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先秦文獻에 보이는 穢貊의 갈래와 문화원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01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先秦文獻에 보이는 穢貊은 西周초기부터 戰國時代말기까지 대략1000년 동안 요서지역의 대릉하와 소릉하 유역을 중심으로 거주하였다. 예맥은 시베리아를 비롯한 북방지역에서 이주해 온 ...

      先秦文獻에 보이는 穢貊은 西周초기부터 戰國時代말기까지 대략1000년 동안 요서지역의 대릉하와 소릉하 유역을 중심으로 거주하였다. 예맥은 시베리아를 비롯한 북방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아니라, 요서지역과 내몽고 동남부 및 하북 북부 일대에서 夏家店하층문화를 영위한 ‘?’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은 예맥의 기원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원의 商과 燕및 孤竹과 令支, 북방종족 山戎등이 갈라져 나왔다. 요서 일대에서는 하가점 하층문화가 B.C. 15세기를 전후하여 소멸되면서 發이 등장하였다. 發은 하가점 하층문화를 계승한 채 비파형동검을 특징으로 하는 凌河文化를 영위하였으며 점차 貊과 穢로 분화되었다.
      예맥은 山戎?東胡등의 북방종족 및 齊?燕을 비롯한 中原諸國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면서 발전하였다. 이들은 B.C. 4세기를 전후하여 중원의 燕이 북상하여 遼西를 비롯한 5郡을 설치할 때까지 존속하였다. 이들 외에 산서 북부와 하북 북부 일대에도 北狄계통의 胡貊(혹은 ?)이 戰國時代초기까지 활약하였다.
      예맥은 고조선의 외연에 속한 방계적인 존재가 아니라, 遼河文明의 主幹을 계승한 채 한국상고사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그 반면에 요동 방면에서는 고조선이 성장 발전하였는데, 요서 일대의 예맥과는 종족 갈래와 문화 양상이 일부 달랐다. 예맥은 고조선과 燕및 東胡의 각축 속에서 토착기반이 해체되었으며, 신석기시대 이래 중원과는 다른 문화전통을 유지하던 요서와 발해만 일대는 漢化되기에 이르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emaeck(濊貊) which is shown in pre-Qin(先秦) literatures lived around the Daling(大凌河) of the Liaoxi(遼西) for about 1,000 years from early Zhou(周) to late the Age of Wars(戰國時代). Yemaeck is rooted in ‘Bak(?)’ which led in the...

      Yemaeck(濊貊) which is shown in pre-Qin(先秦) literatures lived around the Daling(大凌河) of the Liaoxi(遼西) for about 1,000 years from early Zhou(周) to late the Age of Wars(戰國時代). Yemaeck is rooted in ‘Bak(?)’ which led in the lower layer of Xiajiadian(夏家店下層文化) in Liaoxi, the southeast area of Inner Mongolia and Hebei(河北), not immigrants from the north area.
      Shang(商), Yan(燕), Gojuk(孤竹), Yeongji(令支) and Shanrong(山戎) were divided from Bak as well as it was an origin of Yemaeck. In Liaoxi, Bak appeared as the lower layer of Xiajiadian dis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15th century B.C. Bak led in the Daling culture(凌河文化) characterized by Liaoning bronze(琵琶型銅劍) daggers while inheriting the culture of the lower layer of Xiajiadian, and was gradually divided into Maeck(貊) and Ye(濊).
      Yemaeck developed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with China empire including Shanrong and East-violets(東胡), and Je and Yen. They survived until Yan established five county including Liaoxi in about the 4th century B.C. In addition to them, Homaeck(or Maeck) of north violets was active until the early he Age of Wars.
      Yemaeck was a partial axis of Korean ancient history inheriting the rather than a collateral being of Gojoseon(古朝鮮). However in Liaoxi, Gojoseon developed whose tribe and culture were different from Yemaeck. Yemaeck"s base was destroyed under competition of Gojoseon, Yan and East-violets, and Liaoxi and Po Hai(渤海) which had different tradition from China since the Neolithic Era became Kore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穢貊의 갈래와 분포지역
      • Ⅱ. 穢貊의 기원과 문화원형
      • 맺음말
      • 요약
      • 머리말
      • Ⅰ. 穢貊의 갈래와 분포지역
      • Ⅱ. 穢貊의 기원과 문화원형
      • 맺음말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楊虎, "遼西地區新石器-靑銅竝用時代考古文化序列分期" (5) : 1994

      2 王成生, "遼河流域及隣近地區短劍鋌曲刃短劍硏究, In 遼寧城考古博物館學會成立大會論文集" 1981

      3 甸村, "遼寧阜新縣査海遺址1987~1990年三次發掘" 遼寧城文物考古硏究所 (11) : 1994

      4 遼寧城文物考古硏究所, "遼寧阜新平頂山石城址發掘報告" (5) : 399-420, 1992

      5 遼寧城博物館文物工作隊, "遼寧朝陽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6 朱貴, "遼寧朝陽十二臺營子靑銅短劍墓" (1) : 1960

      7 郭大順, "遼寧史前考古與遼河文明探源" (1) : 1995

      8 朱貴, "遼寧十二台營子靑銅短劍墓" (1) : 1960

      9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內蒙古工作隊, "寧城南山根遺址發掘報告" (1) : 1975

      10 許明綱, "旅順于家村遺址發掘簡報, In 考古學集刊(1)"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1

      1 楊虎, "遼西地區新石器-靑銅竝用時代考古文化序列分期" (5) : 1994

      2 王成生, "遼河流域及隣近地區短劍鋌曲刃短劍硏究, In 遼寧城考古博物館學會成立大會論文集" 1981

      3 甸村, "遼寧阜新縣査海遺址1987~1990年三次發掘" 遼寧城文物考古硏究所 (11) : 1994

      4 遼寧城文物考古硏究所, "遼寧阜新平頂山石城址發掘報告" (5) : 399-420, 1992

      5 遼寧城博物館文物工作隊, "遼寧朝陽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6 朱貴, "遼寧朝陽十二臺營子靑銅短劍墓" (1) : 1960

      7 郭大順, "遼寧史前考古與遼河文明探源" (1) : 1995

      8 朱貴, "遼寧十二台營子靑銅短劍墓" (1) : 1960

      9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內蒙古工作隊, "寧城南山根遺址發掘報告" (1) : 1975

      10 許明綱, "旅順于家村遺址發掘簡報, In 考古學集刊(1)"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1

      11 "呂氏春秋"

      12 김정배, "한국민족문화의 기원" 고려대 출판부 154-179, 1973

      13 김원룡, "한국고고학개설" 일지사 97-, 1973

      14 김원룡, "한국고고학개설" 일지사 24-, 1986

      15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48-113, 2003

      16 박순발, "청동기시대" 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6 : 2006

      17 李淸圭,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 42 : 10-23, 1993

      18 오강원,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 제작과 용범, In 한국청동기 제작과 용범"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05

      19 정인보, "조선사연구(上)" 서울신문사 52-, 1946

      20 도유호, "원시고고학" 과학원출판사 77-83, 1960

      21 복기대, "요서지역의 청동기시대문화연구" 백산자료원 3-255, 2002

      22 니콜라 드코스모, "오랑캐의 탄생" 황금가지 16-93, 2005

      23 황철산, "예맥족에 대하여(Ⅰ․Ⅱ)" (2) : 1963

      24 리순진, "신암리 유적 발굴 중간보고" (3) : 1965

      25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26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와 요령지역의 청동기문화" 청계 426-481, 2006

      27 박진욱, "비파형단검문화의 발원지와 창조자에 대하여, In 비파형단검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28 이형구, "발해연안 빗살무늬토기문화의 연구" 정신문화연구원 10 : 1989

      29 이성규, "문헌에 보이는 한민족문화의 원류, In 한국사1-총설-" 165-, 2002

      30 황기덕, "료서지방의 비파형단검 문화와 그 주민, In 비파형단검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31 양재영, "동주시기 중국 동북지역 북방민족 연구, In 고구려의 등장과 그 주변" 동북아역사재단 359-, 2009

      32 오강원, "동북아시아의 청동기문화와 요령, 그리고 한반도, In 만주, 그 땅 사람 그리고 역사" 고구려연구재단 2005

      33 郭大順, "동북문화와 유연문명(하)" 동북아역사재단 310-910, 2008

      34 신채호, "단재신채호전집 하권" 형설출판사 351-369, 1975

      35 김영수, "곡인청동단검문화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In 고대 동북아시아의 민족과 문화" 여강출판사 908-912, 1994

      36 윤내현, "고조선의 건국과 민족형성, In 고조선연구" 지식산업사 100-109, 1994

      37 리지린, "고조선연구" 열사람 1989

      38 리지린, "고조선연구" 학우서방 11-20, 1964

      39 이종욱, "고조선사연구" 일조각 67-73, 1993

      40 이성규, "고대 중국인이 본 한민족의 원류, In 한국사시민강좌 32" 일조각 112-122, 2003

      41 노태돈, "고구려의 기원과 국내성 천도, In 한반도와 중국 동북3성의 역사와 문화" 서울대 출판사 315-317, 1999

      42 여호규, "고구려 초기의 梁貊과 小水貊" 한국고대사학회 25 : 91-130, 2002

      43 김정학, "고고학상으로 본 한국민족" 1 : 1966

      44 "鹽鐵論"

      45 董新林, "魏營子文化初步硏究" 北京大 考古學界 1993

      46 金光洙, "高句麗 古代 集權國家의 成立에 관한 硏究" 연세대 1983

      47 李恭篤, "馬城子-太子河上流洞穴遺存" 文物出版社 1994

      48 金廷鶴, "韓國民族形成史, In 韓國文化史大系(Ⅰ)" 韓國文化史大系(Ⅰ) 411-414, 1964

      49 金庠基, "韓․貊移動考" (創刊) : 1948

      50 이청규, "靑銅器를 통해 본 古朝鮮과 주변사회" 6 : 35-38, 2005

      51 安志民, "雙砣子與崗上-遼東史前文化的發現和硏究" 科學出版社 1996

      52 李宇峰, "阜新査海新石器時代遺 址試掘簡報" 遼寧城物考古硏究所 (1) : 1988

      53 尹達, "關于赤峰紅山後的新石器時代遺址, In 中國新石器時代" 三聯書店 1955

      54 張博泉, "關于箕子朝鮮侯東遷及高麗遼東之地問題硏究之我見 -兼與李建才先生商討-" (1) : 1998

      55 烏恩, "關于我國北方的靑銅短劍" (5) : 1978

      56 鄒衡, "鄭州商城卽湯都亳說" (2) : 1978

      57 羅家湘, "逸周書硏究"

      58 "逸周書"

      59 韓嘉谷, "軍都山山東周墓談山戎, 胡, 東胡的考古文化歸屬" 1994

      60 羅泌, "路史"

      61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 內蒙古工作隊, "赤峰葯王廟․夏家店遺址試掘報告" (1) : 1974

      62 水野淸一, "赤峰紅山後 東方考古學叢刊甲種六冊" 東亞考古學會 1938

      63 郭大順, "赤峰地區早期冶銅考古隨想, In 內蒙古文物考古文集"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4

      64 郭大順, "豊下遺址陶器分期再認識, In 文物與考考古論集" 文物出版社 1987

      65 李伯謙, "論夏家店下層文化, In 紀念北京大學考古專業三十周年論文" 文物出版社 150-169, 1990

      66 "說苑"

      67 段玉裁, "說文解字經" 蘭臺書局 1977

      68 "詩經"

      69 何賢武, "試論遼西地區古代文化的發展, In 中國考古學六次年討論文集" 文物出版社 38-49, 1987

      70 郭大順, "試論魏營子類型, In 考古學文化論集 1" 文物出版社 82-92, 1987

      71 郭大順, "試論魏營子類型" 1 : 79-98, 1986

      72 安金槐, "試論鄭州商代遺址" 4 : 1961

      73 李經漢, "試論夏家店下層文化的分期和類型, In 中國考古學會第一次年會論文集" 文物出版社 1979

      74 安志民, "裵李崗磁山和仰韶" (4) : 1979

      75 蘇秉琦, "華人․龍的傳人․中國人一考尋根記" 遼寧大學出版社 1994

      76 丁若鏞, "與猶堂全書 권6, 疆域考, 朝鮮考"

      77 한규철, "肅愼․挹婁硏究" 35 : 1988

      78 林澐, "肅愼, 挹婁和沃沮" (創刊) : 1986

      79 張星德, "紅山文化與分期初探" (8) : 1991

      80 王仁湘, "紅山文化彩陶簡論, In 紅山文化硏究-2004年紅山文化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2006

      81 "管子"

      82 王彩梅, "燕國歷史遡源與夏家店下, 上層文化" (1) : 1987

      83 曲瑞琦, "瀋陽新民縣高臺山遺址" 瀋陽市文物管理辨公室 (2) : 1982

      84 許憲范, "濊貊遷徙考" 4 : 1985

      85 박준형, "濊․貊의 분포 양상과 그 이해" 강릉대 인문학연구소 2008

      86 "漢書"

      87 郭錫良, "漢字古音手冊" 北京大學出版社 24-, 1986

      88 "淮南子"

      89 "水經注"

      90 이형원, "松菊里類型과 水石里類型의接觸樣相" 호서고고학회 (12집) : 15-34, 2005

      91 朱永剛, "東北靑銅文化的發展段階與文化區系" (2) : 1998

      92 劉國祥, "東北文物考古論文集" 北京科學出版社 3-57, 2004

      93 三宅俊成, "東北アヅア考古學の硏究" 國書刊行會 79-, 1975

      94 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高桐書院 80-81, 1948

      95 鄭紹宗, "有關河北長城地域原始文化類型的討論" (12) : 1962

      96 "書經"

      97 "戰國策"

      98 北京市 文物考古隊, "建國以來北京市考古和文物保護工作, In 文物考古工作三十年" 3-4, 1979

      99 "左傳"

      100 "山海經"

      101 傅斯年, "夷夏東西說, In 慶祝蔡元培先生六十五歲論文集" 國立中央硏究員歷史語言硏究所集刊 1093-, 1935

      102 潘其風, "大甸子墓地出土人骨硏究的硏究, In 大甸子-夏家店下層文化遺址與墓地發掘報告 附錄一" 科學出版社 1998

      103 郭大順, "大南溝的一种後紅山文化類型, In 考古學文化論集(2)" 文物出版社 59-77, 1989

      104 遼寧城文物考古硏究所, "大南溝-後紅山文化墓地發掘報告" 科學出版社 1998

      105 張忠培, "夏家店下層文化硏究, In 考古學文化論文集" 文物出版社 58-78, 1987

      106 劉觀民, "夏家店下層文化彩繪紋飾, In 慶祝蘇秉琦考古五十五年論文集" 文物出版社 1989

      107 鄒衡, "夏商周考古學論文集" 文物出版社 266-268, 1980

      108 "國語"

      109 曹定云, "商族淵源考, In 中國商文化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23-, 1998

      110 金景芳, "商文化起源于我國北方說" 7 : 1978

      111 丁山, "商周史料考證" 龍門聯合書局 16-17, 1960

      112 和田淸, "周代の蠻貊について" 28 (28): 1947

      113 "史記"

      114 양재영, "古代 肅愼에 관한 硏究" 중국사학회 (32) : 299-317, 2004

      115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內蒙古發掘隊, "內蒙古赤峰藥王廟,夏家店遺址試掘簡報" (2) : 1971

      116 呂遵諤, "內蒙古赤峰紅山古蹟調査報告" (3) : 1958

      117 孔昭晨, "內蒙古自治區赤峰市距今8,000~2,400年年間環境考古學的初步硏究, In 大甸子-夏家店下層文化遺址與墓地發掘報告" 科學出版社 1998

      118 劉觀民, "內蒙古東部地區靑銅時代兩種文化, In 內蒙古文物考古" 5-14, 1981

      119 劉觀民, "內蒙古東部地區靑銅時代的兩種文化" (創刊) : 1984

      120 劉觀民, "內蒙古東部地區靑銅時代的兩種文化" (創刊) : 1981

      121 李逸友, "內蒙古昭烏達盟出土的靑銅器調査" (6) : 1959

      122 齊永賀, "內蒙古哲盟科左中旗新艾力的新石器時代遺址" (5) : 1965

      123 이성규, "先秦文獻에 보이는 ‘東夷’의 성격" 한국고대사회연구소 1 : 140-, 1991

      124 郭大順, "以遼河流域爲中心的新石器文化, In 考古學報 4" 科學出版社 437-443, 1985

      125 韓嘉谷, "京津地區商周時期文化發展的一點線索, In 中國考古學會 第3次年會論文集" 文物出版社 220-229, 1981

      126 竺可楨, "中國近五天年來氣候變遷的初步硏究" (1) : 1972

      127 林澐, "中國東北系銅劍初論" (2) : 158-159, 1980

      128 翟德芳, "中國東北方地區靑銅短劍分群硏究" (3) : 288-289, 1988

      129 秋山進午, "中國東北地方의 初期 金石文化의 樣相, In 古代東北 아시아의 民族과 文化" 驪江出版社 1994

      130 朱泓, "中國東北地區的古代種族, In 박물관기요 13"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1998

      131 靳楓毅, "中國東北地區含曲刃靑銅短劍的文化遺存(上․下)" 1 : 1982

      132 佟冬, "中國東北史 第一卷" 吉林文史出版社 166-, 1998

      133 蘇秉琦, "中國文明起源新探" 三聯書店 153-, 1999

      134 김정배, "中國 東北地域의 支石墓 硏究" 85 : 43-, 1999

      135 朱永剛, "中國 東北地域 靑銅器文化의 發展段階와 文化系統, In 박물관기요 12" 단국대 중앙박물관 111-143, 1997

      136 "世本八種" 商務印書館 1957

      137 박준형, "‘濊貊’의 形成過程과 古朝鮮" 22 : 2001

      138 Guo Da-shun, "Northern-Type Bronze Artifacts Unearthed in the Liaoning Region, and Related Issues" 182-205, 1995

      139 Wu En, "New Chinese Archaeological Discoveries Regarding Ancient Northern Tribes" University of Pittsburgh 1991

      140 吳文祥, "4000aB.P.前後降溫事件與中華文明的誕生" (5)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