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혜종고(大慧宗?, 1089~1163) 선사의 전후제단(前後際斷) 체험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야기 속에서 대혜 선사는 전후제단을 자신의 수행 목표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왜, 대혜 선사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32898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7-252(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혜종고(大慧宗?, 1089~1163) 선사의 전후제단(前後際斷) 체험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야기 속에서 대혜 선사는 전후제단을 자신의 수행 목표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왜, 대혜 선사는...
대혜종고(大慧宗?, 1089~1163) 선사의 전후제단(前後際斷) 체험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야기 속에서 대혜 선사는 전후제단을 자신의 수행 목표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왜, 대혜 선사는 전후제단을 자신이 도달해야할 깨달음의 과제로 삼았는지, 그리고 체험의 내용과 의미는 무엇이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논자는 앞뒤의 시간이 끊어진다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어원과 경전을 살펴보았다. 전후제단의 경전 근거는 승조 법사와 하택 선사가 인용한 것으로 보아 『유마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마경』에서는 시간의 공성(空性)을 근거로 전후제단으로써 열반하는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 둘째, 선어록에 나타난 전후제단의 사용례와 연원을 살펴보았는데, 초기의 사용자는 승조 법사였고, 선종에서는 육조의 제자인 영가 선사와 하택 선사가 최초 사용자인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원오심요』에 나타난 사용례를 찾아보니, 스승 원오의 설법 중에 전후제단이 되면 바로 깨달음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야기하는 여러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전후제단이 조동이나 운문에서 뿐만 아니라 임제 문하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끊어짐(斷)에 대한 의미를 찾아보았다. ‘한 타래 엉킨 실 뭉치’ 라는 표현은 『디가 니까야(Digha Nikaya)』에도 나오는 것임을 찾아내었고, 『도서』에서 돈오돈수(頓悟頓修)를 설명하면서 언급되었는데, 견혹의 끊어짐과 수 혹의 끊어짐 두 가지 종류에 대한 비유로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또 열반에서 심상속이 단절되거나 소멸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넷째, 동상불생과 정나라(淨裸裸)한 곳을 얻었다는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동상불생은 『능엄경(楞嚴經)』 이근원통의 과정인 ‘입류망소(入流亡所)’를 의미하는 것임을 밝혔다. 정나라처를 설명하기 위해서 『대반야경』의 세간의 섬과 영가의 중간자고(中間自孤)와 함께 논했는데, 정나라처와 영지로서 중간자고를 비교하면, 전후제단의 상황에서 정나라처는 적멸의 측면, 즉 선정, 지(止)를 말하고, 중간자고는 지혜, 관(觀)의 측면을 말하고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후제단 체험의 한계와 의미에 대해 논했다. 결국, 전후제단의 경계에 이르면 정안종사의 지도를 받아 화두 참구를 통해 ‘사중득활’ 해야 한다는 대혜 선사의 체험 이야기는 선의 수증(修證)에서 임제종의 독보적인 우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혜의 전후제단 체험이 제시하는 바는 전후제단은 쌍차의 체험이기 때문에 화두 참구를 통해 쌍조로 한 걸음 더 나가 중도를 증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후제단은 지금 여기 산은 산으로 물은 물로 모든 것이 그대로 다 진리의 모습으로 드러나는 일념현전이 되는데, 원오 선사는 이때의 경계를 “삶이여, 온몸으로 살고, 죽음이여, 온몸으로 죽어라.”라고 표현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students of Seon buddhism, it is a well-known story that Dahui Zonggao 大慧宗?, 1089~1163) who is the pioneer of Ganhwa seon(看話禪) had experiences of Jeonhu jedan(前後際斷, Being broken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In this story, Dah...
For students of Seon buddhism, it is a well-known story that Dahui Zonggao 大慧宗?, 1089~1163) who is the pioneer of Ganhwa seon(看話禪) had experiences of Jeonhu jedan(前後際斷, Being broken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In this story, Dahul is aimed at Jeonhu jedan to practice. I found the reason of this in a tradition of Seon Jong. And I divided his experiences into three. One experience is that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were broken. Other experience is like a situation that a sword cut off tangled threads. Last one is that the mind wasn`t moved but got a Jeongnara (淨裸裸, revealation one`s original purity). First, I`m going to start from researching examples about sutras and recorded Seon sayings to understand What is the ‘Being broken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And next, I found a meaning of Jeonhu jedan from examples of 『Vimalakirti-nirdesa-sutra』. It is said that “There are no pudgala(人) because the future and the past are broken …”. So it can be a reason for explaining about anatman. Second, I assumed that Yongjia Xuanjue(永嘉玄覺, 637~713) is the pioneer who used Jeonhu jedan at first in Seon Jong and searched his master Yuanwu Keqin(圓悟克勤, 1063~135)`s quotation Third, I found a meaning of ‘Being broken(斷)’. An expression ‘Tangled threads’ wass from Nikaya and used from Doseo(禪源諸詮集都序, Preface to the Collection of Seon Sources) to explain Donodonsu(頓悟頓修,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I looked at the being broken continuance of the Mental stream(心相續) in nirvana and insisted that Dahui Zonggao`s experience is related to nirvana. Finally, I studied the place to get jeongnara. Its crucial meaning is Jungganjago(中間自孤, existence alone between)’ that is made by Yongjia Xuanjue. I found that Dahui Zonggao`s experiences of Jeonhu jedan is used to appear a predominance of Linji Zong in practicing of Seon. Especially I thought that I had had to focus on features of Jeonhu jedan as Ilnyeom hyeonjeon(一念現前, manifestation of the ultimate spirit). Yuanwu Keqin said about it to a gorgeous sentence that “Life, live itself, Death, die itself”.
참고문헌 (Reference)
1 대림 스님, "청정도론 3권" 초기불전연구원 2004
2 김태완, "중국 조사선의 연구 : 마조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 김준호, "운문경전에 나타난 止(samatha), 觀(vipassanā) 개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 : 2009
4 한자경, "선종 영가집 강해" 불광출판사 2016
5 오철우, "사마타·위빳사나와 看話禪의 三昧 修行體系 比較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6 성철스님, "백일법문" 장경각 2014
7 안호영, "무한분할을 통해서 본 베르그송의 ‘지속’과 나가르주나의 ‘공’"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8) : 72-104, 2011
8 정성본, "돈황본 육조단경" 한국선문화연구원 2003
9 "雜阿含經"
10 "阿毘達磨俱舍論"
1 대림 스님, "청정도론 3권" 초기불전연구원 2004
2 김태완, "중국 조사선의 연구 : 마조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 김준호, "운문경전에 나타난 止(samatha), 觀(vipassanā) 개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 : 2009
4 한자경, "선종 영가집 강해" 불광출판사 2016
5 오철우, "사마타·위빳사나와 看話禪의 三昧 修行體系 比較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6 성철스님, "백일법문" 장경각 2014
7 안호영, "무한분할을 통해서 본 베르그송의 ‘지속’과 나가르주나의 ‘공’"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8) : 72-104, 2011
8 정성본, "돈황본 육조단경" 한국선문화연구원 2003
9 "雜阿含經"
10 "阿毘達磨俱舍論"
11 "阿毘達磨俱舍論"
12 "說無垢稱經卷"
13 김태완, "見性의 心性論的解明" 한국선학회 (1) : 2000
14 "維摩詰所說經"
15 梵藏漢對照, "維摩經" 大正大學綜合佛敎硏究所 梵語佛典硏究會 2004
16 "禪源諸詮集都序"
17 "禪源諸詮集都序"
18 "禪宗永嘉集"
19 "瑜伽師地論"
20 張雲淑, "楞嚴經의 耳根圓通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2009
21 "景德傳燈錄"
22 "摩訶般若波羅蜜多経"
23 "宗鏡錄"
24 "大智度論"
25 "大方廣佛華嚴經"
26 "大慧普覺禪師住徑山能仁禪院語錄"
27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28 "圓悟佛果禪師語錄"
29 "唐 淸凉答順宗心要法門"
30 "唐 淸凉答順宗心要法門"
31 "佛果克勤禪師心要"
32 서왕모, "『단경』에 나타난 무념(無念)의 의미에 관한 소고" 한국선학회 (42) : 203-232, 2015
일본 근대의 불교가 이노우에 엔료의 활불교에 대하여 - 『불교활론서론』의 활불교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51 | 0.714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