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신어 대조 연구 - 신어 형성 요소 ‘개’와 ‘it’의 대상으로 - = Research on Contrasting Korean and Uzbek Neologisms: ‘gae’ and '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04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의 ‘개’와 우즈베크어의 ‘it’을 대조하여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학습자의 언어 사용에서 발생하는오류를 줄이는 데 이차적인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개’와 우즈베크어의 ‘it’는 동물의 명칭인 ‘개’[犬]에서유래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 ‘개’와 ‘it’는 부정적 의미는 물론 최근에는 긍정적 의미에도 쓰인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차이점은 한국어의 ‘개’는 의존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지만, 우즈베크어의 ‘it’는부사적인 용법을 보인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신어 형성 요소 ‘개’ 와 ‘it'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신어의 사용에 대한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어의 ‘개’와 우즈베크어의 ‘it’을 대조하여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학습자의 ...

      이 연구는 한국어의 ‘개’와 우즈베크어의 ‘it’을 대조하여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학습자의 언어 사용에서 발생하는오류를 줄이는 데 이차적인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개’와 우즈베크어의 ‘it’는 동물의 명칭인 ‘개’[犬]에서유래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 ‘개’와 ‘it’는 부정적 의미는 물론 최근에는 긍정적 의미에도 쓰인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차이점은 한국어의 ‘개’는 의존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지만, 우즈베크어의 ‘it’는부사적인 용법을 보인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신어 형성 요소 ‘개’ 와 ‘it'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신어의 사용에 대한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섭, "휴지(pause)의 역할에 대한 반성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28) : 67-87, 2007

      2 강희숙, "통신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 - 접두사 ‘개-’의 용법을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61) : 61-87, 2012

      3 이정복, "통신 언어 문장종결법의 특성" 22 : 123-151, 2001

      4 김정선 ; 이필영 ; 김태경 ; 이삼형 ; 장경희 ; 전은진,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유행어·은어 사용 실태" 한국언어문학회 (77) : 285-324, 2011

      5 전은진 ; 이삼형 ; 김정선 ; 김태경 ; 이필영 ; 장경희, "청소년 글말 사용에 나타난 언어폭력과 규범 파괴" 한국언어문화학회 (51) : 229-254, 2013

      6 김덕신, "접두사화에 나타난 의미변화 연구 접두사 ‘개-, 풋-, 참-’을 중심으로-" 44 : 567-584, 2000

      7 홍달오, "접두사의 준부사화 경향에 대한 고찰 -접두사 ‘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231-249, 2014

      8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와청소년 언어문화" 한국문화사 2006

      9 임현열, "신조어에서 나타나는 어형 변화의 한 양상 - 정도부사 ‘캡(캐>개’의 변화를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63 : 111-136, 2015

      10 박대아, "신조어 ‘개’의 문법적 지위와 변화에 대하여" 한국학연구소 (71) : 69-96, 2019

      1 안병섭, "휴지(pause)의 역할에 대한 반성적 검토" 우리어문학회 (28) : 67-87, 2007

      2 강희숙, "통신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 - 접두사 ‘개-’의 용법을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61) : 61-87, 2012

      3 이정복, "통신 언어 문장종결법의 특성" 22 : 123-151, 2001

      4 김정선 ; 이필영 ; 김태경 ; 이삼형 ; 장경희 ; 전은진,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유행어·은어 사용 실태" 한국언어문학회 (77) : 285-324, 2011

      5 전은진 ; 이삼형 ; 김정선 ; 김태경 ; 이필영 ; 장경희, "청소년 글말 사용에 나타난 언어폭력과 규범 파괴" 한국언어문화학회 (51) : 229-254, 2013

      6 김덕신, "접두사화에 나타난 의미변화 연구 접두사 ‘개-, 풋-, 참-’을 중심으로-" 44 : 567-584, 2000

      7 홍달오, "접두사의 준부사화 경향에 대한 고찰 -접두사 ‘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231-249, 2014

      8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와청소년 언어문화" 한국문화사 2006

      9 임현열, "신조어에서 나타나는 어형 변화의 한 양상 - 정도부사 ‘캡(캐>개’의 변화를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63 : 111-136, 2015

      10 박대아, "신조어 ‘개’의 문법적 지위와 변화에 대하여" 한국학연구소 (71) : 69-96, 2019

      11 전은진 ; 이삼형 ; 김정선 ; 김태경 ; 이필영 ; 장경희, "문자 언어에 나타난 청소년 언어 실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3) : 371-406, 2011

      12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13 노명희, "국어의 탈문법화 현상과 단어화" 국어학회 (67) : 107-144, 2013

      14 이현희, "국어 접사 범주에 관한 연구 : 접사와 인접 범주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5 손평효, "‘개-’의 생산성과 범주 설정의 문제 -신어 ‘개+X’ 유형을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39) : 86-116, 2014

      16 Ismoilov G., "Zookomponentli frazeologik birliklarning etnomadaniy hususiyatlari, O'zbek tilshunosligining dolzarb masalalari" Tashkent 76-79, 2013

      17 Shabanov J, "Uy hayvonlarining nomiga asoslangan maqollarning tarjimada berilishi" Tashkent 68-81, 2014

      18 Salimova Z., "Turkiy tillarda zoofrazeologik birliklar vositasida inson obrazini yaratish" 2 (2): 735-740, 2022

      19 Khudoyberdieva Z, "O'zbek va Koreys tillarida neologizmlarning vujudga kelishida fan-texnika taraqqiyotining o'rni, Sharq tillarini o’qitishning dolzarb masalalari"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