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제국시기 역사 교과서 『대한력ᄉᆞ』(1908)의 저술 주체와 저본 문제 = Issues of Authorship and Source Text in the History Textbook Daehan Ryeoksa(1908)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03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한제국시기 예수교서회에서 발행한 역사 교과서 『대한력ᄉᆞ』(1908)의 저술 주체와 저본에 대한 학설이 상이한 현실에 의문을 품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단군조선기부터 고려기를 포함하는 이 책은 을사조약 이후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발행되었던 여러 역사 교과서 중 유일하게 순국문체로 쓰였고, 1908년 발행되면서 헐버트 교과서 시리즈 No.1으로 등록되었다. 이 책의 저술에 대해서는 헐버트가 제자 오성근에게 편찬ㆍ역술을 위임했으므로 헐버트의 『한국사』(History of Korea, 1905)를 국역한 것이라는 주장과, 독립협회 임원으로 활동했던 정교의 『대동역사』(大東歷史, 1906)를 국역한 것이라는 상이한 설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차 자료와 실제 문헌들을 비교 조사하여 사실을 검증한다. 1장에서는 헐버트 서신과 <오성근 일기>를 근거로 이 책의 저술 주체를 논한다. 2장에서는 『대한력ᄉᆞ』를 헐버트의 『한국사』와 대조하여 시대구분과 서술방식, 인물평의 차이를 논한다. 3장에서는 『대한력ᄉᆞ』를 정교의 『대동역사』와 비교하여 유사성과 차이를 논함으로써 이 책의 저본을 규명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한제국시기 예수교서회에서 발행한 역사 교과서 『대한력ᄉᆞ』(1908)의 저술 주체와 저본에 대한 학설이 상이한 현실에 의문을 품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단군조선기...

      본 연구는 대한제국시기 예수교서회에서 발행한 역사 교과서 『대한력ᄉᆞ』(1908)의 저술 주체와 저본에 대한 학설이 상이한 현실에 의문을 품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단군조선기부터 고려기를 포함하는 이 책은 을사조약 이후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발행되었던 여러 역사 교과서 중 유일하게 순국문체로 쓰였고, 1908년 발행되면서 헐버트 교과서 시리즈 No.1으로 등록되었다. 이 책의 저술에 대해서는 헐버트가 제자 오성근에게 편찬ㆍ역술을 위임했으므로 헐버트의 『한국사』(History of Korea, 1905)를 국역한 것이라는 주장과, 독립협회 임원으로 활동했던 정교의 『대동역사』(大東歷史, 1906)를 국역한 것이라는 상이한 설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차 자료와 실제 문헌들을 비교 조사하여 사실을 검증한다. 1장에서는 헐버트 서신과 <오성근 일기>를 근거로 이 책의 저술 주체를 논한다. 2장에서는 『대한력ᄉᆞ』를 헐버트의 『한국사』와 대조하여 시대구분과 서술방식, 인물평의 차이를 논한다. 3장에서는 『대한력ᄉᆞ』를 정교의 『대동역사』와 비교하여 유사성과 차이를 논함으로써 이 책의 저본을 규명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onflicting theories regarding the authorship and source text of Daehan Ryeoksa (1908), a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the Korean Religious Tract Society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Covering Korean history from the Dan’gun period to the Goryeo, it was the only history textbook written entirely in han’geul after the 1905 Protectorate Treaty and was designated Hulbert Textbook Series No. 1 upon publication. Regarding its authorship and source text, two competing theories exist: one attributes the book to Homer B. Hulbert, who entrusted its compilation and translation to his student O Seong-geun, linking it to Hulbert’s History of Korea (1905); the other argues it is a Korean translation of Jeong Gyo’s Daedong Yeoksa(1906) originall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is study verifies these claim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primary sources. Chapter 1 explores authorship based on Hulbert’s correspondence and O Seong-geun’s Diary. Chapter 2 contrasts Daehan Ryeoksa with Hulbert’s History of Korea, highlighting differences in periodization, narrative style, and historical assessment. Chapter 3 examines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rom Daedong Yeoksa, offering new insights into its origin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conflicting theories regarding the authorship and source text of Daehan Ryeoksa (1908), a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the Korean Religious Tract Society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Covering Korean history from the Dan’gun ...

      This study examines conflicting theories regarding the authorship and source text of Daehan Ryeoksa (1908), a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the Korean Religious Tract Society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Covering Korean history from the Dan’gun period to the Goryeo, it was the only history textbook written entirely in han’geul after the 1905 Protectorate Treaty and was designated Hulbert Textbook Series No. 1 upon publication. Regarding its authorship and source text, two competing theories exist: one attributes the book to Homer B. Hulbert, who entrusted its compilation and translation to his student O Seong-geun, linking it to Hulbert’s History of Korea (1905); the other argues it is a Korean translation of Jeong Gyo’s Daedong Yeoksa(1906) originall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is study verifies these claim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primary sources. Chapter 1 explores authorship based on Hulbert’s correspondence and O Seong-geun’s Diary. Chapter 2 contrasts Daehan Ryeoksa with Hulbert’s History of Korea, highlighting differences in periodization, narrative style, and historical assessment. Chapter 3 examines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rom Daedong Yeoksa, offering new insights into its origi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