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후정시後庭試에 대한 몇 가지 검토(1) = A Study on the Whojeongsi of the Chos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6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about the WhoJeongSi(後廷試) performed to console the country Elite who was isolated at the JeonSi, one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Choseon Dynasty. At first the intention of the WhoJeong was merely comfort...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about the WhoJeongSi(後廷試) performed to console the country Elite who was isolated at the JeonSi, one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Choseon Dynasty. At first the intention of the WhoJeong was merely comforting the non-passer at the JeongSi, but after 1684 it had been changed to consolate country Elite only.
      With regard WhoJeongSi the King's will was very obstinacy. Sometimes the Urban-Elite failed at the JeonSi applied it and acquired the license to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King have never admitted and always cancellated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시대의 후정시에 관한 몇 몇 내용들을 주목해 보았다. 후정시란 정시를 마친 후에 치르는 시험을 가리키는데, 후정시를 마련한 이유는 정시에서 낙방한 자들을 위로하...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시대의 후정시에 관한 몇 몇 내용들을 주목해 보았다. 후정시란 정시를 마친 후에 치르는 시험을 가리키는데, 후정시를 마련한 이유는 정시에서 낙방한 자들을 위로하자는 데 있었다. 정시는 응시하는 사람의 수에 비해 선발 인원이 크게 부족한 시험으로서 참여자들의 불만이 컸었다. 이에 정시가 끝난 직후에 후정시를 실시함으로써 정시 참여자들의 마음을 달래주고자 하였던 것이다.
      후정시에는 후정시 바로 앞서 실시했던 정시에 응시했던 사람만이 참여할 수가 있었으며, 후정시 성적 우수자에게는 직부전시 자격 또는 가산점이 주었다. 직부전시 자격을 취득하였다는 말은 문과 급제를 보장해 주었다는 의미였다. 그리고 가산점은 다른 문과에 응시할 때 활용할 수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후정시는 정시가 문과로 승격된 이후부터 실시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나 자세한 바는 알 수 없다. 그런데 1684년(숙종10) 이후가 되면 후정시의 성격이 바뀌게 된다. 단순히 정시의 낙방자가 아니라 정시의 응시생 중 외방 유생만을 구제해 주기 위한 시험으로 변경된 것이다. 이에 따라 후정시의 문호 역시 정시 응시생 중 외방 출신에게만 주어졌는데 이러한 방침, 즉 후정시를 외방 유생의 위로책으로 활용하겠다는 생각은 이후 변함이 없이 그대로 지속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練藜室記述"

      2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科擧)" 소명출판 2014

      3 차장섭, "조선후기 문과급제자의 성분" 47 : 1994

      4 차미희, "조선후기 문과급제자의 분관" 6 : 1999

      5 차미희, "조선후기 문과 제도 ―응시자격을 중심으로" 45 : 1996

      6 이원명, "조선후기 근기지역 경화사족 고찰" 67 : 2006

      7 이성무, "조선초기 문과의 응시자격" 국민대학교 9 : 1975

      8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의 운영실태" 55‧56 : 1998

      9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출신 배경" 155 : 1997

      10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초직" 53 : 1997

      1 "練藜室記述"

      2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科擧)" 소명출판 2014

      3 차장섭, "조선후기 문과급제자의 성분" 47 : 1994

      4 차미희, "조선후기 문과급제자의 분관" 6 : 1999

      5 차미희, "조선후기 문과 제도 ―응시자격을 중심으로" 45 : 1996

      6 이원명, "조선후기 근기지역 경화사족 고찰" 67 : 2006

      7 이성무, "조선초기 문과의 응시자격" 국민대학교 9 : 1975

      8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의 운영실태" 55‧56 : 1998

      9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출신 배경" 155 : 1997

      10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초직" 53 : 1997

      11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진출" 7 : 1998

      12 박홍갑,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의 분관과 진출" 50 : 1995

      13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급제자 연구" 일조각 1999

      14 이병걸, "조선중기 문과급제자의 진출" 3 : 1976

      15 차장섭, "조선전기 문과급제자의 성분" 3 : 1994

      16 송준호, "조선시대의 과거와 양반 및 양인 ―문과와 생원 진사를 중심으로 하여" 69 : 1976

      17 원창애, "조선시대의 과거와 벼슬" 집문당 2003

      18 송만오, "조선시대의 江華別試文科에 대한 몇 가지 검토" 인천학연구원 1 (1): 59-92, 2013

      19 송준호, "조선시대 문과백서(상)" 삼우반 2008

      20 이원명,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연구" 국학자료원 2004

      21 차미희, "조선시대 문과 제도연구" 국학자료원 1999

      22 원창애,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의 관직 진출 양상" 조선시대사학회 (43) : 5-50, 2007

      23 송만오, "조선시대 非定期 文科의 운영에 관한 몇 가지 검토(Ⅰ) - 別試, 庭試, 謁聖試의 내용을 중심으로 -" 서울역사편찬원 (82) : 53-96, 2012

      24 박현순, "영조대의 文科 개혁 논의와 새로운 제도의 도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1) : 1-35, 2012

      25 이원명, "소수 성관 문과급제자 분석 ―‘문과방목’을 중심으로" 10 : 2003

      26 이병휴, "선초 문과급제자의 진출에 관한 연구" 1969

      27 이원명, "문과급제자 거주지 분석 ―주요 성관의 문과방목을 중심으로" 70 : 2004

      28 이병휴, "동산 신태식박사 송수기념논총" 1969

      29 "科擧謄錄"

      30 "登科錄"

      31 "朝鮮王朝實錄"

      32 元昌愛, "朝鮮時代 文科及第者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7

      33 車美姬, "朝鮮時代 文科制度 變遷에 관한 硏究 : ‘경국대전’ 이후 ‘속대전’까지" 고려대학교 1998

      34 "日省錄"

      35 "承政院日記"

      36 "增補文獻備考"

      37 "國朝榜目"

      38 "備邊司謄錄"

      39 박현순, "17세기 科擧 관리의 정비 - 응시자 증가와 관련하여 -" 조선시대사학회 (49) : 135-173, 2009

      40 차미희, "16세기 전반기 문과 급제자의 6품직 승진" 조선시대사학회 (20) : 79-106, 2002

      41 차미희, "16세기 문과급제자의 초직 규정변화 ―문음 출신의 참상관직을 중심으로" 103 : 1998

      42 차미희, "16세기 문과급제자 배출의 증가" 6 :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