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통치 이념은 朱子學이었고, 그 주자학은 사상적 획일성 또는 純血性에 집착하는 과정에서 ‘權力’이 되었다. 이 배타적 권력의 이념적 통제의 감각 장치는 불교․도교 등 여타 敎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89912
김학수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Korean
No Su-sin ; Yi Hwang ; Ryu Seong-ryong ; Jeong Gyeong-se ; Yi Jun ; Toegye School ; Sojae Academinc line ; Donam Confucian Academy ; 盧守愼 ; 李滉 ; 柳成龍 ; 鄭經世 ; 李埈 ; 退溪學派 ; 穌齋學脈 ; 道南書院
KCI등재
학술저널
111-159(4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의 통치 이념은 朱子學이었고, 그 주자학은 사상적 획일성 또는 純血性에 집착하는 과정에서 ‘權力’이 되었다. 이 배타적 권력의 이념적 통제의 감각 장치는 불교․도교 등 여타 敎學...
조선의 통치 이념은 朱子學이었고, 그 주자학은 사상적 획일성 또는 純血性에 집착하는 과정에서 ‘權力’이 되었다. 이 배타적 권력의 이념적 통제의 감각 장치는 불교․도교 등 여타 敎學 체계는 물론 유학 내부로까지 깊숙하게 침투하여 작동하였다. 그 선봉에 그들에 의해 ‘동방의 주자’로 예칭되었던 이황이 嚴峻하게 자리하고 있었다.
노수신의 학문은 刻苦의 산물이었지만 그 내용은 질실했고, 그 쓰임은 輔君․經世를 목표로 했다. 그러나 그의 학문은 16세기 중엽 조선 학계의 宗主 李滉으로부터 배척을 받았고, 그 배척은 하나의 烙印이 되어 이황의 후학들에게 대물림되었다.
이 글은 같은 퇴계연원이었지만 盧守愼에 대한 인식은 사뭇 달랐던 정경세와 이준의 시선을 ‘비판적 흡수론’과 ‘계승적 변호론’으로 분절하여 검토한 것이다. 이성형제로까지 일컬어졌던 두 사람은 노수신에 관한 사안에서만큼은 왜 더없이 긴장했던 것일까? 그것은 주자학 또는 퇴계학의 純血性을 강조했던 권위론과 작은 허물보다는 큰 성과에 착목해야 함을 역설했던 절충론의 충돌에서 기인했고, 17세기 초반 영남학계는 후자를 결코 용인하지 않았다. 절충론 내지 변호론의 좌절은 이황의 권위에 대한 숙임의 과정이었고, 그 종착점은 퇴계학의 권력화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verning ideology of Joseon was Neo-Confucianism, and it became "power" in the process of obsessing over ideological uniformity or pure blood. This sense of the ideological control of exclusive power penetrated deeply into other systems of educat...
The governing ideology of Joseon was Neo-Confucianism, and it became "power" in the process of obsessing over ideological uniformity or pure blood. This sense of the ideological control of exclusive power penetrated deeply into other systems of education and scholarship, such as Buddhism and Taoism, as well as into the Neo-Confucianism. At the vanguard, Yi Hwang, who was given the title of honor as ‘Zhu Xi in the East’, stayed solemnly.
No Su-sin’s studies were a product of a great deal of effort but the contents were simple and sincere, and the use of his studies were aimed at aiding the king and the statecraft. However, his studies were ostracized by Yi Hwang, the scholarly forefather of the late 16th century Joseon. and this exclusion was branded passed on to Yi Hwang’s younger scholars.
The article is based on two different viewpoints of Jeong Gyeong-se and Yi Jun, both who have their origin in Toegye studies―critical absorption theory of Jeong Gyeong-se and successional defense theory of Yi Jun. Why were the two men, who were even referred to as brothers, so nervous about the issue of No Su-sin? It was due to the clash of authority that emphasized the purity of Neo-Confucianism or Toegye studies and the compromise which stressed the need for great achievement rather than small ruin and the Yeongnam School of the early 17th century never tolerated the latter. The breakdown of theory of compromise or defense was the process of submission to Yi Hwang’s authority, and its end point was the thriving of Toegye studies.
참고문헌 (Reference)
1 "廬江志"
2 尹宣擧, "魯西遺稿"
3 김학수, "조선시대의 사회와 사상" 조선사회연구회 1998
4 김광순, "소재 노수신 연구-문학․정치․사상을 중심으로" 경북대 퇴계연구소 17 : 1989
5 趙靖, "黔澗集"
6 李宜顯, "陶谷集"
7 김학수,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영남문화연구원 (17) : 75-111, 2010
8 柳成龍, "西厓集"
9 柳成龍, "西厓集"
10 李埈, "蒼石集"
1 "廬江志"
2 尹宣擧, "魯西遺稿"
3 김학수, "조선시대의 사회와 사상" 조선사회연구회 1998
4 김광순, "소재 노수신 연구-문학․정치․사상을 중심으로" 경북대 퇴계연구소 17 : 1989
5 趙靖, "黔澗集"
6 李宜顯, "陶谷集"
7 김학수,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영남문화연구원 (17) : 75-111, 2010
8 柳成龍, "西厓集"
9 柳成龍, "西厓集"
10 李埈, "蒼石集"
11 李埈, "蒼石續集"
12 李埈, "蒼石別集"
13 김학수, "竹牖 吳澐" 예문서원 2018
14 鄭宗魯, "立齋集"
15 盧守愼, "穌齋集"
16 趙誠乙, "穌齋 盧守慎의 學問과 政治活動"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10 : 2000
17 金覺, "石川集"
18 金坽, "溪巖日錄"
19 蔡濟恭, "樊巖集"
20 鄭佺, "松塢集"
21 尹根壽, "月汀漫筆"
22 "月川門人錄"
23 鄭經世, "愚伏別集"
24 "愚伏先祖別集營刊時文蹟"
25 朴承任, "嘯皐集"
26 강정화, "后溪 金範의 學問性向과 士意識"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10 : 2000
27 柳袗, "修巖集"
28 沈喜壽, "一松集"
29 김학수, "16~17세기 사림계의 ‘晦齋認識’, 인류의 평화공존과 번영-주자와 회재에게 길을 묻다" 2018
16~18세기 문경 近嵒書院의 변천-조선후기 서원 변천의 한 사례-
穌齋 盧守愼과 晦齋 李彦迪, ‘心學’으로 맺은 학문 세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23 | 통합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6 | 1.36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