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에 관한 연구 : 제주도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of family health and family values perceived by teenag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67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변화에 발맞추어 가족도 항상 변해가고 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정불화와 가정교육의 부재, 결손가정의 증가로 인한 가족해체 현상의 모습들은 현대가정들이 안고 있는 문제로서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는 미래의 가정을 책임지고 이끌어 나가야 할 청소년기의 중학생들에게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고, 건강한 가정의 중요성을 일깨워줄 뿐만 아니라 건강한 가족형성을 위한 지침과 바른 가치관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위기를 맞고 있는 가족의 건강성은 어떠한지, 청소년들의 가족의식 변화를 살펴보고, 과연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제주도 관내 중학교 남·녀 학생 9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AS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한 뒤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에 의해서 내적 일치도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 가족의 건강성은 평균 3.26점으로 비교적 건강하다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건강성 4가지 하위요인 중 가족원간의 유대감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 가족원들끼리의 유대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반면에 가족원들끼리의 가치체계 공유는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의 건강성 지각 정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건강하다고 지각하고 있으며, 부모의 교육수준이 대졸이상인 집단이 그 외 고졸 이하인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직업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아버지가 무직일 경우에 건강성 지각 정도가 제일 낮았다.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가족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는 혈연공동체라는 의미보다 화목하게 살아가는, 사랑을 나누는 사람들의 집단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부모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는데, 남학생들과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부모 역할관으로 아버지의 역할로는 '같이 꾸려가는 가정을 만든다', '경제적 책임을 진다', '가정의 문제를 해결한다'의 순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역할로는 '같이 꾸려가는 가정을 만든다', '가정의 가사 일을 담당한다', '자녀와 함께 놀아주며 자녀교육을 담당한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부양 및 효 의식은 평균 3.82점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저학년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부모를 모시는 일은 당연한 일이라 지각하고 있고, 결혼 후에도 시부모님 및 장인·장모를 모실 의향이 있다고 답하고 있다. 부양의 책임은 아들·딸 모두에게 있으며, 부양방법에 있어서도 경제적인 도움 이외에 정서적인 부양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 역할관에 있어서는 남녀평등의식을 보여 주고 있다. 즉, 남성도 가사일 및 자녀양육을 담당해야 하며, 남녀의 능력 차이가 없고 직장 내에서 남성에게만 책임 있는 일을 맡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여학생들에 비해 남학생들이 다소 전통적인 성 역할관을 나타냈다. 자녀의 필요성을 묻는 물음에는 아들·딸 구별 없이 자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반드시 아들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지는 않았다. 또한 부모의 미래를 위한 투자재로서 보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애정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결혼도 필요하다고 지각하고 있으며, 이혼에 대한 의식은 개방적이지 않은데, 자녀관과 결혼관 모두 남학생들이 전통적인 가치관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부모에 대한 만족도와 부양 및 효 의식은 가족원간의 유대감이 높을수록, 의사소통이 잘될수록, 가족원간의 가치체계의 공유가 높을수록, 가족의 문제해결 수행능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고 있다. 성 역할관, 자녀관 및 결혼관은 가족의 건강성 요인과 낮은 수준이기는 하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가족이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부모에 대한 만족도가 크고 부모 부양 및 '효' 역시 필요하다고 인정한다. 그리고 건강한 가족은 자녀도 있어야 하지만, 아들·딸 구별 없이 동등하며 특별히 남아만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결혼의 필요성도 인식하나 이혼에 대한 의식은 낮게 나타났으며 부부간의 평등한 상호관계를 중요시하고 있다. 전통적인 가부장적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기보다는 부모 자녀 간에도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는 관계 형성이 화목하고 건강한 가족의 모습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사회변화에 발맞추어 가족도 항상 변해가고 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정불화와 가정교육의 부재, 결손가정의 증가로 인한 가족해체 현상의 모습들은 현대가정들이 안고 있는 문제로서 ...

      사회변화에 발맞추어 가족도 항상 변해가고 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정불화와 가정교육의 부재, 결손가정의 증가로 인한 가족해체 현상의 모습들은 현대가정들이 안고 있는 문제로서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는 미래의 가정을 책임지고 이끌어 나가야 할 청소년기의 중학생들에게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고, 건강한 가정의 중요성을 일깨워줄 뿐만 아니라 건강한 가족형성을 위한 지침과 바른 가치관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위기를 맞고 있는 가족의 건강성은 어떠한지, 청소년들의 가족의식 변화를 살펴보고, 과연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제주도 관내 중학교 남·녀 학생 9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AS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한 뒤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에 의해서 내적 일치도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 가족의 건강성은 평균 3.26점으로 비교적 건강하다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건강성 4가지 하위요인 중 가족원간의 유대감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 가족원들끼리의 유대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반면에 가족원들끼리의 가치체계 공유는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의 건강성 지각 정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건강하다고 지각하고 있으며, 부모의 교육수준이 대졸이상인 집단이 그 외 고졸 이하인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직업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아버지가 무직일 경우에 건강성 지각 정도가 제일 낮았다.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가족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는 혈연공동체라는 의미보다 화목하게 살아가는, 사랑을 나누는 사람들의 집단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부모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는데, 남학생들과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부모 역할관으로 아버지의 역할로는 '같이 꾸려가는 가정을 만든다', '경제적 책임을 진다', '가정의 문제를 해결한다'의 순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역할로는 '같이 꾸려가는 가정을 만든다', '가정의 가사 일을 담당한다', '자녀와 함께 놀아주며 자녀교육을 담당한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부양 및 효 의식은 평균 3.82점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저학년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부모를 모시는 일은 당연한 일이라 지각하고 있고, 결혼 후에도 시부모님 및 장인·장모를 모실 의향이 있다고 답하고 있다. 부양의 책임은 아들·딸 모두에게 있으며, 부양방법에 있어서도 경제적인 도움 이외에 정서적인 부양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 역할관에 있어서는 남녀평등의식을 보여 주고 있다. 즉, 남성도 가사일 및 자녀양육을 담당해야 하며, 남녀의 능력 차이가 없고 직장 내에서 남성에게만 책임 있는 일을 맡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여학생들에 비해 남학생들이 다소 전통적인 성 역할관을 나타냈다. 자녀의 필요성을 묻는 물음에는 아들·딸 구별 없이 자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반드시 아들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지는 않았다. 또한 부모의 미래를 위한 투자재로서 보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애정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결혼도 필요하다고 지각하고 있으며, 이혼에 대한 의식은 개방적이지 않은데, 자녀관과 결혼관 모두 남학생들이 전통적인 가치관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부모에 대한 만족도와 부양 및 효 의식은 가족원간의 유대감이 높을수록, 의사소통이 잘될수록, 가족원간의 가치체계의 공유가 높을수록, 가족의 문제해결 수행능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고 있다. 성 역할관, 자녀관 및 결혼관은 가족의 건강성 요인과 낮은 수준이기는 하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가족이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부모에 대한 만족도가 크고 부모 부양 및 '효' 역시 필요하다고 인정한다. 그리고 건강한 가족은 자녀도 있어야 하지만, 아들·딸 구별 없이 동등하며 특별히 남아만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결혼의 필요성도 인식하나 이혼에 대한 의식은 낮게 나타났으며 부부간의 평등한 상호관계를 중요시하고 있다. 전통적인 가부장적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기보다는 부모 자녀 간에도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는 관계 형성이 화목하고 건강한 가족의 모습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to giv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eaching right family values and guideline for keeping a family healthy as well as for convincing teenagers of the importance of a healthy family and the right family values.
      Thus, we will examine the family health coming to a crisis in rapid changes of society, the changes of teenagers' family valu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e surveyed randomly 960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For data analysis, we take the t-test, one 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Varification after gett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SAS program.
      For reliability we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with respect to the Cronbach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family health perceived by teenagers is 3.26 which means that their families are fairly healthy. Among 4 sub-factors of family health, the relationship of family has the highest score. However, the degree of sharing family values is the lowest.
      After examining the awareness of family health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al change factor, the male teenagers perceive their family health better than the female teenagers. In addition, the better academic background parents have, the better teenagers perceive the family health. The father's job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is awareness, which is specially the lowest in case of an unemployed father
      Second, in view of family valu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arents is high. Male teenagers rather than female teenagers tend to show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s; This is as such in case of teenagers whose parents have better academic background. Most of teenagers consider the father's role as economical support and the mother's role as housework and child care.
      The average score of the teenagers' consciousness of family support and filial piety is highly marked at 3.82. This is as such in case of male teenagers and upper grades.
      For the view of sex role, most teenagers have the equality of the sexes. Male teenagers tend to assume traditional sex role. Also in an outlook on marriage and offspring, male teenagers tend to be more traditional than female teenagers. Teenagers answered that children are necessary, but they don't prefer a 'boy' to a girl; Marriage is necessary, but they are not still open-minded to divorce.
      Third,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health and family valu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arents and awareness of family suppor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relationship, communication, share of family value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ability of solving family problems. It tells us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parents and the higher awareness of family support are, the healthier family they perceive. Furthermore, the family health has some connection with the view of sex role, offspring, and marriage. Teenagers consider understanding and respect among family member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 healthy family in place of the traditional parent-roles.
      번역하기

      This dissertation is to giv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eaching right family values and guideline for keeping a family healthy as well as for convincing teenagers of the importance of a healthy family and the right family values. Thus, we will exam...

      This dissertation is to giv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eaching right family values and guideline for keeping a family healthy as well as for convincing teenagers of the importance of a healthy family and the right family values.
      Thus, we will examine the family health coming to a crisis in rapid changes of society, the changes of teenagers' family valu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e surveyed randomly 960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For data analysis, we take the t-test, one 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Varification after gett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SAS program.
      For reliability we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with respect to the Cronbach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family health perceived by teenagers is 3.26 which means that their families are fairly healthy. Among 4 sub-factors of family health, the relationship of family has the highest score. However, the degree of sharing family values is the lowest.
      After examining the awareness of family health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al change factor, the male teenagers perceive their family health better than the female teenagers. In addition, the better academic background parents have, the better teenagers perceive the family health. The father's job has a meaningful effect on this awareness, which is specially the lowest in case of an unemployed father
      Second, in view of family valu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arents is high. Male teenagers rather than female teenagers tend to show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s; This is as such in case of teenagers whose parents have better academic background. Most of teenagers consider the father's role as economical support and the mother's role as housework and child care.
      The average score of the teenagers' consciousness of family support and filial piety is highly marked at 3.82. This is as such in case of male teenagers and upper grades.
      For the view of sex role, most teenagers have the equality of the sexes. Male teenagers tend to assume traditional sex role. Also in an outlook on marriage and offspring, male teenagers tend to be more traditional than female teenagers. Teenagers answered that children are necessary, but they don't prefer a 'boy' to a girl; Marriage is necessary, but they are not still open-minded to divorce.
      Third,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health and family valu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arents and awareness of family suppor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relationship, communication, share of family value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ability of solving family problems. It tells us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parents and the higher awareness of family support are, the healthier family they perceive. Furthermore, the family health has some connection with the view of sex role, offspring, and marriage. Teenagers consider understanding and respect among family member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 healthy family in place of the traditional parent-ro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ⅳ
      • 목차 = ⅵ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3
      • 1. 가족의 건강성 = 3
      • 〈국문초록〉 = ⅳ
      • 목차 = ⅵ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3
      • 1. 가족의 건강성 = 3
      • 1) 건강한 가족의 개념 = 3
      • 2) 건강한 가족의 특성 = 6
      • 2. 가족의식 = 7
      • 1) 부모 역할관 = 8
      • 2) 부양 및 효 의식 = 9
      • 3) 성 역할관 = 11
      • 4) 자녀관 = 12
      • 5) 결혼관 = 13
      • Ⅲ. 연구방법 = 15
      • 1. 연구문제 = 15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5
      • 3. 조사도구 = 16
      • 4. 자료 분석 = 19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0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20
      • 2.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 22
      • 3.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의 건강성 = 23
      • 4.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식의 전반적인 경향 = 26
      • 5.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의식 = 35
      • 6.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과의 관계 = 42
      • Ⅴ. 결론 및 제언 = 44
      • 1. 요약 및 결론 = 44
      • 2. 제언 = 47
      • 참고문헌 = 48
      • 〈Abstract〉 = 52
      • 부록 1= 55
      • 부록 2=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