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diopathic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ccording to serum vitamin D status = 혈청 비타민 D 수치에 따른 양성돌발체위현훈 환자의 임상적 특징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73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양성돌발체위현훈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은 이석기관 (난형낭 혹은 구형낭) 의 평형반에서 떨어져 나온 이석의 일부가 반고리관 내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말초성 전정 질환이다. 비타민 D는 이석 기관의 칼슘 대사에 있어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연구들은 비타민 D의 결핍은 특발성 BPPV의 위험인자 중 하나이며, 재발률을 높일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특발성 BPPV 환자에서 혈청 비타민 D 수치에 따라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안진의 성상을 비교한 연구는 없어,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전남대병원에 내원한 총 217명의 특발성 BPPV 환자가 연구대상자로 등록되었다. BPPV 진단은 바라니 소사이어티 (Barany society)에서 2015년에 제시한 BPPV 진단 기준에 따랐으며, 전정신경염 등 내이 질환 및 두부외상 후 발생한 2차성 BPPV 환자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혈청 비타민 D 수치에 따라, ‘정상군 (≥ 20 ng/ml)’ 과 ‘감소군 (< 20 ng/ml)’ 으로 나누어 두 군 간의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들, 체위성 안진의 발현잠복기(onset latency)와 발현-최고서상속도까지의 잠복기(onset-to-peak latency), 치료 결과를 각각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중 133명 (61.3%)에서 비타민 D 결핍이 관찰되었고, 두 군 간의 연령, 성비, BPPV의 아형별 분포 (후반고리관, 측반고리관, 전반고리관) 및 이석정복술 성공률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PPV 환자의 계절별 분포에서는 가을 (27.3%) 과 겨울 (28.4%) 에 더 많이 발생하였고, 평균 비타민 D 수치는 겨울이 다른 계절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았다 (p<0.05). 이석정복술에 의해 관해를 보인 환자들 중에서 비타민 D 감소군이 정상군에 비해 좀 더 많은 횟수의 반복적 이석정복술을 필요로 하였고 (정상군=2.01±0.89, 감소군=2.38±1.04, p=0.02), 측반고리관 BPPV 환자들은 비타민 D 감소군이 정상군에 비해 체위유발안진의 발현잠복기 (p=0.028) 와 발현-최고서상속도까지의 잠복기 (p<0.001) 가 더 길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비타민 D 수치는 특발성 BPPV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혈관위험인자 그리고 아형별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BPPV 발생률에 있어서는 계절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타민 D 감소군에서 BPPV 치료를 위해 좀 더 많은 횟수의 이석정복술이 필요하였고, 체위안진의 잠복기들이 더 길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비타민 D 결핍이 이석의 성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번역하기

      연구 배경 및 목적: 양성돌발체위현훈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은 이석기관 (난형낭 혹은 구형낭) 의 평형반에서 떨어져 나온 이석의 일부가 반고리관 내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가장...

      연구 배경 및 목적: 양성돌발체위현훈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은 이석기관 (난형낭 혹은 구형낭) 의 평형반에서 떨어져 나온 이석의 일부가 반고리관 내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말초성 전정 질환이다. 비타민 D는 이석 기관의 칼슘 대사에 있어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연구들은 비타민 D의 결핍은 특발성 BPPV의 위험인자 중 하나이며, 재발률을 높일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특발성 BPPV 환자에서 혈청 비타민 D 수치에 따라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안진의 성상을 비교한 연구는 없어,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전남대병원에 내원한 총 217명의 특발성 BPPV 환자가 연구대상자로 등록되었다. BPPV 진단은 바라니 소사이어티 (Barany society)에서 2015년에 제시한 BPPV 진단 기준에 따랐으며, 전정신경염 등 내이 질환 및 두부외상 후 발생한 2차성 BPPV 환자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혈청 비타민 D 수치에 따라, ‘정상군 (≥ 20 ng/ml)’ 과 ‘감소군 (< 20 ng/ml)’ 으로 나누어 두 군 간의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들, 체위성 안진의 발현잠복기(onset latency)와 발현-최고서상속도까지의 잠복기(onset-to-peak latency), 치료 결과를 각각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중 133명 (61.3%)에서 비타민 D 결핍이 관찰되었고, 두 군 간의 연령, 성비, BPPV의 아형별 분포 (후반고리관, 측반고리관, 전반고리관) 및 이석정복술 성공률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PPV 환자의 계절별 분포에서는 가을 (27.3%) 과 겨울 (28.4%) 에 더 많이 발생하였고, 평균 비타민 D 수치는 겨울이 다른 계절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았다 (p<0.05). 이석정복술에 의해 관해를 보인 환자들 중에서 비타민 D 감소군이 정상군에 비해 좀 더 많은 횟수의 반복적 이석정복술을 필요로 하였고 (정상군=2.01±0.89, 감소군=2.38±1.04, p=0.02), 측반고리관 BPPV 환자들은 비타민 D 감소군이 정상군에 비해 체위유발안진의 발현잠복기 (p=0.028) 와 발현-최고서상속도까지의 잠복기 (p<0.001) 가 더 길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비타민 D 수치는 특발성 BPPV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혈관위험인자 그리고 아형별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BPPV 발생률에 있어서는 계절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타민 D 감소군에서 BPPV 치료를 위해 좀 더 많은 횟수의 이석정복술이 필요하였고, 체위안진의 잠복기들이 더 길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비타민 D 결핍이 이석의 성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is the most common peripheral vestibular disorder caused by dislodged otoconia. Vitamin D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homeostasis in calcium metabolism of the otolith organ.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vitamin D deficiency is a risk factor for idiopathic BPPV and may influence the recurrence rate of BPPV. However, to our knowledge, no study to date has compared treatment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of positional nystagmus in idiopathic BPPV according to serum vitamin D level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serum vitamin D levels lead to clinical differences in idiopathic BPPV.

      Methods: A total of 217 consecutive BPPV patients were enrolled between March 2017 and February 2020. The diagnosis of BPPV was based on the diagnostic criteria of BPPV suggested by the Barany Society. Patients with a history of inner ear diseases, head trauma, or other vestibular disorders (e.g., vestibular neuritis) were excluded. Based on serum vitamin D levels, we divided the study population into two subgroups: a ‘normal group (≥ 20 ng/ml)’ and a ‘decreased group (< 20 ng/ml)’. Demographic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Vitamin D deficiency was found in 133 patients (61.3 %). The mean age, sex, and subtype of BPPV (e.g., posterior canal-BPPV, horizontal canal-BPPV), and success rates of the canalith repositioning maneuver (CRM)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 terms of seasonal distribution, BPPV was more prevalent during autumn (27.3%) and winter (28.4%). The median serum vitamin D levels in the winter subgroup were lower than they were in the other seasonal subgroups (p<0.05). BPPV patients with vitamin D deficiency required more CRMs for successful treatment (normal group=2.01±0.89, decreased group=2.38±1.04, p=0.02). In addition, both the onset latencies (p=0.028) and the onset-to-peak latencies (p=<0.001) of the nystagmus elicited by provocative positioning maneuvers in horizontal canal-BPPV were longer in the group with decreased serum vitamin D levels.

      Conclusions: In this study, overall demographics, vascular risk factors, and subtypes of BPPV in the patient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ir serum vitamin D status. However, there was a seasonal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BPPV, and it may be related to serum vitamin D levels. Longer latencies of positional nystagmus and more CRMs were required for treatment of the vitamin D deficient group, suggesting that vitamin D deficiency may affect the character of dislodged otoconia.
      번역하기

      Background: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is the most common peripheral vestibular disorder caused by dislodged otoconia. Vitamin D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homeostasis in calcium metabolism of the otolith organ. Several studies ha...

      Background: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is the most common peripheral vestibular disorder caused by dislodged otoconia. Vitamin D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homeostasis in calcium metabolism of the otolith organ.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vitamin D deficiency is a risk factor for idiopathic BPPV and may influence the recurrence rate of BPPV. However, to our knowledge, no study to date has compared treatment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of positional nystagmus in idiopathic BPPV according to serum vitamin D level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serum vitamin D levels lead to clinical differences in idiopathic BPPV.

      Methods: A total of 217 consecutive BPPV patients were enrolled between March 2017 and February 2020. The diagnosis of BPPV was based on the diagnostic criteria of BPPV suggested by the Barany Society. Patients with a history of inner ear diseases, head trauma, or other vestibular disorders (e.g., vestibular neuritis) were excluded. Based on serum vitamin D levels, we divided the study population into two subgroups: a ‘normal group (≥ 20 ng/ml)’ and a ‘decreased group (< 20 ng/ml)’. Demographic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Vitamin D deficiency was found in 133 patients (61.3 %). The mean age, sex, and subtype of BPPV (e.g., posterior canal-BPPV, horizontal canal-BPPV), and success rates of the canalith repositioning maneuver (CRM)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 terms of seasonal distribution, BPPV was more prevalent during autumn (27.3%) and winter (28.4%). The median serum vitamin D levels in the winter subgroup were lower than they were in the other seasonal subgroups (p<0.05). BPPV patients with vitamin D deficiency required more CRMs for successful treatment (normal group=2.01±0.89, decreased group=2.38±1.04, p=0.02). In addition, both the onset latencies (p=0.028) and the onset-to-peak latencies (p=<0.001) of the nystagmus elicited by provocative positioning maneuvers in horizontal canal-BPPV were longer in the group with decreased serum vitamin D levels.

      Conclusions: In this study, overall demographics, vascular risk factors, and subtypes of BPPV in the patient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ir serum vitamin D status. However, there was a seasonal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BPPV, and it may be related to serum vitamin D levels. Longer latencies of positional nystagmus and more CRMs were required for treatment of the vitamin D deficient group, suggesting that vitamin D deficiency may affect the character of dislodged otocon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English Abstract 1
      • 2. Introduction 3
      • 3. Methods 4
      • 4. Results 8
      • 5. Discussion 10
      • 1. English Abstract 1
      • 2. Introduction 3
      • 3. Methods 4
      • 4. Results 8
      • 5. Discussion 10
      • 6. Conclusion 13
      • 7. References 14
      • 8. Korean Abstract 17
      • 9. Appendix 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