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합동과 대칭 단원의 수학 과제에 다이어그램이 어떻게 접목되어 있는지, 그리고 수학적 추측 생성을 지원하는데 적절한지 확인하 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9461
박진형 (경인교육대학교)
2021
Korean
다이어그램 ; 다이어그램적 추론 ; 합동 ; 대칭 ; 선대칭도형 ; 점대칭도형 ; diagram ; diagrammatic reasoning ; congruence ; symmetry ; line symmetry ; point symmetry
KCI등재
학술저널
203-232(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합동과 대칭 단원의 수학 과제에 다이어그램이 어떻게 접목되어 있는지, 그리고 수학적 추측 생성을 지원하는데 적절한지 확인하 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합동과 대칭 단원의 수학 과제에 다이어그램이 어떻게 접목되어 있는지, 그리고 수학적 추측 생성을 지원하는데 적절한지 확인하 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다이어그램 생성 과제는 주로 대칭을 다루는 차 시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수학적 추측 생성보다는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을 그 리는 성취기준과 관련되었다. 또한, 다이어그램 실험은 모눈을 이용하여 도형 내의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비교하거나 자와 각도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합동을 다루는 과제에서는 주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 도형의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비교하는 데 초점을 둔 반면, 선대칭도형과 점대 칭도형을 다루는 과제에서는 주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도형에 대칭축이나 대칭 의 중심 및 기타 보조선을 나타내게 하고, 본래 도형의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에 더하여 이와 같은 보조선들과 함께 추가로 생성되는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함 께 비교하는 데 초점을 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on diagrammatic reasoning relat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adopted Peircean semiotic perspective to analyze mathematical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specifically analyzed mathematical tasks desi...
This study analyzes on diagrammatic reasoning relat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adopted Peircean semiotic perspective to analyze mathematical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We specifically analyzed mathematical tasks designed to support students’ inquiries into congruence and symmetry. As a result, we found that diagram construction tasks were mainly found in symmetry chapters, and these tasks were related to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rather than conjecturing. We found that diagram experimenting tasks were categorized into tasks of comparing edges and angles in grids and tasks of measuring lengths of edges and sizes of angles using ruler and protractor. We also identified several differences of diagrammatic reasoning related tasks between congruence chapters and symmetry chapt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정호,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2 강문봉,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 귀납적 방법 대 문제해결식 방법 -" 대한수학교육학회 25 (25): 461-472, 2015
3 김현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사각형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11 (11): 141-159, 2008
4 임재훈,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문장제 해결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에 대한 초기 관념과 수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2 (22): 161-181, 2018
5 박진형,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과제 변형 사례 연구: 도형 과제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8 (28): 301-320, 2018
6 박진형, "초등 영재학생들의 원순열 과제 해결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1 (21): 365-389, 2017
7 박진형, "초등 수학 4학년 교과서의 추측하기 과제 분석: 사각형의 정의와 성질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7 (27): 491-510, 2017
8 방정숙, "수학 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최근 5년 동안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249-265, 2017
9 교육부, "수학 5-2" 천재교육 2019
10 교육과학기술부, "수학 5-2" 두산동아 2011
1 우정호,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2 강문봉,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 귀납적 방법 대 문제해결식 방법 -" 대한수학교육학회 25 (25): 461-472, 2015
3 김현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사각형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11 (11): 141-159, 2008
4 임재훈,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문장제 해결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에 대한 초기 관념과 수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2 (22): 161-181, 2018
5 박진형,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과제 변형 사례 연구: 도형 과제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8 (28): 301-320, 2018
6 박진형, "초등 영재학생들의 원순열 과제 해결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1 (21): 365-389, 2017
7 박진형, "초등 수학 4학년 교과서의 추측하기 과제 분석: 사각형의 정의와 성질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7 (27): 491-510, 2017
8 방정숙, "수학 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최근 5년 동안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249-265, 2017
9 교육부, "수학 5-2" 천재교육 2019
10 교육과학기술부, "수학 5-2" 두산동아 2011
11 교육부, "수학 5-2" 천재교육 2015
12 교육과학기술부, "수학 5-1" 두산동아 2011
13 노영아, "도형 영역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1 (11): 199-216, 2007
14 강문봉, "귀납적인 교수 방법의 재고" 5 (5): 65-72, 1995
15 Diezmann, C. M., "role of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NCTM 77-89, 2001
16 Arcavi, A.,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52 : 215-241, 2003
17 Stake, R.,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 1995
18 Giardino, V., "Springer handbook of model-based science" Springer 499-522, 2017
19 Manalo, E.,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use of diagrams during note taking versus explanation" 39 (39): 118-123, 2013
20 Stein, M. K.,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 From research to practice" 3 (3): 268-275, 1998
21 Park, J., "Mathematical modelling as a facilitator to conceptualization of the derivative and the integral in a spreadsheet environment" 32 : 123-139, 2013
22 Otte, M., "Mathematical epistemology from a Peircean semiotic point of view" 61 : 11-38, 2006
23 Hoffmann, M. H. G., "How to get it. Diagrammatic reasoning as a tool of knowledge development and its pragmatic dimension" 9 : 285-305, 2004
24 Park, J., "How can students generalize examples? Focusing on the generalizing geometric properties" 13 (13): 3771-3800, 2017
25 Park, J. H., "How can mathematical modeling facilitate mathematical inquiries? Focusing on the abductive nature of modeling" 14 (14): 1-9, 2018
26 Diezmann, C. M., "Enhancing students’ problem solving through diagram use" 7 (7): 4-8, 2002
27 Reid, D. A., "Conjectures and refutations in grade 5 mathematics" 33 (33): 5-29, 2002
28 Peirce, C. S. (C.P.),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8
29 Hoffmann, M. H. G., "Activity and sign - Grounding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45-56, 2005
30 교육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1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3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을 그리는 과제 수행에서 보여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공간 추론 양상
한국, 미국, 싱가포르 초등 수학 교과서의 시각적 모델 비교 분석 - 곱셈과 나눗셈을 중심으로 -
초등수학에서 자연수와 분수 곱셈의 넓이모델에 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9 | 1.328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