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치료사 역량 훈련 필요성 인식 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8025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2013. 2. 졸업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0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72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수지
        참고문헌: p. 58-61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사 역량 훈련에 대한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훈련 현황과 필요성 인식을 조사하기 위함이며 음악기술영역, 학술 영역, 경험적 훈련 영역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개인의 음악적, 교육적 배경에 따라 훈련 필요성에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훈련 현황과 훈련 필요성이 일치하는지 알아보았다. 국내 5개 음악치료 대학원의 석사학위 재학생 중 인턴학기를 제외한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6부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측정도구의 내적일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AS 9.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음악치료 대학원생들은 모든 훈련 영역에서 높은 필요성을 나타냈다. 훈련 필요성을 높게 인식한 영역은 학술영역(4.01)이었으며, 그 중 대상군의 장애 및 질병에 대한 심화된 이론 습득 훈련(4.53)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음악 기술 영역(4.01)은 기타 훈련(4.29), 경험적 훈련 영역(3.98)은 재학 중 음악치료서비스를 받는 것(4.4)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각 영역의 필요성을 개인적 배경에 따라 비교 한 결과, 학부 음악 전공이 비전공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문항으로는 성악 훈련, 대상군에 대한 심화 이론 습득 훈련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작곡, 피아노, 성악으로 세부 전공 비교 한 결과 다른 전공과 달리, 피아노 전공은 비전공자에 비해 관련 음악기술인 건반 기술에 대해 더 높은 필요성이 나타났다. 실제 훈련 내용을 살펴보면 음악기술에서 기타와 피아노 훈련, 학술영역에서 워크숍 및 특강, 경험적 훈련 영역에서 GIM, MI 훈련들이 조사되었고, 실제 모든 영역 훈련에 대한 높은 필요성 인식에 비하여 훈련 현황 비율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치료사 역량 훈련을 위한 추가 훈련 필요성 및 현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역량에 따른 음악치료사 교육 및 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갖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사 역량 훈련에 대한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훈련 현황과 필요성 인식을 조사하기 위함이며 음악기술영역, 학술 영역, 경험적 훈련 영역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사 역량 훈련에 대한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훈련 현황과 필요성 인식을 조사하기 위함이며 음악기술영역, 학술 영역, 경험적 훈련 영역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개인의 음악적, 교육적 배경에 따라 훈련 필요성에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훈련 현황과 훈련 필요성이 일치하는지 알아보았다. 국내 5개 음악치료 대학원의 석사학위 재학생 중 인턴학기를 제외한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6부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측정도구의 내적일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AS 9.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음악치료 대학원생들은 모든 훈련 영역에서 높은 필요성을 나타냈다. 훈련 필요성을 높게 인식한 영역은 학술영역(4.01)이었으며, 그 중 대상군의 장애 및 질병에 대한 심화된 이론 습득 훈련(4.53)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음악 기술 영역(4.01)은 기타 훈련(4.29), 경험적 훈련 영역(3.98)은 재학 중 음악치료서비스를 받는 것(4.4)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각 영역의 필요성을 개인적 배경에 따라 비교 한 결과, 학부 음악 전공이 비전공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문항으로는 성악 훈련, 대상군에 대한 심화 이론 습득 훈련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작곡, 피아노, 성악으로 세부 전공 비교 한 결과 다른 전공과 달리, 피아노 전공은 비전공자에 비해 관련 음악기술인 건반 기술에 대해 더 높은 필요성이 나타났다. 실제 훈련 내용을 살펴보면 음악기술에서 기타와 피아노 훈련, 학술영역에서 워크숍 및 특강, 경험적 훈련 영역에서 GIM, MI 훈련들이 조사되었고, 실제 모든 영역 훈련에 대한 높은 필요성 인식에 비하여 훈련 현황 비율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치료사 역량 훈련을 위한 추가 훈련 필요성 및 현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역량에 따른 음악치료사 교육 및 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need of additional training, in to the regular music therapy curriculum, for graduat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music therapy. The categories were musical technique area, academic area and experiential training area. Also, we analyzed if individual's musical or educational background would lead the difference in the need of the training and if the current training met the need. The total of 142 graduate student, who were studying music therapy in the South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136 were analyzed by SAS 9.2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χ²(Chi-squa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answered what they needed the most was training on academic area(4.01) such as the knowledge on patients' diseases(4.53); They also replied that they wanted to learn how to play the guitar(4.29) in musical technique area(4.01) and receive music therapy during the school years(4.4) as a part of experiential training(3.98); The students, majored in music in their undergraduate schools, showed their higher needs in every area compared to others.
      Those results provide us that the information on the need of the students' additional training which strengthens students' capability as music therapists. Furthermore, the data show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individual's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need of additional training, in to the regular music therapy curriculum, for graduat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music therapy. The categories were musical technique area, academic area and experiential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need of additional training, in to the regular music therapy curriculum, for graduat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music therapy. The categories were musical technique area, academic area and experiential training area. Also, we analyzed if individual's musical or educational background would lead the difference in the need of the training and if the current training met the need. The total of 142 graduate student, who were studying music therapy in the South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136 were analyzed by SAS 9.2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χ²(Chi-squa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answered what they needed the most was training on academic area(4.01) such as the knowledge on patients' diseases(4.53); They also replied that they wanted to learn how to play the guitar(4.29) in musical technique area(4.01) and receive music therapy during the school years(4.4) as a part of experiential training(3.98); The students, majored in music in their undergraduate schools, showed their higher needs in every area compared to others.
      Those results provide us that the information on the need of the students' additional training which strengthens students' capability as music therapists. Furthermore, the data show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individual's perform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A. 음악치료 교육 과정 및 훈련 6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A. 음악치료 교육 과정 및 훈련 6
      • 1. 음악치료사의 역량 6
      • 2. 음악치료 석사 학위 교육 과정 8
      • 3. 임상 훈련 13
      • B. 음악치료 교육과정 및 훈련에 대한 인식 14
      • 1. 음악치료 석사학위 과정에 대한 인식 14
      • 2. 음악치료 훈련에 대한 인식 16
      • Ⅲ. 연구 방법 20
      • A. 설문 대상 20
      • B. 설문지 구성 및 내용 20
      •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 2. 영역별 훈련 인식도 23
      • 3. 영역별 훈련 현황 25
      • C. 연구 절차 26
      • 1. 예비 조사 26
      • 2. 본 조사 26
      • D. 자료 수집 및 분석 27
      • Ⅳ. 결과 및 논의 28
      • A.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설문지 분석 결과 28
      • 1.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28
      • 2.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개인적 배경 30
      • B. 치료사 역량 훈련 인식도 33
      • 1. 영역별 훈련 인식도 33
      • 2. 학부 음악 전공 여부에 따른 훈련 필요성 비교 36
      • C. 훈련 현황 48
      • 1. 영역별 훈련 현황 48
      • D. 논의 53
      • Ⅴ. 결론 및 제언 56
      • A. 결론 56
      • B. 제언 57
      • 참고문헌 58
      • 부록 62
      • ABSTRACT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