 도입의 성공 요소 특히 도입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행정자치부, KOTRA, LG화학에서의 팀제 도입 과정을 사례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행정자치부는 공무원 조직으로서 관행화된 비효율적이고 비능률적인 조직의 혁신을, KOTRA는 전형적인 비능률 기업에서의 탈피를, LG화학은 기업 성장의 둔화 및 조직증감과 조직규모의 비대화 문제와 승진적체 가속화와 구성원의 사기 저하, 중고령화·고직급화 현상, 인건비 부담 가중 등을 해소할 목적으로 각각 팀제를 도입하고 있다.
      둘째, 사례 분석 결과를 보면 행정자치부나 KOTRA나 LG화학 등 모두 팀제 도입과 함께 팀제 도입을 지원하는 각종 제도를 정비하였으며, 이러한 제도적 정비는 사기업인 LG화학에 비해 공공기관인 행정자치부나 공기업인 KOTRA에서 더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연구 대상 모두 공통적으로 우리나라 현실에서 도입되는 팀제가 대부대과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적절한 업무분담 원칙을 설정하고 있으며, 사기업이나 공공부문 모두 결제 단계를 모두 대폭 축소한 가운데 결제 권한을 하부로 크게 위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넷째, 팀제가 도입되는 과정에서 공공부문에서는 하위 계층이 그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면서 소극적이었던 반면 최고 책임자들이 적극적인 도입 의지와 지원을 하였고, 사기업에서도 최고경영자의 도입 의지와 지원이 매우 적극적이었으나 조직 구성원들도 팀제 필요성을 공감하고 적극 참여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섯째, 공공부문은 최고관리자의 적극적인 도입 의지에 의해 추진되면서 구성원들간의 목표공유와 구체화는 다소 떨어지고 있는데 반해 LG화학은 팀내 목표에 대해 공유되며 구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팀제 도입 과정을 사례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평가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팀제 도입의 목적을 보면 행정자치부와 KOTRA는 조직 내부의 효율성 제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LG화학은 승진적체, 중고령화·고직급화, 인건비 부담 가중 등 내부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둘째, 팀제 도입과 함께 관련제도의 정비 및 구축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들은 팀제 도입과 함께 새로운 평가제도와 보상제도를 도입하였고, 그리고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 모두 도입한 팀제 유형은 대팀제나 대부대과제로 유사하였으며, 결제 단계도 팀장 이하로 대폭 하향 조정하거나 팀장 및 본부장 선에서 종결되도록 대폭 축소하였다.
      넷째, 팀제의 도입에 있어서 연구 대상들은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도입 의지와 지원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고, 팀제 도입 과정에서 팀장에 대한 역할과 리더십을 크게 요구하면서 팀장에 대해 각종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고 있다.
      다섯째, 팀제 도입에 대한 구성원의 태도를 보면, 먼저 공공부문은 최고관리자의 적극적인 도입 의지에 의해 추진되면서 구성원들 간의 목표 공유와 구체화는 다소 떨어지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료적 성향이 강한 우리나라 조직 특히 오랫동안 고착화된 철저한 관료주의적 문화를 가지고 있는 공공조직에서 팀제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엇보다도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수요자 중심 행정 서비스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조직에서도 전통적인 계층제 조직에서 팀제 조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공공조직 특성에 적합한 팀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공공조직은 공공조직의 특성을 무시하고 팀제가 사조직에서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도입을 시도한다면 성공보다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셋째, 공공조직에서 도입해야 할 팀제 유형은 대부대과형으로, 팀제 규모는 현재의 업무나 관료적 성향을 감안할 때 현재의 부 단위 수준의 대규모 팀제로 시작하되 점차 효율성이 높은 과 단위의 소규모 팀제로 축소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팀제 도입을 외생적으로 추진되기 보다는 조직 구성원들이 모두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 직원이 모두 동참할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한다.
      다섯째, 팀제는 단계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팀제 도입의 목표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장단기로 나누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팀제 도입과 함께 관련제도를 개편하거나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의 보완·개선·신설 등이 일시적으로 이루어져 상당한 혼란이나 예기치 못한 부작용을 초래하기 보다는 점진적인 보완이나 개편이 요구된다.
      일곱째, 팀 운영과 관련하여 지나치게 팀장 중심의 운영은 팀 전체의 성과를 낮추거나 팀내 불화 등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다.
      여덟째, 팀제의 성공 여부에는 무엇보다도 최고책임자 혹은 고위관리자의 적극적인 도입 의지와 지원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사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사례들이 도입 된지가 오래된 LG화학을 제외하고는 행정자치부나 KOTRA의 사례는 아직 도입 된지 몇 년이 되지 않아 그 성과를 평가하기가 무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과 공기업 부문에서 적당한 여타 사례가 없어서 이를 사례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팀제라는 것은 조직 전반에서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어서 보다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팀제 도입 과정에 대한 분석을 팀제 도입의 토대적 요인, 운영 체계 정비, 조직 구조 정비, 제도적 지원 체계 정비 등을 한정하여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셋째, 팀제의 사례 분석 과정에서 팀제의 도입 과정과 팀제의 성과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팀제 도입 과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성과에 관련된 자료가 부족하여 이들 간의 연계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연구 한계점을 토대로 향후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향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먼저, 팀제 사례 연구 대상을 보다 다원화하고, 적절한 사례를 대상으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팀제 도입 성과를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여 이를 적용함으로써 사례 연구의 객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팀제 연구와 관련된 분석 지표를 보다 표준화된 지표로 개발하여 분석의 객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들 지표가 팀제 성과와 연계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인과 관계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 1
      • 제 1절 문제제기 = 1
      • 제 2절 연구의 목적 = 4
      • 제 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5
      • 제 2장 팀제의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 = 8
      • 제 1장 서론 = 1
      • 제 1절 문제제기 = 1
      • 제 2절 연구의 목적 = 4
      • 제 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5
      • 제 2장 팀제의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 = 8
      • 제 1절 팀제의 이론적 논의 = 8
      • 1. 팀제의 개념과 특징 = 8
      • 2. 팀제 운영의 기대효과와 문제점 = 20
      • 제 2절 팀제의 유형 = 22
      • 1. 전사적 차원의 유형 = 23
      • 2. 팀 운영 차원의 유형 = 27
      • 3. 팀제의 유형과 특징 = 29
      • 제 3절 한국정부의 팀제 도입과 필요성 = 34
      • 1. 한국정부의 팀제 도입 배경 = 34
      • 2. 한국정부의 팀제 필요성 = 37
      • 제 4절 팀제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 = 40
      • 제 3장 연구 설계 = 48
      • 제 1절 연구 모형 = 48
      • 제 2절 연구 대상 = 51
      • 1. 행정지치부 = 52
      • 2. KOTRA = 53
      • 3. LG화학 = 53
      • 제 3절 연구 방법 = 54
      • 제 4장 팀제 도입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 = 57
      • 제 1절 행정자치부 = 57
      • 1. 팀제 도입의 토대적 요인 구축 = 57
      • 2. 운영 체계 정비 = 59
      • 3. 조직 구조 정비 = 61
      • 4. 제도적 지원 체계 정비 = 66
      • 제 2절 KOTRA = 70
      • 1. 팀제 도입의 토대적 요인 구축 = 70
      • 2. 운영 체계 정비 = 72
      • 3. 조직 구조 정비 = 73
      • 4. 제도적 지원 체계 정비 = 77
      • 제 3절 LG 화학 = 81
      • 1. 팀제 도입의 토대적 요인 구축 = 81
      • 2. 운영 체계 정비 = 82
      • 3. 조직 구조 정비 = 86
      • 4. 제도적 지원 체계 정비 = 89
      • 제 4절 팀제 도입 과정의 사례 분석 결과 비교 = 93
      • 1. 팀제 도입의 토대적 요인 구축 = 93
      • 2. 운영 체계 정비 = 94
      • 3. 조직 구조 정비 = 95
      • 4. 제도적 지원 체계 정비 = 96
      • 제 5장 결론 = 100
      • 제 1절 연구 결과의 요약 = 100
      • 제 2절 연구 시사점 및 한계와 방향 = 104
      • 참고문헌 = 108
      • 국문초록 = 120
      • 감사의 글 = 12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