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계룡산국립공원 내 석조미술의 특징과 미술사적 의의 =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Stone Art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05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계룡산은 통일신라시대 오악 중에 하나로 선정되어 오래전부터 한반도의 중요한 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1968년 국립공원으로지정되어 오늘에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계룡산국립공원 내에는 사찰이나 무덤 관련 석조미술이 상당량 전하고 있는데, 대부분 불교 신앙과 관련한 불교적인 석조미술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갑사, 동학사, 신원사 등에 전하고 있는 당간지주, 석탑, 부도등이 대표적인 석조미술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석조미술사는 불교적인 석조미술이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불교적인 석조미술은 통시대적인 관점에서 우리나라 석조미술사의 흐름과 상통하는 전개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각의 석조미술은 그것이 제작된 시기의 시대사조나 문화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데 계룡산이 오래전부터중요한 산으로 인식되었는데, 다른 지역이나 권역별처럼 삼국이나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이 확실한 석조미술품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석조미술품이 출토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계룡산은 통일신라시대 오악 중에 하나로 선정되어 오래전부터 한반도의 중요한 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1968년 국립공원으로지정되어 오늘에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계룡산국립공원 내...

      계룡산은 통일신라시대 오악 중에 하나로 선정되어 오래전부터 한반도의 중요한 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1968년 국립공원으로지정되어 오늘에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계룡산국립공원 내에는 사찰이나 무덤 관련 석조미술이 상당량 전하고 있는데, 대부분 불교 신앙과 관련한 불교적인 석조미술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갑사, 동학사, 신원사 등에 전하고 있는 당간지주, 석탑, 부도등이 대표적인 석조미술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석조미술사는 불교적인 석조미술이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계룡산국립공원 내의 불교적인 석조미술은 통시대적인 관점에서 우리나라 석조미술사의 흐름과 상통하는 전개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각의 석조미술은 그것이 제작된 시기의 시대사조나 문화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데 계룡산이 오래전부터중요한 산으로 인식되었는데, 다른 지역이나 권역별처럼 삼국이나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이 확실한 석조미술품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석조미술품이 출토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yeryongsan Mountai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as it was chosen as one of the five mountain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refore,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in 1968 . Gyeryongsan National Park has a considerable amount of stone art associated with temples and tombs, with the ones related to Buddhist beliefs predominating. The Dangganjiju, Stone Pagoda, and Budo, which were handed down to Gap-sa Temple, Donghak-sa Temple, and Shinwon-sa Temple in the national park, are representative of such stone art.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said that Buddhist stone art forms the center of the stone art history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From a timeline perspective, the Buddhist stone art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shows a development process that is in line with the flow of stone art history in Korea. Each piece of stone artwork is believed to reflect the trend or culture of the time in which it was produced. However, although Gyeryongsan Mountai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mountain, stone artworks that are certain to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or Unified Silla Period have not been identified, as in other regions or cultural zones. It is expected that stone art related to this period will be excavat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Gyeryongsan Mountai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as it was chosen as one of the five mountain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refore,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in 1968 . Gyeryongsan National ...

      Gyeryongsan Mountai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as it was chosen as one of the five mountain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refore,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in 1968 . Gyeryongsan National Park has a considerable amount of stone art associated with temples and tombs, with the ones related to Buddhist beliefs predominating. The Dangganjiju, Stone Pagoda, and Budo, which were handed down to Gap-sa Temple, Donghak-sa Temple, and Shinwon-sa Temple in the national park, are representative of such stone art.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said that Buddhist stone art forms the center of the stone art history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From a timeline perspective, the Buddhist stone art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shows a development process that is in line with the flow of stone art history in Korea. Each piece of stone artwork is believed to reflect the trend or culture of the time in which it was produced. However, although Gyeryongsan Mountai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mountain, stone artworks that are certain to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or Unified Silla Period have not been identified, as in other regions or cultural zones. It is expected that stone art related to this period will be excavated in the fu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