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을 확인하며, 각 시차별 잠재계층 및 잠재계층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유아기 문제행동의 중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을 확인하며, 각 시차별 잠재계층 및 잠재계층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유아기 문제행동의 중재...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을 확인하며, 각 시차별 잠재계층 및 잠재계층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유아기 문제행동의 중재를 위한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5차(4세)와 7차(6세)년도의 1,599명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Mplus 8.3을 이용하여 유아 문제행동이 개인차에 따라 어떠한 유형으로 분류되는지 확인하고 집단 간 전이 양상을 살펴보고자 잠재계층분석과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개인 특성과 부모 양육환경의 문제행동 잠재계층과 잠재계층 전이에 대한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개인 특성 변인으로 성별, 유아의 기질을, 부모의 양육환경으로는 부부갈등,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의 우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설정하여 유아문제행동과 전이양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문제행동의 잠재계층을 분류한 결과 5차(4세)시기는 3개의 이질적인 집단이 도출되었다. 문제행동 수준에 따라 계층 1은 문제행동이 수준이 낮은 ‘하위집단’, 계층 2는 보통인 ‘중위집단’, 계층 3은 높은 수준인 ‘상위집단’으로 명명하였다. 7차(6세)시기는 2개의 이질적 집단이 도출되어, 문제행동이 낮은 수준은 ‘하위집단’으로, 높은 수준은 ‘상위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잠재계층 집단의 양상을 살펴보면, 5차시기(4세)의 하위집단은 전체 22%, 중위집단은 49%, 상위집단은 29%의 비율을 보였으며, 각 집단에서 공격성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7차시기(6세)의 하위집단은 전체 47%이고 상위집단은 53%로, 역시 각 집단에서 공격성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5차시기(4세)와 7차시기(6세)를 비교해 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인 하위변인의 평균값은 다소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고 특히 공격성은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5차시기(4세), 7차시기(6세) 문제행동 잠재계층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4세의 하위집단과 중위집단에서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남자유아일 때 중위집단에 속할 승산이 높게 나타났다. 또,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성이 낮을수록, 정서성이 높을수록, 유아성별이 남아일 때 상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아버지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6세의 잠재계층 집단에 대한 영향요인의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는 어머니가 우울을 높게 지각할수록, 아버지가 부부갈등을 높게 인식할수록, 유아의 사회성이 낮을수록, 정서성이 낮을수록, 그리고 유아 성별이 남아일 때 문제행동 상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5차시기(4세)에서 7차시기(6세)의 유아 문제행동의 잠재전이 양상을 보면, 4세 중위집단에서 6세 상위집단으로 전이될 비율은 25.5%로, 전이될 비율이 가장 높았고 4세 중위집단에서 6세 하위집단으로 전이될 비율은 24.7%였다. 또 4세에서 상위집단에서 6세 상위집단으로 전이될 비율이 23.9%로, 4세 하위집단에서 6세 하위집단으로의 전이 비율은 6.1%로, 그리고 4세 하위집단에서 6세 상위집단으로 전이될 비율은 4.3% 순으로 나타나, 유아의 문제행동 수준이 낮은 하위집단에 속한 유아들이 문제행동 수준이 높은 상위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나 문제행동이 높은 상위집단에 속한 유아들이 문제행동이 낮은 하위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유아의 문제행동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극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고 그대로 유지되거나 악화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5차시기(4세)에서 7차시기(6세)유아 문제행동의 잠재계층 간의 전이 영향 요인을 확인한 결과, 4세 하위집단에서 6세 상위집단으로 전이 영향요인은 유아의 기질 중 부정 정서성이 높고, 유아성별이 남아일 때로 확인되었고, 4세 중위집단에6세 하위집단으로의 전이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높고 유아의 기질 중 정성성이 높을수록, 유아성별이 남아일 때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4세 중위집단에서 6세 상위집단 전이영향요인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유아의 기질 중 사회성이 낮을수록, 정서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남아일 때로 나타났다. 4세 상위집단에서 6세 하위집단으로의 전이 영향 요인은 유아의 기질 중 정서성이 높을수록, 유아성별이 남아일 때였으며 4세 상위집단에서 6세 상위집단으로의 전이 영향 요인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성이 낮을수록, 유아의 정서성이 높을수록, 유아가 남아일 때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양육환경 변인은 일관되게 유의하지 않았다.
정리해보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이 높은 수준으로 전이되는 경우에는 어머니의 높은 통제적 양육행동, 유아의 낮은 사회성과 높은 정서성, 남아라는 유아 성별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문제행동수준이 변화 없이 높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위의 요인들과 함께 어머니의 높은 양육스트레스가 영향요인으로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유아의 문제행동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양육환경 변인의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아, 유아기 문제행동 전이의 가장 일관된 영향요인은 유아의 기질이며, 문제행동의 서로 다른 수준으로의 전이에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의 영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 유아기 문제행동에는 유아의 성별 영향력이 있어서 남아가 보다 취약하고, 유아기 부모변인에서 아버지의 영향요인은 일관되게 유의미하지 않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경우 문제행동 수준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음을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 조기 중재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또한 정서성과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 성별이 남아가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진 결과는 유아 문제행동 전이 영향 요소가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공통적으로 나타난 점은 유아의 기질 중 정서성을 파악하지 못하거나 어머니가 강압적으로 대처할 경우 문제가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문제행동의 수준에 따라 중재프로그램의 내용의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중요한 함의를 제시해 준다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assify young child’s problem behaviors, confirm longitudinal changes of each type, analyze influence variables on latent classes and latent transitions, and suggest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u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young child’s problem behaviors, confirm longitudinal changes of each type, analyze influence variables on latent classes and latent transitions, and suggest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used data from 2012 and 2014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hereafter, PSKC), which included 1599 children aged 4 years and 6 years,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Mplus 8.3, the study identified types of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individual child’s traits. To understand the latent class transition patterns, this study analyzed latent classes and latent transition. In the study, the explanatory effects of young children’s individual trait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caused by parenting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iterature view. The young children’s individual differences were sex and their temperament, and parenting consisted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parent’s depression and maternal employment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young child’s problem behaviors and transition patter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ree heterogeneous groups in 2012 PSKC as a result of analyzing latent classes of young child’s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problem behavior, the low level group of problem behavior was named as ‘low-group’, the middle level group as ‘middle-group’, and the high level group as ‘high-group’. The distribution ratios of each group were 22% of low-group, 49% of middle-group and 29% of high-group, and those three groups’ mean values of aggression were the highest. In 2014 PSKC, there were two heterogeneous groups, which were ‘low-group’ which was 47%, and ‘high-group’ which was 53%. Those groups, also,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s of aggression. Compared with 2012 and 2014 PSKC, the mean values went down over time, especially in the case of aggression.
Second, it showed the tendency of the higher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of the mother, the higher emotionality of child and male children would have the higher possibilities to belong to the middle-group in the low and middle-group of 2012 PSCK. a boy who had the higher controll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 lower sociability, the higher emotionality tended to belong to the high-group, while the variables of the fath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2014 PSKC, if the case was in the higher maternal perceived depression, the higher marital conflict a father recognized, the lower sociability a child had and a child is a boy, it had the higher possibilities to belong to the high-group.
Third, the transition rates from the 4-year-old middle into the 6-year-old high-group were 25.5%, which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transition rates from the 4-year-old middle-group to the 6-year-old low-group were 24.7%. The transition rates of the 4 years’ high-group to the 6 years’ high-group were 23.9%, 6.1% of the 4 years’ low-group into the 6 years’ low-group and 4.3% of 4 years’ low-group to the 6 years’ high-group. Thus, it could be expected that children in the low-group have the lower possibilities to be changed into the high-group or children in the high-group into the low-group. That is, a child’s problem behavior will remain without being dramatically changed or worsen.
Fourth, the strong effects of transition from the 4-year-old low-group into the 6-year-old high-group were the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and the sex of male. The significant effects were shown in the case of the higher maternal controlled parenting, child’s high emotionality and they are boys. The significant effects of transition from the 4-year-old middle-group into the 6-year-old high-group were mother’s high controlled parenting, child’s low sociability and high emotionality, and the case of boy. The strong effects of transition from the 4 years’ high-group into the 6 years’ low-group were a child’s high emotionality and male children while the effects of the transition from the 4 years’ high-group into the 6 years’ high-group were a mother’s high parenting stress, a mother’s high controlled parenting, a child’s low sociability and high emotionality. However, paternal variables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nsequently, the high level of changed problem behavior of a child is due to the mother’s strongly controlled parenting, a child’s low sociability and high emotionality, and the case of the child is a boy over time. Even though a child gets older,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doesn’t change due to the mother’s high parenting stress with those variables above mentioned.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remains because the parenting doesn’t have an effect. The common transition effect is the child’s characteristics, and the child’s characteristics and mother’s controlled parenting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different levels of transition. Furthermore, a boy is vulnerable to be affected in the problem behavior and paternal variables don’t have a significant effect consiste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early intervention of problem behavior is critical and the different levels of problem behavior require differentiated intervention approaches.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영아, 오경자, "CBCL 1", 5-5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 서울: 휴노컨설팅, 2009
2 김영원, 정영혜, 이예진, 왕연희, 송요현, 도남희, 김은설, "한국아동패널 201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2
3 강희경,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1997
4 김길숙, 이정림, 이예진, 송신영, 김진미, 김신경, 김소아, "한국아동패널 2015. 연구보고 2015-33", 서울:육아정책연구소, 2015
5 홍세희, "잠재계층, 잠재전이, 성장혼합모형", 서울: 박영사, 2019
6 김명식, 조숙환, 이경숙, 신윤오, "영유아 지역정신건강증진 사업 모델 개발", 서울: 보건복지부, 2013
7 황혜정, "“유아기 문제행동의 발달과정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73-88, 2019
8 고성혜,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1-37, 1994
9 문장원, "“품행장에의 예방을 위한 조기중재 전략 탐색,”", Journal of Emotional Disturbances & Learning Disabilities, 17(1), 283-305, 2001
10 고인숙, 이숙희, 김미정,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 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1), 163-181, 2009
1 김영아, 오경자, "CBCL 1", 5-5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 서울: 휴노컨설팅, 2009
2 김영원, 정영혜, 이예진, 왕연희, 송요현, 도남희, 김은설, "한국아동패널 201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2
3 강희경,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1997
4 김길숙, 이정림, 이예진, 송신영, 김진미, 김신경, 김소아, "한국아동패널 2015. 연구보고 2015-33", 서울:육아정책연구소, 2015
5 홍세희, "잠재계층, 잠재전이, 성장혼합모형", 서울: 박영사, 2019
6 김명식, 조숙환, 이경숙, 신윤오, "영유아 지역정신건강증진 사업 모델 개발", 서울: 보건복지부, 2013
7 황혜정, "“유아기 문제행동의 발달과정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73-88, 2019
8 고성혜,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1-37, 1994
9 문장원, "“품행장에의 예방을 위한 조기중재 전략 탐색,”", Journal of Emotional Disturbances & Learning Disabilities, 17(1), 283-305, 2001
10 고인숙, 이숙희, 김미정,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 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1), 163-181, 2009
11 우수경, "“유아 문제행동의 변화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381-400, 2017
12 김현정, "“부모의 훈육방식과 아동기 문제행동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학회지:여성, 6(2), 81-95, 2001
13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알기 쉬운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원미사, 2007
14 박철웅,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2
15 김녹현, 차선희, 정영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24(2), 89-121, 2014
16 황혜정, "유아의 문제행동 진단을 위한 부모용 교사용 검사 개발 연 구", 유아교육연구, 25(2), 235-257, 2005
17 박진아, 전연진, 이경숙, 신의진,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4), 53-73, 2004
18 장혜인,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2), 19-39, 2015
19 노승희, 이영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4), 301-324, 2017
20 양화진,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부부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미치는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김민정, 이미나, 변혜연, "Rasch 모형을 통한 성인기질(ATQ)의 초간편여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6), 937-957, 2018
22 최영희, 홍종원,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관계 연구,”", 상담심리교육복지, 2(2), 81-94, 2015
23 최정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비교,”", 코칭연구, 9(3), 101-120, 2016
24 김연, 황혜정,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유아의 문제행 동과의 관계", 아동교육연구, 28(3), 23-49, 2008
25 김수정, 정익중, "“유아의 공격성 발달궤적이 부모 교사, 또래 관계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1(1), 81-103, 2017
26 최순희, "아버지의 부모 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7 성다겸,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관계와 예측요인",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8 이소은, "이소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 ” 한국아동학회, 28(2), 71-89, 2007
29 김명숙, 오현숙,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 그리고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513-530, 2015
30 이귀숙, 정현희,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과정에 관한 단기 종단적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2), 97-18, 2008
31 문대근, 문수백,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적구조분석,", 아동학회지, 32(5), 49-63, 2011
32 이명주, "이명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하위 유형에 따른 남녀 차이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4), 459-476▒, 2006
33 공진희, 최미숙, "박은영,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의 관계", ” 열린부모교육연구, 4(2), 33-51, 2012
34 김민정, 최미경, 조수정, 도현심, 김상원,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2), 145-164, 2012
35 길혜지, 황정원,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취학 전 아동의 문제행동 차이분석,”", 육아정책연구, 11(1), 127-154, 2017
36 권혜진, 전숙영,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역량, 유아의 외현화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1(6), 79-96, 2015
37 이정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부관계, 부모성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4(3), 99-108, 2003
38 이선미, "“부모의 갈등해결행동이 아동의 우울, 불안,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한부모가정학회, 1, 1-19, 2008
39 양혜정, 한인숙, "“부부갈등 및 부모 양육행동과 유아기 자녀 문제행동의 종단적관계”", 한국기독교상담학회, 26(3): 287-317, 2015
40 박정덕,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1 최항준, "유아의 기질,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차이 및 영향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4, 23-52, 2017
42 김민정, 이희연, 이미나, "“유아의 기질과 또래 및 교사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1), 703-723, 2018
43 양은호,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2
44 조복희, "?이진숙?이홍숙?권희경,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1999
45 이주영, "“유아와 어머니의 기질 프로파일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련성 검증,”",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3), 801-822, 2012
46 류관열,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3(3), 289-298, 2014
47 권수진, 이상희, 오새니,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변인 연구: 유아변인, 어머니변인, 또래관계변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4), 385-406, 2016
48 박애리, "부모간의 폭력노출 및 학대 받은 경험이 아동의 공격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학연구, 21(10), 503-528, 2014
49 김소영, 홍세희,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의 시간에 따른 변화 추정과 이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유아교육연구, 35(4), 301-317, 2015
50 김영희, 정태숙, "“아동기 자녀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1), 75-103, 2019
51 여종일, "“아버지의 우울증상 및 가족관계가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1(3), 333-351, 2015
52 설희정, 송하나, "“어머니와 아버지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연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8), 154-154, 2015
53 이정윤, 장미경,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 자녀양육 비합리적 사고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9(2), 1-16, 2009
54 김대광, 김영희, "“부모요인이 유아의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유아교육복지학회, 21(3), 255-282, 2017
55 최윤희, "“정서 및 행동 문제를 나타내는 유아에 대한 연구 동향 및 문제행동 분석,”", 특수교육, 4(1), 105-133, 2005
56 김아연,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 간의 종단적 교류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57 권정윤,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문제행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1-19, 2007
58 박진아, 이경숙, 신의진, "“모-자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549-566, 2009
59 남예지, 홍세희, 정윤화, 봉초운, "“잠재전이모형을 적용한 중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 변화와 영향 요인 분석”", 청소년학연구, 25(6), 1-25, 2018
60 강지현, 박찬경,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문제행동간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 교육종합연구, 11(4), 1-22, 2013
61 김영희, 장진영, 김진희,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 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2(2), 79-107, 2011
62 김린, "어머니의 침해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 기질이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3 윤혜미, 최문정, "어머니 우울과 부부갈등이 방임을 매개로 하여 유 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7, 21-44, 2006
64 김정림, 이은정, "“유아의 부정적 정서적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4), 95-113, 2014
65 김민정, 도현심, 김지윤, "“부부갈등과 유아의 기질 및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133-150, 2008
66 박현진, 정정희, 이효림, "“유아의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놀이성의 영향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4(4), 245-267, 2019
67 이찬숙, 현은자,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변인과 부모양육태도", 유아교육연구, 28(3), 51-70, 2008
68 임현주, "유아의 성별에 따른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 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학회, 35(2), 97-115, 2015
69 김미나, 이완정, "“비빈곤가정과 빈곤가정 유아의 문제행동 발달궤적과 학습준비도 및 학교적응,”",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2), 157-165, 2018
70 임현주,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변인 군집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6), 5-27, 2016
71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72 김명희, 정미경, "“어머니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지, 41(8), 124-137, 2003
73 김미숙, 문혁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 25-35, 2005
74 김수정, 정익중, "“컴퓨터, 전자게임, 스마트폰 사용이 유아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0(20), 157-176, 2016
75 성은현,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부부갈등, 우울과 유아기 자녀의 공격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윈 청구논문, 2018
76 김정은, "부부갈등,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과 학대 및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77 최창용, "영유아기 양육환경이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78 김민정, 도현심,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149-166, 2001
79 강윤경, 홍세희, 김지원,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장애와 고용, 29(1), 35-60, 2019
80 노보람, 최나야, 박혜준, 박새롬, "“일반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유형, 예측요인 및 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 유아특수교육연구, 18, 175-201, 2018
81 강지현, 박미진, "“유아의 기질, 부부갈등, 부모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 행동장애연구, 28(4). 331-352, 2012
82 문혁준, 윤영현,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8(10, 29-46, 2008
83 고인숙, 이정숙,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의 경향 및 유아 문제행동의 일반적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6(9), 33-45, 2008
84 송명숙,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우울과 부부갈등, 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8(4), 39-56, 2016
85 우수정,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6(2), 27-40, 2016
86 문혁준, 임미지, "“유아의 의도적 통제, 부부갈등, 부모역할 지능과 유아의 내재화및 외현화 문제행동,”", 인간발달연구, 21(1), 159-179, 2014
87 임선아, 임효진, "“어머니의 양육관련변인과 유아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차이,”", 한국영유아보육학, 90, 159-184, 2015
88 문혁준, 홍현재,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2(4)24-274, 2013
89 김영희, 박종실, 김유선, "“부모의 부부갈등, 우울,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15(1), 135-155, 2018
90 강지현, "“어머니와 교사가 보고한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발달 경로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 교육치료연구, 8(2), 291-310, 2016
91 김민정, 최미경, 도현심, "신나나, “부모공동양육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불안 및 과잉행동 간의 관계",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25-39, 2013
92 두정일, 이정숙,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2), 1-17, 2008
93 강지현, 오경자,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1), 1-21, 2011
94 이지예, "아버지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 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5 문성희, "유아의 일상생활과 아버지 양육행동 및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96 장영숙, 조정애,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의 성별, 연령, 기질 및 교사기질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97-119, 2000
97 송하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정서표현성, 아동의 내면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7(3), 1-15, 2010
98 송민정, 한세영,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5), 117-127, 2011
99 김영희, 조미영, 정미경,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 정서조절 그리고 어머니의 언어통제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211-237, 2010
100 허청아·배현진, "허청아 배현진,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분석,”", 아동학회지, 39(1), 19-33, 2018
101 김염춘, 장영애, "한국과 중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4(1), 99-118, 2013
102 김염춘, "한국과 중국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3 김혜금, 조혜영,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 자아 인식 및 양육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6), 1-14, 2015
104 강지현, "유아기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의 발달경로 유아의 기질과 부모양육행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05 임선아,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또래상호작용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유아교육연구, 39(1), 5-22, 2019
106 김선미, 김영희,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증상과 수면의 질 이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복지연구, 19(3), 219-243, 2015
107 김정은, 박현선, 박지명, "“부모의 학대와 자녀의 공격성의 종단적 상호인과 관계: 빈곤 및 비빈곤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9, 1-24, 2014
108 서은희, 이미숙, "“유아의 활동성 기질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어머니-유아 관계,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27-46, 2012
109 김춘경, 조민규,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관계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6, 33-56, 2017
110 하문선, "하문선, “아동기 부정적 정서성과 문제행동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 학습자증심교과교육연구, 18(22), 699-725, 2018
111 김춘경, 조민규,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171-195, 2015
112 최정아,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및 개인, 부모, 또래 영향요인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0(3), 431-455, 2012
113 이소연, 최정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내재화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의 다중매개효과,”", 정서 행동장애연구, 33(3), 151-171, 2017
114 이영자, 장영애,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3), 183-205, 2012
115 정주연, "유아기질과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16 안혜진,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관계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931-951, 2018
117 도현심, 윤지원, "“유아의 기질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5, 51-77, 2018
118 김선희,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 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8(5), 317-338, 2014
119 최미나·신나나, "최미나 신나나,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 보육지원학회지, 11(2), 283-310, 2015
120 김종훈, 성지현,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가정 및 기관에서의 문제행동 개인 차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6), 391-410, 2014
121 이형민, "부부갈등이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 니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 119-136, 2015
122 유수옥, 이순자,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관련 변인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총론, 16(6), 127-156, 2012
123 연은모, 최효식,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긍긍정적 양육태도 간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유아교육학 논집, 18(6), 5-30, 2014
124 오경자, 이민식,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4), 727-745, 2000
125 김미정, 조수경, 김숙령, "“어머니의 심리특성과 부부관계특성이 영아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아버지부부관계특성을 매개효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05-124, 2014
126 김성령,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6
127 김선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내재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다변량잠재성장 모형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5), 421-446, 2016
128 김정란, 이은희,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본인의 우울수준 및 자 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역기능적 태도와 부부갈등의 매개역 할", 한국심리학회지, 19(2), 297-319, 2007
129 노보람, 최나야, 박혜준, 박새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궤적과 영유아의 기질 및 내재화행동문제의 구조관계: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집단분석", 육아정책연구, 9(1), 119-148, 2018
130 최혜란, "유지아 김선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 한국콘텐츠학회, 17(3), 15-30, 2017
131 강지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한 아동의 기질 유형에 따른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차이: 부모와 교사 평가를 중심으로,”",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0, 15-34, 2019
132 전숙영,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공격성-학령 후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8(1), 1-19, 2015
133 박혜원,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영향을 미치는 경로: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매개변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34 공영숙, 임지영,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2), 351-375, 2012
135 우애리,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 유아의 의도적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36 신나리, 최정희, "“영아기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기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인간발달연구, 25(3), 521-71, 2018
137 김소영, 홍세희, "“외국인 학부모의 문화적응유형 프로파일이 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미치는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조사연구, 20(3), 1-32, 2019
138 문보경, 이정숙,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서조절방략이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기질 하위요인들에 따른 군집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6(1), 81-97, 2011
139 강영식, 김정겸,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 행동 관련 유아의 문제행동 변화 연구 추이 및 유형에 대한 종단적 탐색연구: 1970~2015년까지의 연대별 문제행동 범주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0), 6722-674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