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율 설명 표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94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율 설명 표현을, 비율 정의에 사용된 언어적 표현, 기준량을 1로 볼 때에 해당하는 표현, (기준량)/(비교하는 양) 이라는 분수 표현, (비교 하는 양)÷(기준량)이라는 나눗셈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초등 교과서에 서 비율을 내포적으로 정의하는 데 사용된 언어적 표현에는 부적절한 면이 있지만, 비율 정의는 내적비율과 외적비율을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라는 문제 안에서 고려 될 이슈이다. 7차 교과서에서 사용방식이 바뀌고 07 개정 교과서 이후 삭제된 기준 량을 1로 볼 때라는 표현을 부활시켜 비율 설명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 3차 교과서 이후 사용되어 온 (기준량)/(비교하는 양) 이라는 비율의 분수 표현은 사용하지 않거나 제한적 으로 사용해야 한다. (비교하는 양)÷(기준량)이라는 비율의 나눗셈 표현은 비율의 분수 표현이 지닌 문제점을 지니고 있지 않다. 비율의 나눗셈 표현을 다시 사용한 09 개정 교과서와 15 개정 교과서는 나눗셈 비교를 부각하기 위해 비례적인 복수 상황을 사용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재고할 점이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율 설명 표현을, 비율 정의에 사용된 언어적 표현, 기준량을 1로 볼 때에 해당하는 표현, (기준량)/(비교하는 양) 이라는 분수 표현, (비교 하는 양)÷(기준...

      이 논문에서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율 설명 표현을, 비율 정의에 사용된 언어적 표현, 기준량을 1로 볼 때에 해당하는 표현, (기준량)/(비교하는 양) 이라는 분수 표현, (비교 하는 양)÷(기준량)이라는 나눗셈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초등 교과서에 서 비율을 내포적으로 정의하는 데 사용된 언어적 표현에는 부적절한 면이 있지만, 비율 정의는 내적비율과 외적비율을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라는 문제 안에서 고려 될 이슈이다. 7차 교과서에서 사용방식이 바뀌고 07 개정 교과서 이후 삭제된 기준 량을 1로 볼 때라는 표현을 부활시켜 비율 설명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 3차 교과서 이후 사용되어 온 (기준량)/(비교하는 양) 이라는 비율의 분수 표현은 사용하지 않거나 제한적 으로 사용해야 한다. (비교하는 양)÷(기준량)이라는 비율의 나눗셈 표현은 비율의 분수 표현이 지닌 문제점을 지니고 있지 않다. 비율의 나눗셈 표현을 다시 사용한 09 개정 교과서와 15 개정 교과서는 나눗셈 비교를 부각하기 위해 비례적인 복수 상황을 사용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재고할 점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linguistic or mathematical expressions to explain the concept of rate (value of ratio)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way that a linguistic expression“when we see the base quantity as 1”is used, the use of fraction form of rate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and division form of rate (compared quantity)÷(base quantity). Issues were brought out from the analysis and discussed. Linguistic expression“when we see the base quantity as 1”has disappeared since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expression should be reused because it may help to understand what rate means. Fraction form of rate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has been used ever since the 3rd national curriculum. However,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is a problematic expression. It may mislead us into emphasizing fractions too much over decimals in teaching and learning rate. Division form of rate (compared quantity)÷(base quantity) was not used for a long time, from the 4th curriculum to 2007 revised curriculum. It is proper to use division form of rate because it fits well with the meaning of rate and is not problematic unlike fractional form of rat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using proportional situations to highlight division comparison when introducing ratio and rate is appropriat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linguistic or mathematical expressions to explain the concept of rate (value of ratio)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way that a linguistic expression“when we see the base quantity as 1”is used, the...

      This study analyzed linguistic or mathematical expressions to explain the concept of rate (value of ratio)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way that a linguistic expression“when we see the base quantity as 1”is used, the use of fraction form of rate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and division form of rate (compared quantity)÷(base quantity). Issues were brought out from the analysis and discussed. Linguistic expression“when we see the base quantity as 1”has disappeared since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expression should be reused because it may help to understand what rate means. Fraction form of rate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has been used ever since the 3rd national curriculum. However, (base quantity)/(compared quantity) is a problematic expression. It may mislead us into emphasizing fractions too much over decimals in teaching and learning rate. Division form of rate (compared quantity)÷(base quantity) was not used for a long time, from the 4th curriculum to 2007 revised curriculum. It is proper to use division form of rate because it fits well with the meaning of rate and is not problematic unlike fractional form of rat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using proportional situations to highlight division comparison when introducing ratio and rate is appropri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비율 관련 우리나라 교과서 분석 선행 연구
      • Ⅲ. 연구 방법
      • 1. 분석 대상
      • 요약
      • Ⅰ. 서론
      • Ⅱ. 비율 관련 우리나라 교과서 분석 선행 연구
      • Ⅲ. 연구 방법
      • 1. 분석 대상
      • 2. 분석 방법
      • Ⅳ.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율 설명 표현
      • 1. 교과서 분석
      • 2. 이슈의 추출
      • Ⅴ. 논의
      • 1. 비율의 정의
      • 2. 기준량을 1로 볼 때라는 표현의 사용
      • 3. (기준량)/(비교하는 양) 이라는 비율의 분수 표현의 사용
      • 4. (비교하는 양)÷(기준량)이라는 비율의 나눗셈 표현의 사용
      • 5. 비와 비율 도입에서 비례적인 복수 상황의 사용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혜원,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의 값과 비율 개념의 구별에 대한 논의" 대한수학교육학회 4 (4): 7-640, 2002

      2 홍갑주, "초등학교 2007 개정 교과서 비와 비율 관련 용어에 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23 (23): 285-295, 2013

      3 김수미,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경문사 2017

      4 박선영, "초등 수학 교과서 비와 비율 단원의 모델 비교 분석 -비례에 대한 곱셈적 사고 및 비례 상황의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1 (21): 237-260, 2018

      5 이정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율의 정의 비교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9 (19): 485-499, 2015

      6 박교식,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비율 정의와 비의 값 정의의 비판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0 (20): 397-411, 2010

      7 김수미, "수학용어에 대한 논쟁을 통해 본 비(比)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관점차" 대한수학교육학회 25 (25): 431-448, 2015

      8 교육인적자원부, "수학 6-가" 천재교육 2006

      9 교육부, "수학 6-1" 천재교육 2019

      10 교육부, "수학 6-1" 천재교육 2015

      1 장혜원,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의 값과 비율 개념의 구별에 대한 논의" 대한수학교육학회 4 (4): 7-640, 2002

      2 홍갑주, "초등학교 2007 개정 교과서 비와 비율 관련 용어에 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23 (23): 285-295, 2013

      3 김수미,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경문사 2017

      4 박선영, "초등 수학 교과서 비와 비율 단원의 모델 비교 분석 -비례에 대한 곱셈적 사고 및 비례 상황의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1 (21): 237-260, 2018

      5 이정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율의 정의 비교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9 (19): 485-499, 2015

      6 박교식,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비율 정의와 비의 값 정의의 비판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0 (20): 397-411, 2010

      7 김수미, "수학용어에 대한 논쟁을 통해 본 비(比)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관점차" 대한수학교육학회 25 (25): 431-448, 2015

      8 교육인적자원부, "수학 6-가" 천재교육 2006

      9 교육부, "수학 6-1" 천재교육 2019

      10 교육부, "수학 6-1" 천재교육 2015

      11 교육부, "수학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7

      12 교육과학기술부, "수학 5-2" 두산동아 2011

      13 교육부, "수학 3-1 지도서" 천재교육 2018

      14 임재훈, "상황, 단위, 의미의 관점에서 비 개념 도입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4 (24): 299-321, 2020

      15 문교부, "산수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62

      16 문교부,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67

      17 문교부,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60

      18 문교부, "산수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90

      19 문교부, "산수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74

      20 문교부, "산수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3

      21 문교부,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65

      22 문교부,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73

      23 임재훈, "비의 값과 비율 용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9 (19): 371-386, 2015

      24 장혜원, "비와 비율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1 (21): 135-160, 2017

      25 강향임,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결을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 대한수학교육학회 17 (17): 613-632, 2015

      26 박희옥, "비와 비율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장애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15 (15): 159-170, 2012

      27 김수현,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연구 -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309-333, 2008

      28 박슬아,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1 (21): 215-241, 2017

      29 임재훈, "비례식 a:b=c:d의 의미 분석과 학습 지도에의 시사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3 (23): 273-288, 2019

      30 정은실,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247-265, 2003

      31 교육부, "교사용 지도서 수학 6-1" 천재교육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32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