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모기업의 친환경 공급망 관리 활동이 협력기업의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상호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친환경 공급망 관리에 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79323
2012
Korean
친환경 공급망 관리 ; 모기업 ; 협력기업 ; 환경성과
453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24(2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모기업의 친환경 공급망 관리 활동이 협력기업의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상호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친환경 공급망 관리에 관...
본 연구는 모기업의 친환경 공급망 관리 활동이 협력기업의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상호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친환경 공급망 관리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모기업의 협력기업 중1차 부품업체를 표집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협력기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대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기업의 친환경 공급망 관리 활동, 즉 환경기준, 녹색구매, 파트너쉽, 환경 교육활동이 협력기업의 환경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변수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다. 특히, 파트너쉽은 협력기업의 환경성과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모기업과 협력기업의 강한 신뢰, 모기업의 친환경 정책 및 협력 지원 활동이 협력기업의 환경성과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연구는 친환경 공급망 관리 활성화를 위해서 모기업과 협력기업간의 상생협력이 중요하며, 모기업은 협력기업의 환경성과 창출 및 개선을 위해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환경 지원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실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규, "활금주 친환경 공급망 관리가 중소 기업의 환경 활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17 (17): 96-99, 2008
2 김지환, "환경친화적 공급망관리 경영의 개요와 기업의 대응 방안" 삼성지구환경연구소 3-6, 2001
3 김상오, "환경경영이 환경성과와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생산관리학회 20 (20): 33-61, 2009
4 김자경, "환경경영의 이해" 두남 85-207, 2007
5 이규태, "환경경영시스템 이론과 실제" 상학당 65-, 2006
6 정헌배, "환경경영 전략" 규장각 18-41, 1995
7 산업자원부, "환경경영 실태 및 확산방안" 산업자원부 65-67, 2002
8 이병욱, "환경경영" 에코 리브르 18-423, 2005
9 환경부, "환경 백서" 환경부 131-594, 2009
10 민혁기, "환경 규제 준수의 경제적 효과 분석" 산업연구원 20-21, 2010
1 김남규, "활금주 친환경 공급망 관리가 중소 기업의 환경 활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17 (17): 96-99, 2008
2 김지환, "환경친화적 공급망관리 경영의 개요와 기업의 대응 방안" 삼성지구환경연구소 3-6, 2001
3 김상오, "환경경영이 환경성과와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생산관리학회 20 (20): 33-61, 2009
4 김자경, "환경경영의 이해" 두남 85-207, 2007
5 이규태, "환경경영시스템 이론과 실제" 상학당 65-, 2006
6 정헌배, "환경경영 전략" 규장각 18-41, 1995
7 산업자원부, "환경경영 실태 및 확산방안" 산업자원부 65-67, 2002
8 이병욱, "환경경영" 에코 리브르 18-423, 2005
9 환경부, "환경 백서" 환경부 131-594, 2009
10 민혁기, "환경 규제 준수의 경제적 효과 분석" 산업연구원 20-21, 2010
11 이영찬, "혁신확산이론 관점에서의 Green SCM 도입 및 영향요인과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11 (11): 59-78, 2010
12 김창봉, "친환경활동이 공급체인성과와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2 (12): 257-277, 2010
13 박찬권, "친환경공급사슬관리(SCEM)의 선행요인과 성과 간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14 안중우, "친환경 제품 설계" 동화기술 15-18, 2005
15 이정희, "친환경 공급사슬관리가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16 이용근, "친환경 공급사슬관리(SCEM)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물류학회 20 (20): 99-125, 2010
17 김영주, "친환경 공급사슬 관리 : 동인, 유형 및 성과" 한국과학기술원 2005
18 고현정, "친환경 공급 사슬 관리의 중요성 대두" 한국 해양 수산 개발원 11-12, 2007
19 민경호, "친환경 경영의 실제" 무역 경영사 18-363, 2010
20 장기윤, "지속가능한 산업 발전을 위한 친환경 공급망 관리 활용 방안" 4 (4): 13-14, 2004
21 지속가능 발전 기업 협의회, "지속가능경영 프레임워크와 우수 사례" 지속가능 발전기업협의회 34-, 2011
22 국제 환경규제 기업 지원센터, "주요 국제 환경협약 및 환경 규제" 환경규제 센터 8-, 2010
23 문수백, "연구방법의 실제" 학지사 57-58, 2010
24 한국 환경산업기술원, "산업계 녹색구매 2011 성과 보고서" 환경산업기술원 50-51, 2011
25 박영규, "기업의 환경기술전략" 대웅 12-32, 1999
26 환경부, "기업 환경 실태조사" 환경부/친환경상품 진흥원 14-, 2007
27 지속가능 경영원, "국내 환경정책 선진화를 위한 국가간 비교 연구" BISD 22-, 2008
28 한동철, "공급 사슬 관리" SCM SIGMA INISIGHT 17-, 2002
29 Lippmann,S., "Supply chain environmental management : elements for success" Corporate environmental strategy 176-178, 1999
30 Narasimhan, R., "Environmental supply chain management, Tempe" Center for advanced purchasing studies 6-, 1998
31 Zsidisim, G., "Environmental purchasing : A frame work for theory development" 7 (7): 69-, 2001
32 KOTRA, "EU 환경 신기술에서 배운다" KOTRA 14-15,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