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용의 한 이해 = An understanding of Tolerance - Descartes"s Generosity as a Virtu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2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소극적 관용이나 강자의 윤리로서의 관용을 넘어서는 적극적 관용의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세속적 덕의 전형이다. 태생적인 도량보다 자유에 기초한 관대함을 선택했던 데카르트는 이것을 정념 그 이상의 덕으로서 모든 덕에 이르는 열쇠로 지목한 것이며 이제 우리는 이것이 정당한 자부심에 필적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관대함의 관건은 자유와 자부심이다. 이것은 그의 관용 개념이 한 개인의 주체적인 자기중심적 기초에서 기능하고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대함은 자의식, 자기 인식에 기초한 세속적인 도덕의 제일원리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도덕학의 영역에서 관대함은 우리가 우리 행위의 자유로운 주체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향후 관용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준거점을 제공할 수 있다.
      번역하기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소극적 관용이나 강자의 윤리로서의 관용을 넘어서는 적극적 관용의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세속적 덕의 전형이다. 태생적...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소극적 관용이나 강자의 윤리로서의 관용을 넘어서는 적극적 관용의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세속적 덕의 전형이다. 태생적인 도량보다 자유에 기초한 관대함을 선택했던 데카르트는 이것을 정념 그 이상의 덕으로서 모든 덕에 이르는 열쇠로 지목한 것이며 이제 우리는 이것이 정당한 자부심에 필적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관대함의 관건은 자유와 자부심이다. 이것은 그의 관용 개념이 한 개인의 주체적인 자기중심적 기초에서 기능하고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대함은 자의식, 자기 인식에 기초한 세속적인 도덕의 제일원리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도덕학의 영역에서 관대함은 우리가 우리 행위의 자유로운 주체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향후 관용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준거점을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cartes"s generosity is worthy of notice in that it holds forth the possibility of the active toleration which is beyond the negative toleration and the tolerance as the ethics of the powerful. Descartes"s generosity typifies the secular virtue. Descartes chose the generosity based on freedom rather than a natural born magnanimity. He spotted the generosity as the virtue which is more than passion and as the key leading to all virtues. We can take it that the generosity is a match for rightful self-esteem. The pivotal point of generosity is freedom and self-esteem. This shows that his concept of generosity functions on the self-centered basis of one person. The generosity functions as the first principle of the secular morality based of self-consciousness and self cognition. In that respect, we can find that the generosity serves for a role telling us that we are the free agents of our activities. This can provide us with the important initial lin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 of tolerance.
      번역하기

      Descartes"s generosity is worthy of notice in that it holds forth the possibility of the active toleration which is beyond the negative toleration and the tolerance as the ethics of the powerful. Descartes"s generosity typifies the secular virtue. Des...

      Descartes"s generosity is worthy of notice in that it holds forth the possibility of the active toleration which is beyond the negative toleration and the tolerance as the ethics of the powerful. Descartes"s generosity typifies the secular virtue. Descartes chose the generosity based on freedom rather than a natural born magnanimity. He spotted the generosity as the virtue which is more than passion and as the key leading to all virtues. We can take it that the generosity is a match for rightful self-esteem. The pivotal point of generosity is freedom and self-esteem. This shows that his concept of generosity functions on the self-centered basis of one person. The generosity functions as the first principle of the secular morality based of self-consciousness and self cognition. In that respect, we can find that the generosity serves for a role telling us that we are the free agents of our activities. This can provide us with the important initial lin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 of toler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 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정념과 도덕
      • Ⅲ. 잠정적 도덕률
      • Ⅳ. 관대함(GÉNÉROSITÉ)의 조건
      • [한글 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정념과 도덕
      • Ⅲ. 잠정적 도덕률
      • Ⅳ. 관대함(GÉNÉROSITÉ)의 조건
      • Ⅴ. 관대함과 교육
      • Ⅵ. 나오는 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