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년범의 인생 목적과 비행(delinquency)의 관계에서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의 이중매개효과 =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Purpose and delinquency of Juvenile Offen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6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생 목적과 비행(delinquency)의 관계에서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B시 소재 경찰서에 소년범으로 입건된 남·여 청소년 93명을 대상으로, 인생 목적, 외현화 문제, 음주문제, 목표불안정성, 자기조절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무성의하게 응답한 8부를 제외한 8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8)가 제안한 PROCESS macro for SPSS의 Model 6 모형을 활용하여 경로를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생 목적이 외현화 문제에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현화 문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생 목적의 부재가 목표불안정성을 높이고 자기조절력을 감소시켜 외현화 문제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인생 목적이 음주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지 않고 목표불안정성의 간접 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청소년 비행문제와 관련하여 인생 목적, 인생목표, 자기조절 변인을 독립적으로 다루어 왔으나 직접적인 경로탐색이 제한적이었던 점을 고려하여 인생 목적과 비행 문제에 있어 인생목표와 자기조절의 역할을 직접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와 음주문제에 인생 목적과 목표불안정성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존하는 비행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인생 목적을 명료화하고 목표의 내용이나 개수와는 무관하게 어떤 목표이든 안정적으로 동기 부여될 수 있는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인의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인생 목적과 비행(delinquency)의 관계에서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B시 소재 경찰서에 소년범으로 입건된 남·여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생 목적과 비행(delinquency)의 관계에서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B시 소재 경찰서에 소년범으로 입건된 남·여 청소년 93명을 대상으로, 인생 목적, 외현화 문제, 음주문제, 목표불안정성, 자기조절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무성의하게 응답한 8부를 제외한 8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8)가 제안한 PROCESS macro for SPSS의 Model 6 모형을 활용하여 경로를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생 목적이 외현화 문제에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현화 문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생 목적의 부재가 목표불안정성을 높이고 자기조절력을 감소시켜 외현화 문제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인생 목적이 음주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불안정성과 자기조절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지 않고 목표불안정성의 간접 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청소년 비행문제와 관련하여 인생 목적, 인생목표, 자기조절 변인을 독립적으로 다루어 왔으나 직접적인 경로탐색이 제한적이었던 점을 고려하여 인생 목적과 비행 문제에 있어 인생목표와 자기조절의 역할을 직접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와 음주문제에 인생 목적과 목표불안정성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존하는 비행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인생 목적을 명료화하고 목표의 내용이나 개수와는 무관하게 어떤 목표이든 안정적으로 동기 부여될 수 있는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인의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purpose and delinquency. To this end, 93 male and female teenagers investigated as juvenile offenders at the B-city police station were questioned on life purpose, externalization, drinking problem,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and 85 questionnaires were used, excluding 8 that responded insincere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path using the Model 6 of PROCESS macro for SPSS proposed by Hayes (2018).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purpose of life indirectly influences the problem of externalization by sequentially mediating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on the problem of externalization. This means that the absence of a life purpose can increase the problem of externalization by increasing goal instability and reducing self-regulation. Next, although the purpose of life directly affected the drinking problem, only the indirect effect of goal inst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out sequentially mediating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rectly explored the role of life goals and self-regulation in life purpose and delinquency, considering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independently dealt with life purpose, life goals, and self-regulation variables in relation to youth delinquency.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life purpose and goal instability have a common influence on adolescents' externalization and drinking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purpose of life and establish goals that can be stably motivated regardless of the content or number of goals, thereby improving individual self-regul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purpose and delinquency. To this end, 93 male and female teenagers investigated as juvenile offenders at the B-city 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purpose and delinquency. To this end, 93 male and female teenagers investigated as juvenile offenders at the B-city police station were questioned on life purpose, externalization, drinking problem,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and 85 questionnaires were used, excluding 8 that responded insincere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path using the Model 6 of PROCESS macro for SPSS proposed by Hayes (2018).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purpose of life indirectly influences the problem of externalization by sequentially mediating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on the problem of externalization. This means that the absence of a life purpose can increase the problem of externalization by increasing goal instability and reducing self-regulation. Next, although the purpose of life directly affected the drinking problem, only the indirect effect of goal inst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out sequentially mediating goal instability and self-regul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rectly explored the role of life goals and self-regulation in life purpose and delinquency, considering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independently dealt with life purpose, life goals, and self-regulation variables in relation to youth delinquency.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life purpose and goal instability have a common influence on adolescents' externalization and drinking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purpose of life and establish goals that can be stably motivated regardless of the content or number of goals, thereby improving individual self-regul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자, "현실요법(Y.Q.M.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2 김택호 ; 김재환,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465-490, 2004

      3 정미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의미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 김미경, "청소년의 아동기 피학대경험, 자살노출 및 자살보도노출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목표불안정성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하영진, "청소년의 비행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 21 7 (7): 195-210, 2016

      6 이수정, "청소년의 비행실태와 원인에 대한 이해" 경기대학교 학생생활 종합센터 (20) : 39-81, 2005

      7 원상숙,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부적응 : 자아정체감,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4

      8 현다경, "청소년의 가정환경, 친구관계, 교육환경 및 지역사회환경이 비행행동에미치는 영향 : 자아인식 및 정서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2017

      9 김원경, "청소년 음주행동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한국여성심리학회 19 (19): 191-210, 2014

      10 노언경 ; 정송 ; 홍세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청소년 비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211-240, 2014

      1 김현자, "현실요법(Y.Q.M.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2 김택호 ; 김재환,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465-490, 2004

      3 정미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의미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 김미경, "청소년의 아동기 피학대경험, 자살노출 및 자살보도노출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목표불안정성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하영진, "청소년의 비행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 21 7 (7): 195-210, 2016

      6 이수정, "청소년의 비행실태와 원인에 대한 이해" 경기대학교 학생생활 종합센터 (20) : 39-81, 2005

      7 원상숙,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부적응 : 자아정체감,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4

      8 현다경, "청소년의 가정환경, 친구관계, 교육환경 및 지역사회환경이 비행행동에미치는 영향 : 자아인식 및 정서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2017

      9 김원경, "청소년 음주행동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한국여성심리학회 19 (19): 191-210, 2014

      10 노언경 ; 정송 ; 홍세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청소년 비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211-240, 2014

      11 문병욱 ; 신동준, "일반긴장이론을 통한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의 비행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33-60, 2008

      12 김찬희, "의미치료의 이론에 따른 삶의 목적 수준과 부적응과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13 김자경, "의미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우울, 삶의 목적 및 비행충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2006 (2006): 586-587, 2006

      14 정순이, "의미치료 집단상담이 결손가정 고등학생들의 삶의 목적수준 및 책임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5 남명희 ; 박응임, "의미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삶의 목적수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38 (38): 5-15, 2017

      16 김인선, "알코올 중독자의 삶의 목적의식과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6 (6): 37-43, 2002

      17 원성두,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위한 목표중심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아주대학교 2016

      18 조한나, "시간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생애목표, 목표불안정성의 매개효과및 시간관 프로파일별 특성" 경북대학교 2015

      19 김여경, "소년범죄 사법처리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6

      20 박상규, "선도조건부기소유예지도위원의 청소년 멘토링 참여 실태 분석" 명지대학교 2016

      21 강혜자, "비행청소년의 비행촉발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53 : 221-239, 2011

      22 김민주,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목표 불안정성 및 생애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23 김준호 ; 정혜원, "부모애착과 비행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 성별간 다집단분석"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 (20): 125-148, 2009

      24 박지선 ; 이영섭, "범죄를 계획하는 소년범들의배경 및 범행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26 (26): 157-181, 2016

      25 원성두 ; 김수룡, "목표중심 자기조절이 알코올 사용 문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6 (36): 291-300, 2017

      26 원성두 ; 오송인 ; 박선희 ; 이민규, "목표중심 자기조절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785-802, 2015

      27 이종호, "로고테라피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삶의 목적수준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2015

      28 이원재, "대학생 알코올의존의 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67-86, 2004

      29 이은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에서 목표불안정성과 문제해결양식의 역할"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397-413, 2008

      30 Kuhl, J., "Volitional facilitation of difficult intentions : Joint activation of intention memory and positive affect removes stroop interference" 128 (128): 382-399, 1999

      31 Kuhl, J., "The volitional basis of personality systems interaction theory : Applications in learning and treatment contexts" 33 (33): 665-703, 2000

      32 Diaz, R. M., "The social origins of self-regulation. Vygotsky and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 127-154, 1990

      33 Li, Y., "The role of school engagement in preventing adolescent delinquency and substance use : A survival analysis" 34 (34): 1181-1192, 2011

      34 Button, T. M., "The role of conduct disorder in explaining the comorbidity between alcohol and illicit drug dependence in adolescence" 87 (87): 46-53, 2007

      35 Latham, G. P., "Self-regulation through goal setting" 50 (50): 212-247, 1991

      36 Van Tongeren, D. R., "Self-regulation facilitates meaning in life" 22 (22): 95-106, 2018

      37 Schmeichel, B. J., "Self-affirmation and self-control : Affirming core values counteracts ego depletion" 96 (96): 770-782, 2009

      38 de Vries, L. A., "Practitioner review : Effective ingredients of prevention programs for youth at risk of persistent juvenile delinquency :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56 (56): 08-121, 2015

      39 Fitzpatrick, E., "Personal goals of adolescents in a youth offending service in the united kingdom" 15 (15): 166-181, 2015

      40 Carver, C. S., "On the self-regulation of behavi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1 Hayes, A. F., "Mediation and the estimation of indirect effects in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Sourcebook for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Measures, and Analytical Techniques" Routledge 2011

      42 白愛德, "Logotherapy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여고생의 실존적공허 극복과 자아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43 May, J., "Juvenile delinquency treatment and prevention : A literature review" 85 : 295-301, 2014

      44 Hayes, Andrew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perspective" Guilford publications 2018

      45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46 Locke, E. A.,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90 (90): 125-152, 1981

      47 Austin, J. T., "Goal constructs in psychology: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 120 (120): 338-375, 1996

      48 Dawkins, M. P., "Drug use and violent crime among adolescents" 32 (32): 395-405, 1997

      49 Brook, J. S., "Drug use and delinquency : Shared and unshared risk factors in african american and puerto rican adolescents" 158 (158): 25-39, 1997

      50 Kuhl, J., "Decomposing self-regulation and self-control: The volitional components inven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1 Locke, E. A., "Building a practically useful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motivation : A 35-year odyssey" 57 (57): 705-717, 2002

      52 Kuhl, J., "Action versus state orientati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tion control scale (ACS-90)" 47 (47): 1994

      53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95): 256-273, 1988

      54 Iselin, A. R.,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serious adolescent offenders’ perceptions of chances for success and engagement in behaviors accomplishing goals" 40 : 237-249,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