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어과 교과서 수록 풍자소설 분석과 교육적 의의 : 채만식의 풍자소설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1095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동국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8. 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813.607 판사항(EDC)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Study of Satirical Novel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Korean Textbooks: Focusing on Satirical Novels of Chae Man-sik

      • 형태사항

        143 p.: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동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고재석
        서지적 각주 및 참고문헌(p. 139-141)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채만식 소설의 풍자 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 현행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중등 국어과 교과서 속 채만식 소설 제재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행 중등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채만식 소설 제재는 「태평천하」,「탁류」,「치숙」,「미스터 방」네 편의 제재만이 수록되어 있는 연유로 위의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풍자의 성격과 풍자 소설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채만식 소설 제재의 중등 교과서 수록 양상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학습 활동 구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Ⅲ장과 Ⅳ장에서는 본문·학습 활동의 학습 목표와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의 연관성 및 적합성을 중점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Ⅴ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고 채만식 소설 제재의 올바른 교과서 구현을 제언 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채만식 소설의 풍자 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 현행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중등 국어과 교과서 속 채만식 소설 제재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행 중등 ...

      본 연구는 채만식 소설의 풍자 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 현행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중등 국어과 교과서 속 채만식 소설 제재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행 중등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채만식 소설 제재는 「태평천하」,「탁류」,「치숙」,「미스터 방」네 편의 제재만이 수록되어 있는 연유로 위의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풍자의 성격과 풍자 소설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채만식 소설 제재의 중등 교과서 수록 양상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학습 활동 구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Ⅲ장과 Ⅳ장에서는 본문·학습 활동의 학습 목표와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의 연관성 및 적합성을 중점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Ⅴ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고 채만식 소설 제재의 올바른 교과서 구현을 제언 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meaning of satire education from Chae Man-shik’s novels and realization of Chae man-shik’s novel topic on the secondary Korean textbook revised in 2009.
      The reason we concentrate upon 「Taepyungchunha」, 「Takryu」, 「Chisook」, 「Mr. Bang」 is that only they are included in existing the secondary Korean textbook.
      In chapter 2, we explor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of satire in Chae-man-shik’s novels, and in chapter 3, after we analyze the aspect of Chae man-shik’s novels included in textbooks, we look at how it is associated with learning activity process.
      Especially, in chapter 3 and 4,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ms of the learning activity and standard of accomp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chapter 5, we summarize our discussions, and suggest realizing based on Chae man-shik’s novel.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meaning of satire education from Chae Man-shik’s novels and realization of Chae man-shik’s novel topic on the secondary Korean textbook revised in 2009. The reason we concentrate upon 「Taepyungchunha」, 「Takryu」, 「Chi...

      This study examines meaning of satire education from Chae Man-shik’s novels and realization of Chae man-shik’s novel topic on the secondary Korean textbook revised in 2009.
      The reason we concentrate upon 「Taepyungchunha」, 「Takryu」, 「Chisook」, 「Mr. Bang」 is that only they are included in existing the secondary Korean textbook.
      In chapter 2, we explor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of satire in Chae-man-shik’s novels, and in chapter 3, after we analyze the aspect of Chae man-shik’s novels included in textbooks, we look at how it is associated with learning activity process.
      Especially, in chapter 3 and 4,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ms of the learning activity and standard of accomp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chapter 5, we summarize our discussions, and suggest realizing based on Chae man-shik’s no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 Ⅰ. 서 론 1
      • 목 차
      • 국문초록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3
      • Ⅱ.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풍자 교육의 의미 5
      • 1. 소설 기법으로서 풍자의 개념 5
      • 2.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풍자의 성격 8
      • 3. 풍자 소설의 교육적 가치 11
      • Ⅲ. 채만식 소설의 교과서 수록 양상 13
      • 1. 중학교 교과서 수록 양상 13
      • 1.1 「치숙」의 국어 교과서 제재 13
      • 2. 고등학교 교과서 수록 양상 22
      • 2.1 「태평천하」의 국어Ⅱ, 문학 교과서 제재 24
      • 2.2 「탁류」의 문학 교과서 제재 52
      • 2.3 「치숙」의 문학 교과서 제재 61
      • 2.4 「미스터 방」의 문학 교과서 제재 68
      • Ⅳ. 채만식 소설 작품의 교과서 학습 활동 양상 80
      • 1.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활동 양상 80
      • 1.1 표현방식과 태도 80
      • 2.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활동 양상 94
      • 2.1 한국문학의 전통과 특질 95
      • 2.2 문학의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 110
      • 2.3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와 사회 122
      • Ⅴ. 결론 및 제언 137
      • 참 고 문 헌 139
      • ABSTRACT 1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