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s of Calling and Work Meaning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45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인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 소명의식, 일의 의미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이 개인차 변인인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경기지역 초등 학교 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 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감정노동 중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이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교사가 감정노동 중 표면적 행동을 많이 하면 더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지 만(주효과),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가 표면적 행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해주기 때문에(조절효과),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 성향이 표면적 행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해주는 효율적인 조절효과라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고, 교사 개인의 발전과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교사의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연수 및 프로그램 개발과 개입 전략의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인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 소명의식, 일의 의미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

      본 연구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인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 소명의식, 일의 의미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이 개인차 변인인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경기지역 초등 학교 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 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감정노동 중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이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교사가 감정노동 중 표면적 행동을 많이 하면 더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지 만(주효과),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가 표면적 행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해주기 때문에(조절효과),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 성향이 표면적 행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해주는 효율적인 조절효과라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고, 교사 개인의 발전과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교사의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연수 및 프로그램 개발과 개입 전략의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ditions such as surface acting, deep acting emotional labor, calling and work meaning on the job str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ddition, the study also tried to discover that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teachers, whether this was dependant on their work meaning and calling. For the study, 325 teachers, both male and female, from Incheon and the Gyeonggi area were surveyed.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by using the method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more surface acting causes more stress (main effect). But, calling and work meaning can buffer the negative influence effectively (moderating effect). The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that calling and work meaning buffer the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caused by surface act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escrib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For ongoing teacher improvement, which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seriously consider offering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that intervention strategies are needed, regarding work meaning and calling as a teac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ditions such as surface acting, deep acting emotional labor, calling and work meaning on the job str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ddition, the study also tried to discover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ditions such as surface acting, deep acting emotional labor, calling and work meaning on the job str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ddition, the study also tried to discover that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teachers, whether this was dependant on their work meaning and calling. For the study, 325 teachers, both male and female, from Incheon and the Gyeonggi area were surveyed.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by using the method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more surface acting causes more stress (main effect). But, calling and work meaning can buffer the negative influence effectively (moderating effect). The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that calling and work meaning buffer the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caused by surface act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escrib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For ongoing teacher improvement, which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seriously consider offering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that intervention strategies are needed, regarding work meaning and calling as a teac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 의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 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진,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 타당화 :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하유진, "한국판 다차원적 소명척도(MCM-K)의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191-220, 2014

      4 윤혜선, "학력신장 교육개혁과 교사 감정노동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5 김천기, "특수교사의 감정규칙에 관한 문화기술연구" 25 : 83-113, 2005

      6 손연주,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정서표현 갈등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7 손준종,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 안암교육학회 17 (17): 93-127, 2011

      8 홍종택,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간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이은경, "청소년지도자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15-140, 2011

      10 이정근, "진로지도와 진로상담" 중앙적성출판사 1989

      1 김수진,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 타당화 :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하유진, "한국판 다차원적 소명척도(MCM-K)의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191-220, 2014

      4 윤혜선, "학력신장 교육개혁과 교사 감정노동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5 김천기, "특수교사의 감정규칙에 관한 문화기술연구" 25 : 83-113, 2005

      6 손연주,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정서표현 갈등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7 손준종,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 안암교육학회 17 (17): 93-127, 2011

      8 홍종택,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간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이은경, "청소년지도자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15-140, 2011

      10 이정근, "진로지도와 진로상담" 중앙적성출판사 1989

      11 윤심노,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30 : 61-87, 2001

      12 이정선,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업무환경의 중재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3 황현숙,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495-515, 2012

      14 강문실, "정서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 결과요인 그리고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8

      15 노혜미, "정서노동 장면에서 정서상태, 정서지능이 정서노동 전략과 직무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6

      16 유수옥, "장애전담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29-345, 2007

      17 장형석,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1 (1): 81-117, 2000

      18 김미정, "유급가정봉사원 전문직업적 태도와 서비스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가정도우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9 황수아, "심층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원 30 (30): 59-91, 2014

      20 윤소천,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과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 지각된 상사지지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61-86, 2013

      21 조은애, "상담자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2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23 이진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4 정명선,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완충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47-166, 2014

      25 김영은,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57-76, 2012

      26 김혜정,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7 고재욱,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해소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269-294, 2012

      28 장원섭, "기업교육의 패러다임 전환-훈련에서 학습으로 그리고 성과에서 가치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4 (24): 89-110, 2005

      29 한국고용정보원, "교육․문화예술 분야 직업종사자 만족도 높아"

      30 석 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1 임지윤, "교사의 정서노동이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97-220, 2014

      32 임지윤, "교사의 정서노동과 정서조절이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33 신민주, "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4 장진이,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23-146, 2014

      35 강수정, "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257-277, 2014

      36 어예리, "감정노동, 감정표현규칙 하위요인 군집에 따른 초등교사 소진의 차이"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41-61, 2015

      37 Platt, J. M., "Why teachers are leaving special education : Implications for pre service and in service educators" 13 : 192-196, 1990

      38 Treadgold, R., "Transcendent vocations : Their relationship to stress, depression, and clarity of self-concept" 39 : 81-105, 1999

      39 Nias, J., "Thinking about feeling : The emotions in teaching" 26 : 293-306, 1996

      40 Hagmaier, T., "The multidimensionality of calling :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 bicultural perspective" 81 : 39-51, 2012

      41 Susan, C., "The meaning of work : The challenge of regaining employee engagement and reducing cynicism" 16 : 199-208, 2006

      42 Hochschild, R. A.,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3 Hargreaves, A., "The emotional practice of teaching" 14 : 835-854, 1998

      44 Pugliesi, K.,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23 (23): 125-154, 1999

      45 Quinn, R. P., "The 1972-1973 Quality of Employment Survey" University of Michigan,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974

      46 Brotheridge, C. M.,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7 : 55-67, 2002

      47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Inc 289-, 1995

      4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Erlbaum 1988

      49 Faul, F.,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 1 :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41 (41): 1149-1160, 2009

      50 Parker, D. F.,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32 : 160-177, 1983

      51 Hackman, J. R.,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16 : 250-, 1976

      52 Steger, M. F., "Measuring meaningful work: The work and meaning inventory (WAMI)" 1-16, 2012

      53 Clase, R., "Initial career and work meanings in seven european countries" 42 (42): 337-352, 1994

      54 Oldham. G. R., "Great minds in management: the process of theory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51-170, 2005

      55 Sparks, J. R., "Explaining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higher-order motives in multilevel marketing organizations" 22 : 849-869, 2001

      56 Grandey, A.,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5 : 95-110, 2000

      57 Kinman, G., "Emotional labour, burnput job satisfaction in UK teachers : the role of Workplace social support" 31 (31): 843-856, 2011

      58 Ashforth, B. E.,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 The influence of identity" 18 (18): 88-115, 1993

      59 Brotheridge, C., "Emotional labor and burnout :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60 : 17-39, 2002

      60 Zapf, D.,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12 : 237-268, 2002

      61 Zembylas, M., "Emotion in Education" Elsevier 293-309, 2007

      62 Zembylas, M., "Constructing genealogies of teachers’ emotions in science teaching" 39 : 79-103, 2002

      63 Gilstrap, C. M., "Closing in on closeness: Teacher immediacy as a form of emotion labor" Colorado University 2005

      64 Zembylas, M., "Caring for teacher emotion : Reflections on teacher self-development" 22 : 103-125, 2003

      65 Serow, R. C., "Calling, service, and legitimacy : Professional students : orientations and career commitment among prospective teachers" 25 : 136-141, 1992

      66 Dik, B. J.,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37 (37): 424-450, 2009

      67 Serow, R. C., "Called to teach : A study of highly motivated preservice teachers" 27 : 65-72, 1994

      68 한국교육개발원, "2013 국제 교사 위상 지수 분석 결과 및 한국 교원정책에 주는 시사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