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유아 영상물 과다노출이 영유아의 일반 발달과 정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fants' Visual Media Overindulgence on their General Development and Social & Emotional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18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nfants' visual media overindulgence on their general development and social & emotional behavior. 222 mothers with infants(1-2 years), risiding in 00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fants' visual overindulg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ity of K-ASQ,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tivity·impulsivity, aggression·defiance, peer aggression(externalizing problems), and depression·withdrawl, anxiety(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ITSEA. Second, infants' visual media overindulgence posotively influenced personal-social developmental problem of K-ASQ. Third, it also positively influenced activity·impulsivity, aggression·defiance and peer aggression(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depression·withdrawl and anxiety(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ITSEA. The limit and future task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nfants' visual media overindulgence on their general development and social & emotional behavior. 222 mothers with infants(1-2 years), risiding in 00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we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nfants' visual media overindulgence on their general development and social & emotional behavior. 222 mothers with infants(1-2 years), risiding in 00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fants' visual overindulg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ity of K-ASQ,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tivity·impulsivity, aggression·defiance, peer aggression(externalizing problems), and depression·withdrawl, anxiety(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ITSEA. Second, infants' visual media overindulgence posotively influenced personal-social developmental problem of K-ASQ. Third, it also positively influenced activity·impulsivity, aggression·defiance and peer aggression(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depression·withdrawl and anxiety(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ITSEA. The limit and future task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이 영유아의 일반 발달과 정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00지역의 어린이집 2곳에 재원 중인 만 1-2세 영유아를 둔 어머니 2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영상물 과다 노출은 부모 작성용 유아모니터링 체계(K-ASQ)의 하위요인 중 개인-사회성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영상물 과다 노출은 영유아사회정서측정도구(ITSEA)의 활동‧충동성, 공격‧반항성, 또래공격성(외현화 행동문제), 우울‧퇴행, 불안(내재화 행동문제) 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만 1-2세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이 유아모니터링 체계(K-ASQ)의 하위요인 중 개인-사회성 발달을 부적으로 예측했다. 셋째, 만 1-2세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이 활동‧충동성, 공격‧반항성, 또래공격성(외현화 행동문제), 우울‧퇴행과 불안(내재화 행동문제)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본 연구 결과가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의 예방과 개입, 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이 영유아의 일반 발달과 정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00지역의 어린이집 2곳에 재원 중인 만 1-2세 영유아를 둔 어머니 222명을 ...

      본 연구는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이 영유아의 일반 발달과 정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00지역의 어린이집 2곳에 재원 중인 만 1-2세 영유아를 둔 어머니 2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영상물 과다 노출은 부모 작성용 유아모니터링 체계(K-ASQ)의 하위요인 중 개인-사회성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영상물 과다 노출은 영유아사회정서측정도구(ITSEA)의 활동‧충동성, 공격‧반항성, 또래공격성(외현화 행동문제), 우울‧퇴행, 불안(내재화 행동문제) 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만 1-2세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이 유아모니터링 체계(K-ASQ)의 하위요인 중 개인-사회성 발달을 부적으로 예측했다. 셋째, 만 1-2세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이 활동‧충동성, 공격‧반항성, 또래공격성(외현화 행동문제), 우울‧퇴행과 불안(내재화 행동문제)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본 연구 결과가 영유아의 영상물 과다 노출의 예방과 개입, 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가타오카 나오키, "텔레비전이 자폐아를 만든다" 컬쳐클럽 2001

      2 이미정,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 및 유아발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이혜숙, "유아의 게임 몰입성과 유아의 정신건강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정림,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육아정책연구소 2013

      5 장형윤, "영유아에서의 스마트기기 및 영상물 노출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9 (9): 51-66, 2016

      6 이경숙,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특성 탐색을 위한 ITSEA(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 예비적 적용" 한국자폐학회 16 (16): 111-131, 2016

      7 송숙자, "아동의 컴퓨터게임 몰두성향과 심리사회 및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27-41, 2003

      8 방효국,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3-64, 2013

      9 신성욱, "뇌가 좋은 아이" 마더북스 2010

      10 이경숙, "과도한 영상물 노출 양육이 영유아의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상군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75-103, 2005

      1 가타오카 나오키, "텔레비전이 자폐아를 만든다" 컬쳐클럽 2001

      2 이미정,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 및 유아발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이혜숙, "유아의 게임 몰입성과 유아의 정신건강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4 이정림,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육아정책연구소 2013

      5 장형윤, "영유아에서의 스마트기기 및 영상물 노출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9 (9): 51-66, 2016

      6 이경숙,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특성 탐색을 위한 ITSEA(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 예비적 적용" 한국자폐학회 16 (16): 111-131, 2016

      7 송숙자, "아동의 컴퓨터게임 몰두성향과 심리사회 및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27-41, 2003

      8 방효국,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3-64, 2013

      9 신성욱, "뇌가 좋은 아이" 마더북스 2010

      10 이경숙, "과도한 영상물 노출 양육이 영유아의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상군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75-103, 2005

      11 강병재, "게임과몰입 유아의 행동특성에 관한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21, 2008

      12 임선영, "가정에서 유아 스마트폰사용실태와 어머니의 허용과 인식 : 계양구 유아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Hozefa, A., "smart phone use and behavioral problems in young children" 66 (66): 524-529, 2010

      14 Zimmerman, F. J., "Television and DVD/Video Viewing in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161 : 473-379, 2007

      15 허계영, "K-ASQ 사용 지침서" 서울장애인복지관 2006

      16 Briggs-Gowen, M. J.,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 (ITSEA)Manual version 1.1" The Connecticut Early Development project, Yale University 2001

      17 Anderson, D. R., "Early childhood television viewing and adolescent behavior : The recontact study" 66 (66): 1-147, 2001

      18 Mukaddes, N. M.,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response in cases diagnosed as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30 (30): 273-287, 2000

      19 이경숙, "1-3세 영유아 영상물 과몰입이 일반적, 정서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117-132, 2015

      20 이경숙, "0-3세 영유아의 영상물과몰입 실태조사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개발과적용"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2013

      21 박진아,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스트레스, 모-자녀관계 및 자녀의 기질과 행동문제" 한국여성심리학회 19 (19): 55-70,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2-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for Infant Mental Health -> Korean Journal for Infant Mental Health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