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화재피해주민지원제도에 대한 소방공무원 만족도에 대한 연구 = Investigate level of fire-fighters satisfaction about supporting systems for victims of f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2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cept of “Fire” is combustion phenomenon which occurred by intentionally, or chemically explosion phenomenon that put off by fire facilities. Also, “Damaged from Fire” is disaster which damaging people by using “Fire” as catalyst. “Fire” is combustion phenomenon that objects are rapidly oxidate and release high degree of temperature, light, heat and reaction products. But cigarette light’s flame, candlelight’s flame and gas range’s flame are not in the category of “Fire”. “Fire” is a kind of chain reaction oxygen, heat and fuel furthermore “Fire” transforming objects in physically, chemically. So, “Fire” is not changing itself but chemically alternate other objects and it is disaster which occurred by flame. In 2013, fire occurred 40,933 times in Korea. The total sum of damaged property reached to 4,344 billion, 307 were dead and 1,877 were injured by fi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making system that giving benefit to more victims of fire through investigating the level of fire-fighters satisfaction about the support system to them. In order to do this study, I examined fire fighters who are meet victims, victims are losing their property, where fire occurred. They know pros and cons about this support system. Through inquiry, this survey suggests how to improve current support system and reveals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fire fighter’s satisfaction about the system and the impact of the system. I tried to approach this problem with substantiation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uggesting the empirical-positive model for the support system and proposing the system’s appropriacy, accessibility and how to manage the system. Also, this model illuminates importance of new standard of the support system for victims of fire so we can implicate deduction from this.
      번역하기

      The concept of “Fire” is combustion phenomenon which occurred by intentionally, or chemically explosion phenomenon that put off by fire facilities. Also, “Damaged from Fire” is disaster which damaging people by using “Fire” as catalyst. ...

      The concept of “Fire” is combustion phenomenon which occurred by intentionally, or chemically explosion phenomenon that put off by fire facilities. Also, “Damaged from Fire” is disaster which damaging people by using “Fire” as catalyst. “Fire” is combustion phenomenon that objects are rapidly oxidate and release high degree of temperature, light, heat and reaction products. But cigarette light’s flame, candlelight’s flame and gas range’s flame are not in the category of “Fire”. “Fire” is a kind of chain reaction oxygen, heat and fuel furthermore “Fire” transforming objects in physically, chemically. So, “Fire” is not changing itself but chemically alternate other objects and it is disaster which occurred by flame. In 2013, fire occurred 40,933 times in Korea. The total sum of damaged property reached to 4,344 billion, 307 were dead and 1,877 were injured by fi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making system that giving benefit to more victims of fire through investigating the level of fire-fighters satisfaction about the support system to them. In order to do this study, I examined fire fighters who are meet victims, victims are losing their property, where fire occurred. They know pros and cons about this support system. Through inquiry, this survey suggests how to improve current support system and reveals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fire fighter’s satisfaction about the system and the impact of the system. I tried to approach this problem with substantiation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uggesting the empirical-positive model for the support system and proposing the system’s appropriacy, accessibility and how to manage the system. Also, this model illuminates importance of new standard of the support system for victims of fire so we can implicate deduction from th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 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또는 화재란 불을 촉매로 인간에게 피해를 끼치는 재난이라 설명할수 있다. 불이란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여 높은 온도와 빛과 열을 내면서 타는 연소현상으로 화재를 이르는 말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우리는 라이터 불이나 촛불, 가스렌지 불꽃 등을 화재라고 하지 않는다. 불은 연소현상의 일종으로 물질이 타면서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종을 일으키는 작용이다. 결국 불은 자기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다른 물질의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며 불을 이용한 재난발생의 결과가 화재인 것이다.
      우리나라 2013년 전국 화재발생을 살펴보면 40,933건에 재산피해는 4,344억원 발생했으며 사망자 307명, 부상자 1,877명, 화재 발생 주택으로 이재민 발생 새대 1,345세대에 이재민이 2,330명이 발생하였다.
      화재가 발생하면 이로인해 고통을 받는 주민들이 많이 있다. 그래서 고통을 받고있는 화재피해주민들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제도에 대해 소방공무원들이 느끼는 만족도에 대해 연구를 함으로써 앞으로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를 하고자 함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화재피해주민 지원제도에 대한 소방공무원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화재피해주민에게 좀더 많은 혜택을 줄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할 것이며 이럴 위해 현재 화재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방공무원들이 직접 피부로 느끼는 점을 본 연구는 화재피해주민지원제도 개선 방안이 무엇이고 소방관의 화재피해주민지원제도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 및 관계를 갖는가를 실증적 관점에서 접근하려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화재피해주민지원 제도의 적절성, 접근성, 제도의 운영, 정보전달이 만족도에 대한 실증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이러한 모델은 새로운 화재피해주민제도에 대한 새로운 기준에 대한 중요성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번역하기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 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또는 화재란 불을 촉매로 인간에...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 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또는 화재란 불을 촉매로 인간에게 피해를 끼치는 재난이라 설명할수 있다. 불이란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여 높은 온도와 빛과 열을 내면서 타는 연소현상으로 화재를 이르는 말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우리는 라이터 불이나 촛불, 가스렌지 불꽃 등을 화재라고 하지 않는다. 불은 연소현상의 일종으로 물질이 타면서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종을 일으키는 작용이다. 결국 불은 자기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다른 물질의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며 불을 이용한 재난발생의 결과가 화재인 것이다.
      우리나라 2013년 전국 화재발생을 살펴보면 40,933건에 재산피해는 4,344억원 발생했으며 사망자 307명, 부상자 1,877명, 화재 발생 주택으로 이재민 발생 새대 1,345세대에 이재민이 2,330명이 발생하였다.
      화재가 발생하면 이로인해 고통을 받는 주민들이 많이 있다. 그래서 고통을 받고있는 화재피해주민들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제도에 대해 소방공무원들이 느끼는 만족도에 대해 연구를 함으로써 앞으로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를 하고자 함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화재피해주민 지원제도에 대한 소방공무원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화재피해주민에게 좀더 많은 혜택을 줄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할 것이며 이럴 위해 현재 화재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방공무원들이 직접 피부로 느끼는 점을 본 연구는 화재피해주민지원제도 개선 방안이 무엇이고 소방관의 화재피해주민지원제도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 및 관계를 갖는가를 실증적 관점에서 접근하려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화재피해주민지원 제도의 적절성, 접근성, 제도의 운영, 정보전달이 만족도에 대한 실증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이러한 모델은 새로운 화재피해주민제도에 대한 새로운 기준에 대한 중요성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 제 3 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 제 3 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 제 1 절 화재피해주민 지원제도의 이해 7
      • 1. 화재피해주민 지원제도 7
      • 2. 지원분야 및 소관부서 7
      • 3. 공공기관의 화재피해주민 지원제도 운영 현황 8
      • 제 2 절 화재발생동향 21
      • 1. 최근3년간 화재원인별 현황 및 추이 분석 21
      • 2. 최근3년간 화재 사상자 현황 22
      • 제 3 절 현행 화재피해주민 지원제도 운영의 실태 23
      • 1. 소방서 23
      • 2. 시,군,구청 29
      • 3. 대한적십자사 30
      • 4. 푸드뱅크 및 푸드마켓 33
      • 5. 관련법령 34
      • 제 4 절 운영상 특성 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35
      • 1. 기관별 운영 현황 35
      • 1). 소방서의 화재피해주민지원센터 35
      • 2). 보건복지부의 긴급복지지원센터 38
      • 제 5 절 화재피해주민 지원제도 관련 선행연구 41
      • 제 3 장 연구방법론 44
      • 제 1 절 연구모형 44
      • 1. 연구모형 44
      • 제 2 절 연구 가설의 설정 45
      •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자료수집 분석 47
      • 1. 독립변수 47
      • 2. 종속변수 51
      • 제 4 장 분석결과 및 해석 52
      • 제 1 절 응답자 일반적 특성 52
      • 제 2 절 신뢰도 검증 및 상관관계분석 54
      • 제 3 절 제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결과 57
      • 제 4 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차이 검증 59
      • 제 5 장 결 론 70
      • 제 1 절 연구의 시사점 70
      • 제 2 절 연구의 제도적 시사점 72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73
      • 제 4 절 정책제언 74
      • 1. 화재취약대상 의무적 보험가입제도 시행 74
      • 2. 체계적인 법· 제도의 정비 75
      • 참고문헌 77
      • 부 록 79
      • Abstract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