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바다뱀(진정바다뱀아과와 큰바다뱀아과)의 분류와 분자계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5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연안에는 진정바다뱀아과(Subfamily Hydrophinae) 내 먹대가리 바다뱀(Slender necked sea snake, Hydrophis melanocephalus Gray 1849), 얼룩바다뱀 (Annulated sea snake, H. cyanocinctus Daudin 1803), 바다뱀(Yellow- bellied se...

      한국 연안에는 진정바다뱀아과(Subfamily Hydrophinae) 내 먹대가리 바다뱀(Slender necked sea snake, Hydrophis melanocephalus Gray 1849), 얼룩바다뱀 (Annulated sea snake, H. cyanocinctus Daudin 1803), 바다뱀(Yellow- bellied sea snake, H. platurus Linnaeus 1766, 바다뱀 일반명과 구분을 위해 노란배바다뱀으 로 칭함)의 3종이 보고되어 있었으나 도감 상의 기록일 뿐 연구와 표본이 거의 없었 다. 청문조사를 통해 2013년 3월부터 2017년 8월 사이 접수된 51건의 제보 중 바다뱀은 4종 23건(3종 18개체 확보)이었고, 오제보는 26건(어류 18건, 육지뱀 7건, 무척추동물 과 사물 각 1건)이었다. 1995년 부산 수영구에서 보고된 먹대가리바다뱀의 사진을 재 검토한 결과, 넓은띠큰바다뱀(Chinese sea snake, Laticauda semifasciata Reinwardt in Schlegel 1837)의 오동정임을 확인하여, 큰바다뱀아과의 종이 22년 전에도 출현하 였음을 확인하였다. 2016년 10월 20일 제주도 서귀포시 마라도리에서 미기록종인 좁은띠큰바다뱀 (Blue-banded sea krait, L. laticaudata Linneus 1758)을 포획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약 60년만에, 2017년 6월 22일에 서귀포시 성산읍에서 노란배바다뱀 1개체를 포획, 샘플 을 확보하였다. 형태측정을 바탕으로 한국에 분포하는 바다뱀 5종(노란배바다뱀, 얼 룩바다뱀, 먹대가리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의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큰바다뱀아과 종들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큰바다뱀아과 3종 (넓은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 노랑입술큰바다뱀 Yellow-lipped sea krait, L. colubrina Schneider 1799)을 대상으로 full mtDNA를 분석하였다. 3종 모두 13개의 단백질 코딩유전자, 22개의 tRNA, 12s rRNA, 16s rRNA 와 2개의 control region을 가졌으며, 염기서열 크기는 17,170에서 17,450 사이로 밝혀졌다. full mtDNA 분석결 과 노랑입술큰바다뱀은 넓은띠큰바다뱀보다 좁은띠큰바다뱀과 더 근연하였다. 넓은띠큰바다뱀의 집단분석 연구를 위하여 21개의 다형성 미소부수체마커 (microsatellite markers)를 개발하였다. 한국, 일본, 대만 등에서 채집된 넓은띠큰바다뱀 36개체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좌위 당 대립유전자의 종류는 평균 7.38개였 고, 마커의 다양성 정보 함량(PIC)은 평균 0.71로 높았다. 넓은띠큰바다뱀에서 개발된 21마커를 이용하여 같은 속 2종(노랑입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에 적용한 결과 78.6%의 교차적용성을 나타내어, 개발된 마커가 넓은띠큰바다뱀을 포함한 큰바다뱀 아과 종들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유전학적 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연안에 분포하는 바다뱀의 종 별 분포를 확인하고 주요 큰바다뱀의 유전적 분화과정을 규명하였으며, 집단분석을 위한 다형성 미소부수체마 커들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향 후 한국 바다뱀의 모니터링 및 개체군 간 집단분 석 등 추가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