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도형, "한주학파의 형성과 현실인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8 : 2001
2 이형성, "한주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한국국학진흥원 (15) : 91-156, 2009
3 김종석, "한말 영남 유학계의 동향과 지역별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4 : 2004
4 심학환, "종용록 3권 1책" 요산정사 1909
5 김경숙, "조선후기 사대부가의 聯名呈訴 활동과 公論 형성 - 安東 周村 眞城李氏家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09) : 233-266, 2013
6 박주, "조선시대 읍지와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16
7 서경희, "조선 후기 이모에 대한 관계 인식과 감성 —남성지식인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9) : 142-171, 2020
8 이희환, "조선 말기의 정려(旌閭)와 가문 숭상의 풍조" 조선시대사학회 17 : 2001
9 "승정원일기 고종 43년 3월 24일"
10 김낙진, "노백헌 정재규의 주리적 심학의 형성 과정− 한주학단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연구회 (68) : 33-65, 2021
1 김도형, "한주학파의 형성과 현실인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8 : 2001
2 이형성, "한주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한국국학진흥원 (15) : 91-156, 2009
3 김종석, "한말 영남 유학계의 동향과 지역별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4 : 2004
4 심학환, "종용록 3권 1책" 요산정사 1909
5 김경숙, "조선후기 사대부가의 聯名呈訴 활동과 公論 형성 - 安東 周村 眞城李氏家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09) : 233-266, 2013
6 박주, "조선시대 읍지와 유교문화" 국학자료원 2016
7 서경희, "조선 후기 이모에 대한 관계 인식과 감성 —남성지식인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9) : 142-171, 2020
8 이희환, "조선 말기의 정려(旌閭)와 가문 숭상의 풍조" 조선시대사학회 17 : 2001
9 "승정원일기 고종 43년 3월 24일"
10 김낙진, "노백헌 정재규의 주리적 심학의 형성 과정− 한주학단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연구회 (68) : 33-65, 2021
11 강재철, "김부인유서에 대하여" 일지사 43 : 1986
12 김경미, "개화기 열녀전 연구" 국어국문학회 132 : 2003
13 沈鶴煥, "蕉山集 卷2"
14 鄭載圭, "老柏軒先生文集 卷48, <烈婦金氏實錄>"
15 柳麟錫, "毅菴集 卷50, <烈婦孺人李氏傳>"
16 金煕㴤, "寒洲先生文集 附錄 卷5, <祭文>"
17 李承熙, "大溪集 卷36, <廉烈婦傳>"
18 황재문, "『從容錄』에 나타난 烈女 認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2) : 155-172, 1999
19 박주, "19세기 후반기의 旌表政策"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52 : 1996
20 강성숙, "19세기 여성 孝烈 담론 일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6) : 55-95, 2013
21 김혁, "19세기 김채상 집안의 효자정려 취득과정" 한국학중앙연구원 12 : 2004
22 권오영, "19세기 강우학자들의 학문동향"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11 : 2001
23 김호, "100년 전 살인사건" 휴머니스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