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실요법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Self-Effica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84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과도기적 발달단계에 있으며, 입시위주의 교육, 복잡한 사회 환경, 사회의 급격한 변화과정에서의 사회적 규범과 가치체계의 불안정과 불확실성 등으로 건강한 삶을 위협받고 있는 청소년의 우울 성향 감소 및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학교상담 장면에서 적용하는 것은 청소년 개인의 현재 상황에서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이후의 사회에서의 건강한 삶과 적응 및 행복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고등학생들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셋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자아 효능감 증진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가설은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우울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 효능감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로 세웠다.
      본 연구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1개 고등학교 2학년 5개반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검사와 우울성향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우울성향이 높은 학생 30%(34점 이상)와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 30%(61점 이하)를 절단점으로 하여 이들 중 두 가지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학생들 31명을 선발하였다. 이들 중 집단 상담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24명을 선정하여 12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의 우울성향의 평균은 31.4점(SD = .58)이고,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71.46(SD = .9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최근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박민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조사, 분석, 설계, 구안 및 적용의 과정을 거쳤으며,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한 후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김순업, 2005; 송지영, 2004; 우애령, 1994), 우울감소 집단상담 프로그램(강둘선, 2008; 전은영, 2009; 정영남, 1999), 자기효능감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강복선, 2005; 추영미, 2005)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2009년 8월 19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9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1주에 2회씩 자기주도 학습 시간을 활용하여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도구는 우울성향 측정에 Beck이 제작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를 한흥무 등(1986)이 번안하여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 효능감 측정을 위해서는 Shere 등(1982)이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 이론의 개념에 입각해 제작한 자기 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홍혜영(1995)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우울 수준의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 보면 인지·정서·동기요인에서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시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의 감소의 폭이 큰 반면 통제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생리적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 효능감 증진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효능감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 일반적 요인에서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시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의 증가의 폭이 큰 반면 통제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프로그램 만족도 및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본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우울감소 및 자기 효능감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학교상담 장면에서 고등학생의 우울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을 돕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최근 청소년에게 많이 발생하고 있는 정신건강상의 문제 행동 중 우울성향을 감소하며 이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으로, 또한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되어 개인의 행복을 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학교는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천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고, 전문상담교사는 우울성향을 감소하고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적용과 수정 및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과도기적 발달단계에 있으며, 입시위주의 교육, 복잡한 사회 환경, 사회의 급격한 변화과정에서의 사회적 규범과 가치체계의 불...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과도기적 발달단계에 있으며, 입시위주의 교육, 복잡한 사회 환경, 사회의 급격한 변화과정에서의 사회적 규범과 가치체계의 불안정과 불확실성 등으로 건강한 삶을 위협받고 있는 청소년의 우울 성향 감소 및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학교상담 장면에서 적용하는 것은 청소년 개인의 현재 상황에서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이후의 사회에서의 건강한 삶과 적응 및 행복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고등학생들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검증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셋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자아 효능감 증진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가설은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우울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 효능감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로 세웠다.
      본 연구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1개 고등학교 2학년 5개반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검사와 우울성향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우울성향이 높은 학생 30%(34점 이상)와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 30%(61점 이하)를 절단점으로 하여 이들 중 두 가지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학생들 31명을 선발하였다. 이들 중 집단 상담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24명을 선정하여 12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의 우울성향의 평균은 31.4점(SD = .58)이고,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71.46(SD = .9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최근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박민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조사, 분석, 설계, 구안 및 적용의 과정을 거쳤으며,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한 후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김순업, 2005; 송지영, 2004; 우애령, 1994), 우울감소 집단상담 프로그램(강둘선, 2008; 전은영, 2009; 정영남, 1999), 자기효능감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강복선, 2005; 추영미, 2005)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2009년 8월 19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9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1주에 2회씩 자기주도 학습 시간을 활용하여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처치를 하지 않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도구는 우울성향 측정에 Beck이 제작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를 한흥무 등(1986)이 번안하여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 효능감 측정을 위해서는 Shere 등(1982)이 Bandura(1977)의 자기 효능감 이론의 개념에 입각해 제작한 자기 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 SES)를 홍혜영(1995)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우울 수준의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 보면 인지·정서·동기요인에서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시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의 감소의 폭이 큰 반면 통제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생리적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 효능감 증진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효능감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 일반적 요인에서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시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의 증가의 폭이 큰 반면 통제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집단원의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프로그램 만족도 및 상담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본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우울감소 및 자기 효능감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학교상담 장면에서 고등학생의 우울감소와 자기 효능감 증진을 돕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최근 청소년에게 많이 발생하고 있는 정신건강상의 문제 행동 중 우울성향을 감소하며 이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으로, 또한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되어 개인의 행복을 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학교는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천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고, 전문상담교사는 우울성향을 감소하고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적용과 수정 및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adolescent is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undergoing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growth spurt, and they are threatened b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of social norms and the value system caused by cramming education, complex social environment, and radical changes in social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related group counseling program be implemented in the school counseling session to reduce their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e self-efficacy. In the long run, this program is expected for the adolescents to regain healthy and happy life not only in current situation but also in their future society after adolescen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low level of self efficacy, and to examine how this program can help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depressive symptoms and self 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or the present study; First, how to develop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self-efficacy? Second, what kinds of effects this program has on depressive symptoms in high school students? Third, what kinds of effects this program has on self-efficacy impro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hypotheses of these problems above a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depressing level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Secon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 efficacy level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The study for self efficacy and dep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t a high school in Goyang-si, Gyeonggi-do with the 174 participants who are in 2ndgrade from 5 different classes. Initially 31 students who met all the following criteria were selected: 1) top 30% scores on high depression level (more than 34 points) 2) top 30% scores on low self efficacy (more than 61 points). Finally, total 24 studen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Then, these 24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12 students each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ir average score of the depression tendency was 31.4 points (SD = .58) and their average score of the self efficacy was 71.46 points (SD = . 98).
      As a reference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Model of Systematic Consulting Program Development by Park, Min-Woo(1995) was amended and supplemented, and this revised program was verified by survey,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procedure. In addition, several resources were referred to be used in the program as follows;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Reality Therapy developed by Woo, Ae-Ryeong (1994), Jung, Young-Nam(1999), Song, Ji-Young (2004), Gang, Dul-Sun(2005),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by Gang, Dul-Sun(2008), Jeon, Un-Young(2009),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elf-Efficacy developed by Gang, Bok-Sun (2005), Choo, Young-Mi (2005).
      For hypothesis testing,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dur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ime twice a week from Sep 1stto Oct. 1st after conducting pre-test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Aug. 19th. 2009. A post-test was also administered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no program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s a pre-and a post test tool for measuring depression, Korean version of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developed by Beck was revised and its scale was modified by Han, Hueng Moo in a Korean standard. For the test tool for measuring self-efficacy, Hong, Hye-young’s amended SES (Self-Efficacy Scale designed by Sphere, 1982)questionnaire was referred based on the concept of Self-Efficacy Theory developed by Bandura (1977).
      For data processing, ‘Mixed ANOVA from SPSS/Windows 12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and the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s by session and counselor observation was also indica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in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depressing level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harp reduction in sub-categorie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 factor through changes from pre- to post-tes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hysiological factor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indic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on self-efficacy level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sub-category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under the general facto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 to post-tes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c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factor and the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the social factor.
      Third, from the result of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 by session, satisfactory level of the program and counselor's observatio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pressive symptoms and self efficacy were obtained.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designed to lower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increase self-efficacy level.
      Thus, this program can be utilized in the school counseling curriculum as an important documentation, aiding adolescents who have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low level of self-efficacy.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pursue on the individual's happiness through this program by lowering and preventing depressive symptom, which is one of the most frequent mental health problems during adolescence, as well as enhancing self efficacy level. For the school, it is recommended to create appropriate environmental condition to conduct a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mental health. Also, school counselors should make an effort to continue to implement, modify and develop counseling programs, which appear effective both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ing self-efficacy.
      번역하기

      An adolescent is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undergoing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growth spurt, and they are threatened b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of social norms and the value system caused by cramming education, complex social...

      An adolescent is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undergoing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growth spurt, and they are threatened b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of social norms and the value system caused by cramming education, complex social environment, and radical changes in social struc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related group counseling program be implemented in the school counseling session to reduce their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e self-efficacy. In the long run, this program is expected for the adolescents to regain healthy and happy life not only in current situation but also in their future society after adolescen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low level of self efficacy, and to examine how this program can help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depressive symptoms and self 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or the present study; First, how to develop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self-efficacy? Second, what kinds of effects this program has on depressive symptoms in high school students? Third, what kinds of effects this program has on self-efficacy impro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hypotheses of these problems above a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depressing level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Secon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 efficacy level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the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The study for self efficacy and dep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t a high school in Goyang-si, Gyeonggi-do with the 174 participants who are in 2ndgrade from 5 different classes. Initially 31 students who met all the following criteria were selected: 1) top 30% scores on high depression level (more than 34 points) 2) top 30% scores on low self efficacy (more than 61 points). Finally, total 24 studen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Then, these 24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12 students each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ir average score of the depression tendency was 31.4 points (SD = .58) and their average score of the self efficacy was 71.46 points (SD = . 98).
      As a reference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Model of Systematic Consulting Program Development by Park, Min-Woo(1995) was amended and supplemented, and this revised program was verified by survey,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procedure. In addition, several resources were referred to be used in the program as follows;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Reality Therapy developed by Woo, Ae-Ryeong (1994), Jung, Young-Nam(1999), Song, Ji-Young (2004), Gang, Dul-Sun(2005),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by Gang, Dul-Sun(2008), Jeon, Un-Young(2009),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elf-Efficacy developed by Gang, Bok-Sun (2005), Choo, Young-Mi (2005).
      For hypothesis testing,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dur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ime twice a week from Sep 1stto Oct. 1st after conducting pre-test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Aug. 19th. 2009. A post-test was also administered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no program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s a pre-and a post test tool for measuring depression, Korean version of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developed by Beck was revised and its scale was modified by Han, Hueng Moo in a Korean standard. For the test tool for measuring self-efficacy, Hong, Hye-young’s amended SES (Self-Efficacy Scale designed by Sphere, 1982)questionnaire was referred based on the concept of Self-Efficacy Theory developed by Bandura (1977).
      For data processing, ‘Mixed ANOVA from SPSS/Windows 12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and the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s by session and counselor observation was also indica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in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depressing level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harp reduction in sub-categorie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 factor through changes from pre- to post-tes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hysiological factor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indic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on self-efficacy level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sub-category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under the general facto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 to post-tes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c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factor and the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the social factor.
      Third, from the result of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 by session, satisfactory level of the program and counselor's observatio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pressive symptoms and self efficacy were obtained.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reality therapy designed to lower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increase self-efficacy level.
      Thus, this program can be utilized in the school counseling curriculum as an important documentation, aiding adolescents who have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low level of self-efficacy.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pursue on the individual's happiness through this program by lowering and preventing depressive symptom, which is one of the most frequent mental health problems during adolescence, as well as enhancing self efficacy level. For the school, it is recommended to create appropriate environmental condition to conduct a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mental health. Also, school counselors should make an effort to continue to implement, modify and develop counseling programs, which appear effective both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ing self-effic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청소년의 우울 7
      • 2.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14
      • 3.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 27
      • Ⅲ. 연구 방법 37
      • 1. 연구대상 37
      • 2. 실험설계 37
      • 3. 검사도구 38
      • 4. 연구절차 40
      • 5. 자료처리 및 분석 43
      • Ⅳ. 프로그램 구안 45
      • 1. 프로그램 구안 방향 45
      • 2. 프로그램의 구안 과정 46
      • 3. 최종 프로그램 70
      • Ⅴ. 프로그램의 효과 79
      • 1. 가설검증 79
      • 2. 내용 분석 86
      • Ⅵ. 논의 및 결론 92
      • 1. 요약 92
      • 2. 논의 94
      • 3. 결론 97
      • 4. 시사점 98
      • 5. 제언 98
      • 참고문헌 100
      • ABSTRACT 115
      • 부록 1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