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 전기 海州鄭氏 家門의 정치적 동향 : 海平府院君 鄭眉壽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2952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대학원 , 국사학과 한국사(Ⅱ)전공 , 2014. 8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951.0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political trends of the Haeju Jeong's Family in Early Joseon Dynasty : Focus on Haepyeong Buwongun Jeong Mi-Su

      • 형태사항

        iii, 71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지두환
        부록: 1. 해주정씨 대종파 가계도 .외
        참고문헌: p. 50-54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훈구와 사림은 조선시대 지배세력을 규정하는 주요한 개념으로써 지배세력의 변화와 정치․사상적 발전을 단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어느 한 집단이나 개인의 속성...

      훈구와 사림은 조선시대 지배세력을 규정하는 주요한 개념으로써 지배세력의 변화와 정치․사상적 발전을 단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어느 한 집단이나 개인의 속성과 성향을 단순히 훈구와 사림으로 규정하게 된다면, 이러한 구도에서 벗어나는 사례의 속성은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하게 된다. 이는 여러 개인이 모여 한 집단을 이루는 가문에서 보다 확연히 살펴 볼 수 있다.
      조선 개국공신들은 대표적인 ‘勳舊’세력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리고 그런 훈구세력 중에는 왕실과 밀접한 연혼관계를 맺음으로써 ‘戚臣’의 지위를 누리는 집단도 있었다. 조선 전기 해주정씨 가문은 공신가문이면서, 왕실과 중첩적인 혼인관계를 맺고 있었기에 대표적인 ‘훈척가문’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세조 찬탈·중종반정 등의 정치적 격변을 거치며 해주정씨 가문의 지위와 정치사상적 지향점은 변모하게 되었다. 그들은 절의와 의리를 추구하고, 성리학적 신념에 입각한 정도정치를 추구하였다. 이는 일반적 훈구세력의 모습과는 다른 것이었다. 해주정씨 가문의 사례는 조선 전기 정치세력을 훈구, 사림으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현실을 대변한다.
      고려 말, 해주정씨 가문은 고려시대를 대표하던 여러 명문가와의 혼인과 유대를 맺으며 가문의 기반을 다졌다. 조선 개국 후, 정역이 태종과 동방의 인연으로 정계에 중용되고, 공신책봉을 받음으로써 해주정씨 가문은 유력한 공신가문으로 부상하였다. 또한 태종·세종·문종으로 이어지는 왕실과의 혼인, 그리고 당대 명문가와의 유대 등을 통하여 家格이 높아지게 되었다. 태종대 이래로 공신가문이자 왕실과의 인척관계에 기반하여 조선 전기, 해주정씨 가문은 세력을 떨칠 수 있었다. 그러나 세조찬탈과 단종의 죽음, 그리고 정종의 賜死 등과 같은 일련의 상황들이 일어남에 따라 침체의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해주정씨 가문은 위기를 맞이했으나, 세조와 정희왕후 등 왕실의 비호로 가문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세조대 공신세력들이 포진해 있던 예종~성종 초반까지 해주정씨 가문은 여전히 정치·사회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성종이 친정을 전후하며 측근세력을 통해 왕권 확립을 추구해가는 속에서 정종의 아들 정미수는 성종과 유년 시절 인연으로 왕의 측근세력으로 정치무대에 복귀하기 시작했다. 정미수는 성종을 보좌하며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고, 왕도정치에 대한 구상을 구체화해갔다. 이와 함께 점진적으로 실무적 능력을 인정받게 되었다. 한편으로 정미수를 포함한 해주정씨 일가는 김종직 문인들과 교유하며 사림계 인물들과 학연을 다져갔다. 이 시기 해주정씨 가문은 왕실친인척의 성격을 회복하고 나아가 성리학적 면모를 갖추며 다시 起家하게 되었다.
      연산군대 정미수는 연산군의 신임을 기반으로 정치적 지위를 확보하면서, 그의 측근에서 무자비한 살생을 막고 유교적 질서를 유지시키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삼사를 무력화하고 사림을 탄압하는 연산군의 패정을 받아들이기는 어려웠다. 이에 정미수는 결국 중종반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중종반정 공신들은 연산군대의 부정부패를 척결한다는 명분으로 반정을 성공시켰으나, 이후 자신들이 정국을 독점적으로 장악하려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金公著·朴耕의 옥사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때 모의를 주도한 이들은 김굉필의 훈도를 받은 인물들 이었는데, 유교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정미수를 首相으로 내세웠다. 김공저·박경의 옥사는 비록 성공하지 못했으나, 유자광을 小人으로 지목하며 탄핵을 이끌어냈다. 유자광이 유배를 떠난 후, 정미수는 다시 정계로 복귀되었고, 은퇴하기 전까지 비교적 평탄한 관직생활을 이어나갔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정미수는 성종·연산군·중종 3대에 걸쳐 정치활동을 펼쳤는데, 그의 정치활동에는 왕도정치의 추구라는 지향점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미수의 정치적 성격은 이후 해주정씨 가문의 위상을 일신하는데 일조하였다. 이후 정미수와 정미수 후손들은 대대로 단종과 정순왕후 兩位의 제사를 모셔, 조선 후기에는 의리와 절개를 대표하는 가문으로 재조명받게 되었다. 또한 정종이 莊陵 配食壇에 배향되고, 정미수의 묘소에는 정조의 치제문이 내려졌다. 이로써 해주정씨 가문은 국가적 인정을 받으며 사육신·생육신 가문과 함께 절의를 대표하는 가문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조선 전기 해주정씨 가문은 훈구세력의 하나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일련의 정치적 사건을 통해 가문이 부침을 거듭하면서도 성리학적 의리명분을 추구하고 실천해갔다. 그로 인해 가문은 사림정치가 자리잡는 속에서 절의를 상징하는 가문으로 재평가받게 되었다. 이러한 해주정씨 가문의 정치적 성격 변화는 조선 전기 정치세력의 복합적 기반과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ngu(勳舊) and Sarim(士林) offered a help for the phased comprehension of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ideas as well as changes in ruling class as principal concepts to define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However, if the characteristic and...

      Hungu(勳舊) and Sarim(士林) offered a help for the phased comprehension of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ideas as well as changes in ruling class as principal concepts to define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However, if the characteristic and tendency of an individual or a party is simply stated as Hungu and Sarim, there will be an elusive side in case of cases that are beyond this composition. In particular, this can be applied to families consisting of several individuals.
      The founding members of the Joseon Kingdom have rated as typical ‘Hungu’ forces. What’s more, there were some groups that enjoyed the position of ‘Chucksin(戚臣)’ through marriage relation with other who were close to royal family. It was estimated that Haeju Jeong's Family(海州鄭氏 家門) was typical ‘Huncheok(勳戚) family’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s a meritorious retainer’s family and in the marriage relation with royal family at the same time. Nevertheless, the intention point in political ideas and the position of Haeju Jeong's Family has changed through sudden political changes such as Sejo usurpation and Jungjong restoration. They became purse the loyalty and fidelity as well as standard politics based on the creed of Sung Confucianism. This was different from what the general Hungu appeared. The case of Haeju Jeong's Family represents the reality that is hard to understand by distinguishing the political forces with a dichotomy of view in early Joseon Dynasty.
      In Late Koryo Dynasty, Haeju Jeong's Family built up the foundation of themselves by forging bonds of marriage with several prestigious families represented the Koryo Dynasty. After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Haeju Jeong's Family began to emerge as a influential meritorious retainer’s family. Furthermore, their The family status(Gagyeok, 家格) was improved through the marriage with royal family following King Taejong(太宗), King Saejong(世宗), and King Munjong(文宗), and had a close links with noble families of the age as well. Haeju Jeong's Family could have power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on the basis of the meritorious retainer’s family and the relation by marriage in the age of King Taejong. However, a series of circumstances such as Jeong Jong(鄭悰)’s poisoning to death and the usurpation of King Saejo(世祖) and the death of King Danjong(端宗) caused them to face a time of recession.
      Even though Haeju Jeong's Family encountered crisis, they could barely survive due to the aegis of the royal family including King Saejo and Queen Jeonghee(貞熹王后). But they could not escape from the political and social shrinking until the period of King Yaejong(睿宗) and King Seongjong(成宗) when the influential forces of King Saejo dominated the country.
      In the situation that King Seongjong was attempt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with close associate of his family, Jeong Mi-Su(鄭眉壽), the son of Jeong Jong, started to return to the political arena as one of the King Seongjong’s entourage forces resulted from his childhood relationship with him. Jeong Mi-Su deepened the understanding about Sung Confucianism, assisting the King Seongjong and specified the idea of royal politics. Accordingly, he was gradually recognized his ability to practice. In the meantime, the Haeju Jeong's Family including Jeong Mi-Su began to establish the academic relationship with the figures of Sarim through the mutual exchange with scholars of Kim Jongjik(金宗直). At the time, Haeju Jeong's Family restored the properties of the royal relatives and rebuilt the family fortunes, having a countenance of the aspects of Sung Confucianism.
      In the age of King Yeonsangun(燕山君), Jeong Mi-Su ensured his political position based on the trust of King Yeonsangun and tried to maintain Confucian order by preventing merciless killing standing by his side.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him to accept the autocracy of King Yeonsan who suppressed Sarim and neutralized the three offices system. Not surprisingly, Jeong Mi-Su eventually took part in the renovation of King Jungjong(中宗).
      The credited forces of the renovation of King Jungjong led to their success with a flag to die for combating the corruption of the King Yeonsangun’s age, but then they was attempted to seize the power exclusively by themselves. Meanwhile, the renovation of Kim Gongjeo·Park Gyeong(金公著·朴耕) happened. The men who led it were directed by Kim Goengpil(金宏弼), and they put up Jeong Mi-Su as a Minister(首相). Though the renovation of Kim Gongjeo and Park Gyeong was unsuccessful, they caused the impeachment of Yu Jaguang(柳子光) as a petty man(小人). Jeong Mi-Su was reverted to the political phase and it was shown that he continued to relatively stable public office life til his retirement.
      In this way, Jeong Mi-Su did political activities for the three ages of King seongjong, King Yeonsangun and King Jungjong, and his political activities had consistent intention point as a pursuit of royal politics. This political characteristic of Jeong Mi-Su helped restore the position of Haeju Jeong's Family. Since then, Jeong Mi-Su and the descendants of Jeong Mi-Su have been reconsidered as a family representing integrity and constancy in late Joseon Dynasty by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Queen Jeongsun(定順王后) and King Danjong. In addition, Jeong Jong was oriented in the Jangreung(莊陵) Baesikdan(配食壇) and King Joengjo’s writing of folk rituals was founded on the grave of Jeong Mi-Su. As a result, the Haeju Jeong's Family was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and got settled as a family standing for fidelity with the families of the Six Martyred Ministers(Sayuksin, 死六臣)and Six Loyal Subjects(Saengyuksin, 生六臣).
      Haeju Jeong's Family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Hungu forces in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On the contrast, they sought justice as a concept of Sung Confuci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해주정씨 가문의 번영과 위기
      • 1) 왕실 및 명문가와의 혼인과 유대
      • 2) 세조대 정치변동에 따른 가문의 침체
      • 국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해주정씨 가문의 번영과 위기
      • 1) 왕실 및 명문가와의 혼인과 유대
      • 2) 세조대 정치변동에 따른 가문의 침체
      • Ⅲ. 성종~연산군대 정미수의 정치활동
      • 1) 성종대 仕路 진출과 宗室 복귀
      • 2) 연산군대 관료로서의 성장과 가문의 起家
      • Ⅳ. 중종반정 이후 가문의 정치적 성격과 의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 부 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