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모든 아동이 아동권리를 실현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아동친화도시의 놀이터 조성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7월부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모든 아동이 아동권리를 실현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아동친화도시의 놀이터 조성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7월부터 ...
본 연구는 모든 아동이 아동권리를 실현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아동친화도시의 놀이터 조성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문헌연구 분석을 통해 유엔아동권 리협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아동권리, 아동친화도시의 구성요소 및 특성과 실태를 살펴보며. 놀이터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여 아동친화도시의 놀이터 조성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다. 첫째, 아동이 주체가 되어 도전과 모험적인 놀이를 할 수 있는 모험놀이터 공간으로 조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 어울려서 놀이할 수 있는 무장애 통합놀이터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장애 아동도 놀이터에서 놀 권리가 있으며 놀이터 접근성과 자원 이용에 있어 제한이 없어야 한다. 셋째, 유해한 물질로부터 보호받고 안전하게 놀이할 수 있으며 자연소재의 자원을 이용한 생태놀이터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아동친 화도시의 놀이터는 모든 아동이 놀이터 조성의 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권리를 온전히 실현하고 더욱 더 행복하게 놀이할 수 있는 형태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creation of a playground in a child-friendly city in order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all children can realize children's rights and lead a happy life. To this end, through literature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creation of a playground in a child-friendly city in order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all children can realize children's rights and lead a happy life. To this e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alysis from July to September 2021, the elements,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a child-friendly city are presented i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By reviewing playground-related studies, the direction of playground creation in a child-friendly city was sought.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dventure playground where children can take the lead and play with challenge and adven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barrier-free integrated playground whe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 can play togethe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the right to play in the playground, and there should be no restrictions on playground access and resource use. Third, it is necessary to be protected from harmful substances and to play safely, and to have an ecological playground using natural resources. Above all, playgrounds in a child-friendly city should be created in a form that allows all childr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ntire process of playground creation so that they can fully realize their rights and play more happi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가일, "한국과 호주의 동네 놀이터 특징에 관한 비교문화 사례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91-617, 2016
2 세이브더칠드런,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지수 연구" 세이브더칠드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83-88, 2014
3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한국 아동의 놀 권리 현주소와 대안"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2014
4 이채은, "통합놀이터 관점에서 분석한 서울숲 무장애놀이터 ‘상상, 거인의 나라’"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605-618, 2017
5 이영범, "통합놀이터 계획 및 설계 - 서울어린이대공원 내 꿈틀꿈틀놀이터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101-108, 2017
6 김연금, "통합놀이터 가이드라인의 특성" 한국조경학회 46 (46): 75-84, 2018
7 김정화, "초등학교 아동의 놀이대상과 놀이유형별 소요시간이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학회 12 (12): 55-70, 2019
8 윤여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국내놀이터 공간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90-97, 2016
9 서영미, "지방정부의 아동친화도시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383-407, 2018
10 최선경, "지방정부의 아동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권리 강화 방안 : 보편적 복지로서의 아동복지패러다임의 변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5 (5): 313-319, 2019
1 전가일, "한국과 호주의 동네 놀이터 특징에 관한 비교문화 사례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91-617, 2016
2 세이브더칠드런,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지수 연구" 세이브더칠드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83-88, 2014
3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한국 아동의 놀 권리 현주소와 대안"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2014
4 이채은, "통합놀이터 관점에서 분석한 서울숲 무장애놀이터 ‘상상, 거인의 나라’"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605-618, 2017
5 이영범, "통합놀이터 계획 및 설계 - 서울어린이대공원 내 꿈틀꿈틀놀이터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101-108, 2017
6 김연금, "통합놀이터 가이드라인의 특성" 한국조경학회 46 (46): 75-84, 2018
7 김정화, "초등학교 아동의 놀이대상과 놀이유형별 소요시간이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학회 12 (12): 55-70, 2019
8 윤여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국내놀이터 공간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90-97, 2016
9 서영미, "지방정부의 아동친화도시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383-407, 2018
10 최선경, "지방정부의 아동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권리 강화 방안 : 보편적 복지로서의 아동복지패러다임의 변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5 (5): 313-319, 2019
11 관계부처합동, "제2차 아동정책기본계획 ’20-’24" 보건복지부 2020
12 송순옥,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69-90, 2015
13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12, 2009
14 고주애,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과 아동청소년 권리모니터링 권리교육의 과제" 9-22, 2017
15 곽정인, "유아의 위험성 감수놀이를 위한 실외환경의 특성:영국의 유아원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429-455, 2016
16 권선영, "유아와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85-94, 2017
17 이화도, "영유아를 위한 인권교육" 창지사 2018
18 도미향, "영유아를 위한 놀이 코칭 프로그램의 적용 :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중심으로" 6 (6): 5-31, 2013
19 도미향, "영유아교육기관의 인권교육을 위한 탐색적 접근" 한국코칭학회 10 (10): 197-218, 2017
20 환경부, "어린이의 유해물질 노출실태조사 및 위해성 관리 대책수립 연구 결과 보고서" 환경부 2007
21 Ellen Key, "어린이의 세기"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22 박혜은, "어린이에게 놀이의 자유와 권리, 모험놀이터" 12 : 319-332, 2017
23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남아동옹호센터, "어린이가 있는 곳, 어디든 놀이터 성과보고서" 나주 어린이재단 전남아동옹호센터 2020
24 윤재국, "어린이 놀이터를 위한 공공미술 개념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41-50, 2010
25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알기 쉬운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길라잡이"
26 박금식, "아동친화도시에 대한 관심 필요" 1-8, 2014
27 박금식, "아동친화도시, 참여 확대와 권리 증진이 우선이다" 1-8, 2017
28 이은혜,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자치입법 방향에 관한 고찰-아동친화도시 조성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56 : 73-100, 2020
29 김원정,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참여 확산 방안 마련"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181, 2018
30 박진희, "아동친화도시 실현을 위한 공공시설 조성 경향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127-140, 2021
31 김웅수, "아동친화도시 구축을 위한 아동권리와 행복감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85-491, 2017
32 김연주,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69-84, 2021
33 하정화, "아동청소년 친화도시 조성방안"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16
34 오미희, "아동의 행복을 지향하는 아동권리와 복지" 파워북 2020
35 제충만, "아동의 놀 권리로 본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
36 유다은, "아동의 공간복지 향상을 위한 아동친화도시 지표체계에 대한 국제비교 및 환경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37 (37): 137-147, 2021
37 도미향, "아동복지론" 공동체 2016
38 정옥분, "아동권리와 복지" 학지사 2020
39 공미진, "아동 친화적 도시를 위한 물리적 환경요인의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32 (32): 69-79, 2021
40 환경부, "생태놀이터"아이뜨락"유형별 조성모델 가이드북"
41 김자경, "사례 분석을 통한 생태 놀이터의 계획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70-82, 2016
42 송이은, "빅데이터 기반 지자체 아동친화도시 정책 트렌드 분석"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4 (14): 719-728, 2019
43 이선주, "독일 아동친화 도시계획의 특징과 한국에의 시사점" 국토연구원 105 : 15-30, 2020
44 한현석, "도심형 무장애 통합형 놀이터 디자인 제안"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8 (18): 61-76, 2019
45 신순호, "도시의 모험놀이터‘플레이파크’에 관한 고찰 -일본 동경도「세타가야구 하네기 플레이파크」를 사례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4 (24): 239-262, 2011
46 아동권리위원회, "대한민국 제5-6차 국가보고서에 대한 최종견해. 2019년 10월 24일 배포자료"
47 편해문, "놀이터, 위험해야 안전하다" 소나무 2015
48 박현선,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놀이공간 조성과 지역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69 (69): 175-201, 2020
49 편해문, "놀이는 밥!: 살아있는 놀이와 놀이터 이야기" 21-38, 2019
50 황옥경, "권리로서의 놀이와 여가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755-774, 2015
51 김내리, "감각통합이론에 근거한 장애와 비장애를 포용하는 놀이터 환경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205-212, 2015
52 이숙희, "‘내가 놀고 싶은 바깥놀이터' 그리기에 나타난 바깥놀이터의 의미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1-26, 2018
53 Scott. R., "Side by Side. Guidelines for Inclusive Play"
54 Little, H., "Risk, challenge and safety : Implication for quality and playground design" 18 (18): 497-513, 2010
55 Thomson, J., "Playful spaces? A social geography of children’s play in Livingstion Scotland" 2 (2): 11-130, 2004
56 세이브더칠드런, "2019 세이브더칠드런 놀 권리 성장포럼. 놀이가 바꾼 아동과 지역사회" 세이브더칠드런 2019
57 류정희,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58 한국생태복원협회, "2016 생태놀이터 사례집 : 생태놀이터 아이뜨락" (사)한국생태복원협회 2016
대학생의 코칭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중심으로
모바일 SNS 애착이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