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바일 SNS 애착이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5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바일 환경의 발달은 사람들이 SNS를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의존하도록 만들고 있으며 SNS를 통해 타인의 상태에 대한 논평을 하거나 언급하는 성 향을 형성하면서 이용자들간의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한 개인이 다른 특정한 개인과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를 가지는 경향을 애착이라 하는데, 특정 미디어나 브랜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애착이 발생한다는 연구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SNS와 이용자의 애착정도를 살펴보고 애착 관계에 따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203명의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NS의 하위요인 중 안정감과 분리불안 요인 사회적 효능감과 대인 관계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정감의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분리불안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리불안의 부정적인 영향은 SNS중독 연구들과 비슷한 연구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SNS 이용 동기인 관계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연 구 결과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모바일 환경의 발달은 사람들이 SNS를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의존하도록 만들고 있으며 SNS를 통해 타인의 상태에 대한 논평을 하거나 언급하는 성 향을 형성하면서 이용자들간의 관계를...

      모바일 환경의 발달은 사람들이 SNS를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의존하도록 만들고 있으며 SNS를 통해 타인의 상태에 대한 논평을 하거나 언급하는 성 향을 형성하면서 이용자들간의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한 개인이 다른 특정한 개인과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를 가지는 경향을 애착이라 하는데, 특정 미디어나 브랜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애착이 발생한다는 연구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SNS와 이용자의 애착정도를 살펴보고 애착 관계에 따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203명의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NS의 하위요인 중 안정감과 분리불안 요인 사회적 효능감과 대인 관계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정감의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분리불안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리불안의 부정적인 영향은 SNS중독 연구들과 비슷한 연구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SNS 이용 동기인 관계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연 구 결과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environment encourages people to rely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hanne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or maintaining relationships between users while forming a tendency to comment or mention other people's conditions through SNS. The tendency of one individual to have continuous emotional bonds with another specific individual is called attachment, and studies have shown that attachment occurs in the process of using a specific media or bran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egree of attachment of SNS and user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effect of attachment relationships on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203 SNS users.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SNS,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ability and separation anxiety factors, social effica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tability,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and separation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The negative effects of separation anxiety are similar to those of SNS addiction studies. However, sinc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stabil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research result that can examine the positive impact relationship in terms of relationships, which are motives for using SNS.
      번역하기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environment encourages people to rely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hanne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or maintaining relationships between users while forming a tendency...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environment encourages people to rely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hanne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or maintaining relationships between users while forming a tendency to comment or mention other people's conditions through SNS. The tendency of one individual to have continuous emotional bonds with another specific individual is called attachment, and studies have shown that attachment occurs in the process of using a specific media or bran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egree of attachment of SNS and user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effect of attachment relationships on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203 SNS users.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SNS,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ability and separation anxiety factors, social effica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tability,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and separation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The negative effects of separation anxiety are similar to those of SNS addiction studies. However, sinc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stabil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research result that can examine the positive impact relationship in terms of relationships, which are motives for using S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SNS 애착
      • 2. 사회적 자기효능감
      • 3. 대인관계 만족도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SNS 애착
      • 2. 사회적 자기효능감
      • 3. 대인관계 만족도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 연구방법
      • 2. 측정변인
      • 3. 분석방법
      • Ⅳ. 연구결과
      • 1. 대인관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 2. SNS 애착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3. SNS 애착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 Ⅴ. 논의 및 결론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서윤, "휴대전화에 대한 애착: 애착의 개념 정립과 측정 도구의 제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8 (28): 219-256, 2011

      2 윤승욱, "휴대전화 애착정도가 사용자의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휴대전화 사용 중단으로 인한 불안, 스트레스, 사회적 관계 회피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243-275, 2007

      3 서순금,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코칭학회 13 (13): 5-30, 2020

      4 최세경,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모바일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59-200, 2012

      5 김정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5

      6 박원모,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친구관계 간의 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41-59, 2008

      7 나은영, "청소년의 이동전화 애착 이용, 효과 지각 및 커뮤니케이션 효능감: 2002,2004년 서울,수도권 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198-232, 2005

      8 은혁기, "청소년들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기술 및 대인관계만족에 관한 연구 : 학령별·성별 차이와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9 (9): 136-157, 2001

      9 문선모,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19 : 195-204, 1980

      10 김귀숙, "아동의 애착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6 (6): 259-279, 2003

      1 최서윤, "휴대전화에 대한 애착: 애착의 개념 정립과 측정 도구의 제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8 (28): 219-256, 2011

      2 윤승욱, "휴대전화 애착정도가 사용자의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휴대전화 사용 중단으로 인한 불안, 스트레스, 사회적 관계 회피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243-275, 2007

      3 서순금,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코칭학회 13 (13): 5-30, 2020

      4 최세경,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모바일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59-200, 2012

      5 김정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5

      6 박원모,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친구관계 간의 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41-59, 2008

      7 나은영, "청소년의 이동전화 애착 이용, 효과 지각 및 커뮤니케이션 효능감: 2002,2004년 서울,수도권 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198-232, 2005

      8 은혁기, "청소년들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기술 및 대인관계만족에 관한 연구 : 학령별·성별 차이와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9 (9): 136-157, 2001

      9 문선모,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19 : 195-204, 1980

      10 김귀숙, "아동의 애착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6 (6): 259-279, 2003

      11 구세희, "스마트폰의 애착 형성 요인과 중독 경향성에 관한 연구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12 송혜진, "스마트폰 이용을 통한 SNS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 1 (1): 31-49, 2011

      13 김점희, "상담자의 개입에 따른 반응성애착장애 유아의 언어 및 놀이발달 변화과정 탐색: 그림책 읽어주기와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코칭학회 13 (13): 49-75, 2020

      14 장은진, "사용자 SNS 애착의 SNS 전환행동 영향요인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6 (16): 255-273, 2015

      15 박미정,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23-434, 2017

      16 황경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5-375, 2012

      17 구혜자, "대학생의 SNS중독 경향성,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80-187, 2016

      18 강한아, "대학생용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263-283, 2013

      19 한미옥, "교사의 코칭리더십이 중학생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코칭학회 13 (13): 35-54, 2020

      20 Pollet, T. V., "Use of social network sites and instant messaging does not lead to increased offline social network size, or to emotionally closer relationships with offline network members" 14 (14): 253-258, 2011

      21 Bowlby, J.,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39 : 350-373, 1958

      22 Schlein, 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Pennsylvania University 1971

      23 Weiser, E. B., "The functions of Internet use and their soci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4 (4): 723-743, 2001

      24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25 Scheier, L. M., "Social skills, competence, and drug refusal efficacy as predictors of adolescent alcohol use" 29 (29): 251-278, 1999

      26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27 Leary, M. R., "Self-efficacy, social anxiety, and inhibition in interpersonal encounꠓters" 4 (4): 256-267, 1986

      28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ꠓ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91-215, 1977

      29 한남식, "SNS 이용동기가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39 (39): 91-105, 2021

      30 Pew Research Center, "SNS Social media can lead to stress and offline relationship problems"

      31 Hazan, C.,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52 (52): 511-524, 1987

      32 Ainsworth, M. D. S.,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Lawrence Erlbaum 1978

      33 Raacke, J., "My Space and Facebook :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11 (11): 169-174, 2008

      34 Fan, C., "Measuring social self-efficacy in a culturally diverse student population" 26 (26): 131-144, 1998

      35 Kelley, H. H., "Interpersonal relations: A theory of interdependence" John Wiley & Sons 1978

      36 Mikulincer, M., "Attachment theory and affect regulation: The dynamics. development, and cognitive consequences of attachment-related strategies" 27 (27): 77-102, 2003

      37 Mikulincer, M., "Attachment in adulthood : Structure, dynamics, and change" The Guilford Press 2007

      38 Collins, N. L.,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58 (58): 644-663, 1990

      39 Hinkin, T. R.,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electronic version]"

      40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4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