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지역 환경 토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토의 과정을 관찰하여 환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환경 인식 불안정성을 보여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35267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6-264(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지역 환경 토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토의 과정을 관찰하여 환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환경 인식 불안정성을 보여주...
이 연구에서는 지역 환경 토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토의 과정을 관찰하여 환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환경 인식 불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기반하여 환경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환경에 관심이 많은 용인시의 초 ․ 중등 학생 총 42명으로, 이들은 청소년 환경 포럼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NEP(신환경패러다임) 조사, 개인 활동지 분석, 그리고 소집단 토의 녹취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높은 NEP 점수를 통해 전반적으로 생태지향적 태도를 보였으나, 실제 인식과 NEP 조사 결과 사이에 불일치하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학생들은 인간과 자연이 동등하다는 생태지향적 인식과 동시에 인간의 우월성과 자연 관리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인간중심적 인식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환경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실제 가치관 사이의 갈등을 반영한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의 불안정성을 드러내며, 환경교육이 지식 전달을 넘어서 학생들의 다양한 인식과 태도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대학 전공수업에서의 탄소중립교육과 탄소중립 아이디어 경진대회의 교육적 효과
들뢰즈-과타리의 환경(Milieu) 이론과 연합 환경(Milieu Associé) 개념 연구:인류세 시대의 탈-인간중심적 환경 개념을 찾아서
전통생태지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농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중점학교 운영 분석과 학교전체적 접근의 환경교육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