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 갈등해결 시스템을 모색하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한국사회의 지형에서 우리는 최소한 두 가지 점에서 사회갈등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가 있다. 우선 최근에 많은 집단갈등들이 봇물처럼 터지고 개별갈등현상에 직접 관...

      오늘날 한국사회의 지형에서 우리는 최소한 두 가지 점에서 사회갈등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가 있다. 우선 최근에 많은 집단갈등들이 봇물처럼 터지고 개별갈등현상에 직접 관련이 없는 다수의 사회구성원이 고통을 겪는 것을 보면서 새삼 갈등의 효과에 대해 우려하게 된다. 둘째로 기존의 갈등연구가 다소 개별적이고 분산적인데 비해, 이를 전체적이고 구조적인 분석틀에 의해 조망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갈등에 관한 한국사회의 경험을 직접 다루는 작업이 갈등 해결의 단초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왜 갈등이 문제가 되는지 또 갈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고민하고 갈등구조와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험적으로는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와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갈등해결의 단초로서 갈등관리시스템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발전경험을 성찰할 때 사회정의에 대한 가치관 정립과 함께 사회갈등을 구조적으로 잉태해온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관행을 개선하고 갈등관리를 통한 사회통합이 급선무임을 보여주고 있다. 갈등해소를 위해서는 갈등 당사자간의 합리적인 합의도출과정에 대한 이해와 갈등유형에 따른 기본적인 설계를 바탕으로 갈등현안에 대해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분권화된 민주주의 구도 아래에서 갈등예방 및 관리 차원을 포함하는 갈등해결 프로세스 등의 개발이나 법ㆍ제도 정비를 통해 체계적이고 대안적인 갈등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사회 각 부문의 균형적 발전을 통한 신뢰구축을 기반으로 합의와 설득절차를 통한 타협과 협력문화의 형성과 함께 공정성 및 전문성의 확보를 통한 사회적 권위의 확립을 지향해야 함을 함의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issue of social conflicts, including the nature, causes, and trends of conflicts in South Korea. The next few years will be critical in determining the future of democracy and civil society in the country which is at a crossroa...

      This paper explores the issue of social conflicts, including the nature, causes, and trends of conflicts in South Korea. The next few years will be critical in determining the future of democracy and civil society in the country which is at a crossroads for developmental pathway. There are both discouraging and encouraging trends-rejecting or embracing democratic reforms. At this juncture it is essential that consensus-building and conflict resolution processes be brought to bear at the level of ordinary citizens’ lives as well as civil government. This cannot be accomplished by simply importing Western model of conflict resolution and decision making. The knowledge of the field of social conflict via the experiences of Korean development is vital to the efforts to find an effective avenue for democracy to take powerful and positive root in Korea in transition. At the heart of many of these struggles and lessons is the question of social justice. Conflict resolute approaches are required if democracy is to take root in Korea where it is still a new and untested system. The new framework of conflict resolution system is to reform sociocultural convention, governanc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social trust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 Ⅱ. 이론적 배경
      • Ⅲ. 갈등의 전개양상
      • Ⅳ. 갈등해결의 단초를 찾아서
      • Ⅴ. 결론 및 함의
      • Ⅰ. 문제제기
      • Ⅱ. 이론적 배경
      • Ⅲ. 갈등의 전개양상
      • Ⅳ. 갈등해결의 단초를 찾아서
      • Ⅴ. 결론 및 함의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