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치악산국립공원 일대의 어류군집 분석 = Analysis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Chiaksan National Park Regio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05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2년 4월부터 10월까지 치악산국립공원 일대의 어류군집 특성을 분석하고자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은 GIS 분석을 통하여고정조사구 15개, 어류의 다양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임의 조사구 9개 등 24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조사지점의 환경은 대부분 1~4차하천으로 산간계류 또는 중상류역에 해당하였으며, 지점별 물리적 환경요인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 고도와 유폭, 수심에 따라 하상물질의구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조사 결과 총 11과 26종 3,053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참갈겨니(30.9%), 아우점종은 버들치(24.1%)였다. 법정보호종으로는 묵납자루, 어름치, 열목어, 둑중개 4종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 쉬리, 긴몰개, 돌마자 등 16종이었다. 지점에따른 어종별 개체수를 근거로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우점종과 아우점종의 개체수와 각 지점의 특성을결정하는 주요 종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국립공원구역 내⋅외의 어류군집 순위풍부도 곡선에 대한 모형을 분석한 결과 공원구역 내에서는‘Preemption’ 모형, 공원구역 밖은 ‘Mandelbrot’ 모형이 각각 채택되었다. 선행연구 결과와 본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치악산국립공원 일대에서 확인된 어류는 32종으로 정리되었으며, 시기별 어종 출현유무에 대하여 주좌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이와같이 치악산국립공원 일대의 어류군집은 법정보호종 4종, 한국고유종 16종 등 생물다양성과 보호가치가 매우 높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보전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2022년 4월부터 10월까지 치악산국립공원 일대의 어류군집 특성을 분석하고자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은 GIS 분석을 통하여고정조사구 15개, 어류의 다양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임...

      2022년 4월부터 10월까지 치악산국립공원 일대의 어류군집 특성을 분석하고자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은 GIS 분석을 통하여고정조사구 15개, 어류의 다양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임의 조사구 9개 등 24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조사지점의 환경은 대부분 1~4차하천으로 산간계류 또는 중상류역에 해당하였으며, 지점별 물리적 환경요인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 고도와 유폭, 수심에 따라 하상물질의구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조사 결과 총 11과 26종 3,053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참갈겨니(30.9%), 아우점종은 버들치(24.1%)였다. 법정보호종으로는 묵납자루, 어름치, 열목어, 둑중개 4종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 쉬리, 긴몰개, 돌마자 등 16종이었다. 지점에따른 어종별 개체수를 근거로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우점종과 아우점종의 개체수와 각 지점의 특성을결정하는 주요 종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국립공원구역 내⋅외의 어류군집 순위풍부도 곡선에 대한 모형을 분석한 결과 공원구역 내에서는‘Preemption’ 모형, 공원구역 밖은 ‘Mandelbrot’ 모형이 각각 채택되었다. 선행연구 결과와 본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치악산국립공원 일대에서 확인된 어류는 32종으로 정리되었으며, 시기별 어종 출현유무에 대하여 주좌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이와같이 치악산국립공원 일대의 어류군집은 법정보호종 4종, 한국고유종 16종 등 생물다양성과 보호가치가 매우 높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보전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fish community in the Chiaksan National Park region in Korea over three different seasons (from April to October 2022) an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Using GIS program, 15 fixed stations and nine random sta tions that were considered likely to have high fish species diversity were selected for study. Most environments at the surveyed sta tions were first- to fourth-order streams, corresponding to mountainous or upper-middle streams.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the stream substrates varied depending on the altitude, stream width, and water depth, as reveal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t each station. In total, 3,053 individuals from 26 species across 11 families were identified in the survey.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30.9%), followed by the subdominant species Rhynchocypris oxycephalus (24.1%). Four legally protected species were identified; namely, Acheilognathus signifer, Hemibarbus mylodon,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Cottus koreanus. Additionally, 16 species endemic to Korea were identified, including Coreoleuciscus splendid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Microphysogobio yaluensis.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per species at each station classified the stations into two large groups, which were furthe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ominant and key species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ion. Rank abundance curve model analysis of the fish clusters within and outside the national park area resulted in the ‘Preemption’ model being adopted for the park area and the ‘Mandelbrot’ model for the area outside the park. Thus, on the basis of this survey and previous studies, 32 fish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in Chiaksan National Park.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sh species by period divided the fish community into two groups.
      Therefore, the fish community in the Chiaksan National Park region has very high biodiversity and protection values, including four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16 species endemic to Korea. Hence, continuous monitoring and preservation measures are need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fish community in the Chiaksan National Park region in Korea over three different seasons (from April to October 2022) an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Using GIS program, 15 fixed stations and nine random sta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fish community in the Chiaksan National Park region in Korea over three different seasons (from April to October 2022) an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Using GIS program, 15 fixed stations and nine random sta tions that were considered likely to have high fish species diversity were selected for study. Most environments at the surveyed sta tions were first- to fourth-order streams, corresponding to mountainous or upper-middle streams.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the stream substrates varied depending on the altitude, stream width, and water depth, as reveal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t each station. In total, 3,053 individuals from 26 species across 11 families were identified in the survey.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30.9%), followed by the subdominant species Rhynchocypris oxycephalus (24.1%). Four legally protected species were identified; namely, Acheilognathus signifer, Hemibarbus mylodon,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Cottus koreanus. Additionally, 16 species endemic to Korea were identified, including Coreoleuciscus splendid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Microphysogobio yaluensis.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per species at each station classified the stations into two large groups, which were furthe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ominant and key species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ion. Rank abundance curve model analysis of the fish clusters within and outside the national park area resulted in the ‘Preemption’ model being adopted for the park area and the ‘Mandelbrot’ model for the area outside the park. Thus, on the basis of this survey and previous studies, 32 fish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in Chiaksan National Park.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sh species by period divided the fish community into two groups.
      Therefore, the fish community in the Chiaksan National Park region has very high biodiversity and protection values, including four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16 species endemic to Korea. Hence, continuous monitoring and preservation measures are need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