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협의회에서 나타난 역사영역 쟁점: 1차 시안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 History Area issues in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Council: Focusing on 1st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87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being developed. The 3rd and 4th graders used the concept of history to create 6 achievement standards. The 5th and 6th graders made 9 achievement standards with a life history approach. This ar...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being developed. The 3rd and 4th graders used the concept of history to create 6 achievement standards. The 5th and 6th graders made 9 achievement standards with a life history approach. This article summarizes the historical issues in the first draft process. The main issues are: First, what is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integration principle? Second, how should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achievement standards be presented?? Third, what is the historical knowledge consider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is life history an appropriate alternative to elementary school history? These issues can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history and elementary soc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history and elementary history. In particular, the first discussion is a recurring issue every time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are developed. An integrated approach should be made on the premise of academic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for each area. Cultivation of convergence thinking cannot be achieved while condoning conceptual errors or out-of-context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students' reactions and students' level were treated as important in the discussion on the integr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or elementary history achievement standards. It was often said that students had difficulties, but there was no systematic study on what and how they had difficulty.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chievement standards that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xpand and deepen children's history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이 개발 중이다. 3,4학년군 역사영역은 시간의 변화와 연속성, 증거 활용 등의 역사개념을 중심으로 6개의 성취기준을 설정하였고, 5,6학년군은 연대기구조 속에...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이 개발 중이다. 3,4학년군 역사영역은 시간의 변화와 연속성, 증거 활용 등의 역사개념을 중심으로 6개의 성취기준을 설정하였고, 5,6학년군은 연대기구조 속에서 생활사 중심으로 9개의 성취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성취기준을 정하는 1차 시안 개발과정에서 역사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었던 부분을 이 글에서 정리하였다.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과정에 나온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사회과 통합원리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역사성취기준은 어떻게 제시해야 하는가? 셋째, 초등학생들의 역사이해수준을 고려한 역사지식은 무엇인가? 넷째, 연대기구조 속 생활사는 초등역사의 적절한 대안인가? 이 쟁점들로 초등역사와 초등사회과의 관계, 중등역사와 초등역사의 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첫 번째 논의는 초등사회과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과정 때마다 되풀이되는 쟁점이기도 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통합성취기준 설정과 역사 분산배치 여부가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었다. 통합적 접근은 각 영역에 대한 학문적 이해와 배려를 전제로 이루어져야 한다. 통합의 목적인 융복합적 사고의 육성은 교과개념의 오류나 탈맥락적인 상황을 묵인해가면서 달성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상황이라면 역사는 비역사적, 탈맥락적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회과에서 분리될 수밖에 없다. 역사가 사회과에서 독립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를 사회과 밖으로 밀어내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초등사회과의 통합 논의나 초등역사 성취기준 논의에서 학생들의 반응, 학생들의 수준을 근거로 한 교육적 논리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학생들이 어려워한다는 말이 수시로 나왔으나 무엇을 어떻게 어려워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자문을 구하는 과정에서 모든 연구자들도 초등의 경우는 특히 학생들이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경청해야 한다는 의견을 주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성취기준을 위해서는 어린이 역사 연구가 좀 더 외연을 확장하고 깊이를 더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택,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내용 구성의 문제점 - 내용 분량과 생활사 서술의 문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4) : 1-24, 2012

      2 박병기,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구성방안 연구" 교육부 2021

      3 Donna M. Wlfinger,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1

      4 문재경,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생활사의 도입과 담론 형성" 한국역사교육학회 (33) : 159-210, 2019

      5 임기환, "초등학교 역사과 내용 구성에서 인물사, 생활사, 문화사 구성의 가능성 탐색 - 2015 개정 초등사화과교육과정 역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6) : 7-46, 2016

      6 이종원 ; 이경진, "초등통합교과의 통합에 관한 시론적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27-46, 2017

      7 김민우, "초등사회검정교과서로 그려본 새로운 역사교육과정" 21 : 2021

      8 방지원, "초등 역사교육에서 생활사 내용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19) : 1-27, 2011

      9 정상우, "초등 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검토 - 2007 개정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교육과정까지 -" 역사교육연구회 (147) : 157-200, 2018

      10 Peter N. Stearns, "인류는 아이들을 어떻게 대했는가" 삼천리 2017

      1 최병택,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 영역 내용 구성의 문제점 - 내용 분량과 생활사 서술의 문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4) : 1-24, 2012

      2 박병기,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구성방안 연구" 교육부 2021

      3 Donna M. Wlfinger,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1

      4 문재경,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생활사의 도입과 담론 형성" 한국역사교육학회 (33) : 159-210, 2019

      5 임기환, "초등학교 역사과 내용 구성에서 인물사, 생활사, 문화사 구성의 가능성 탐색 - 2015 개정 초등사화과교육과정 역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6) : 7-46, 2016

      6 이종원 ; 이경진, "초등통합교과의 통합에 관한 시론적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27-46, 2017

      7 김민우, "초등사회검정교과서로 그려본 새로운 역사교육과정" 21 : 2021

      8 방지원, "초등 역사교육에서 생활사 내용구성" 역사교육연구회 (119) : 1-27, 2011

      9 정상우, "초등 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검토 - 2007 개정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교육과정까지 -" 역사교육연구회 (147) : 157-200, 2018

      10 Peter N. Stearns, "인류는 아이들을 어떻게 대했는가" 삼천리 2017

      11 김한종, "역사교육 내용구성을 위한 생활사의 재개념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8 (28): 21-32, 2021

      12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팀, "역량 함양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2021

      13 차조일, "역량 함양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2021

      14 조철기, "시민성의 공간과 지리교육" 푸른길 2020

      15 강선주, "사회변화의 측면에서 본 2015 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 역사 영역의 한계와 개선 방향: 내용 조직 원칙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36 (36): 169-191, 2020

      16 김정인, "사회과통합형 초등 역사교육 모색" 한국역사교육학회 (27) : 183-224, 2017

      17 박상준, "사회과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8

      18 이혁규, "사회과 연구자(실천가)와 나누고 싶은 메타 질문들" 2021

      19 강충열 ; 정광순, "미래형 초등통합교육과정 개정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3 (3): 19-41, 2009

      20 강선주, "디지털 시대 역사・박물관 교육" 한울아카데미 2022

      21 교육부, "더 나은 미래, 모두를 위한 교육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22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교육자치시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과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2019

      23 Susan M. Drake, "교육과정 통합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9

      24 강선주, "生活史 敎育의 來歷과 방향-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역사 영역의 내용 구성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5) : 143-176, 2005

      25 John Barwick, "Laruren O’Brien, History Now" Teahcers 4Teachers Pty Ltd 2015

      26 사회과 시안 개발 연구팀,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2022

      27 정광순, "2015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 고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18,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