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를 분석하고, 설화에서 창작동화로, 다시 애니메이션으로의 변용과정을 거치면서 원화(原話) 혹은 원작의 본래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그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44472
2010
Korean
오세암 ; 설화 ; 아동문학 ; 아동문화콘텐츠 ; 애니메이션 ; 변용 ; 융 ; 분석심리학 ; 자기실현 ; Oseam ; Folk Tale ; Children`s Literature ; Children`s Cultural Contents ; Animation ; Modification ; Carl Gustav Jung ; Analytical Psychology ; Self-realization
810
KCI등재
학술저널
351-396(4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를 분석하고, 설화에서 창작동화로, 다시 애니메이션으로의 변용과정을 거치면서 원화(原話) 혹은 원작의 본래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그것...
이 논문은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를 분석하고, 설화에서 창작동화로, 다시 애니메이션으로의 변용과정을 거치면서 원화(原話) 혹은 원작의 본래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그것이 작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탐색하기 위해 쓰였다. 설화에서는 `스님과 조카’, `어머니와 관세음보살’, 숫자 `5`와 `아이’, `눈’과 `암자’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다섯 살 배기 아이가 명승(名僧)인 스님과 분리되어 `성불(成佛)`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아가 페르조나로부터 분리되어 ‘본연의 나’를 찾는 ‘자기실현’의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동화에서는 설화의 원형을 보존하면서도 ‘동화’라는 장르에 맞게 아이의 성격을 확고히 하여 스님과 대립구도를 형성함으로써 흥미를 유지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자기실현’에 ‘어머니’라는 또 하나의 지향점이 추가됨으로써 이야기의 흐름이 분산되었으며, ‘어머니와의 분리’를 전제로 성숙을 이루는 아동문학의 규범적인 서사구조가 구현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동화와 애니메이션이라는 두 변용물의 차이점을 스토리 비교에서 찾지 않고, 원 소스인 설화에 대한 심리적 접근을 통해 근원적인 이유를 탐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se the deep meaning of the folk tale `Oseam`, to explore how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ale or work was changed through modification process from folk tale to children`s story and from children`s story to animation and ...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se the deep meaning of the folk tale `Oseam`, to explore how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ale or work was changed through modification process from folk tale to children`s story and from children`s story to animation and to explore how the change affected the creative fairy tale and animation. In folk tale,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monk and nephew`, `mother and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number `5` and `child` and `snow` and `hermitage`, this paper interpreted the process `attaining Buddhahood` after five-year-old child is separated from monk as the one of `self-realization` that ego is separated from persona and searches `true self`. In fairy tale, this paper grasped that the fairy tale preserved the archtype of the folk tale, revealed the personality of child suitable to the genre `fairy tale` and maintained the interest in the conflicting design with monk. In animation,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re was no inconsistency by adding another intention point `mother` to `self-realization` and that the canonical epic structure of children`s literature, namely maturity premised on `separation from mother` was not realiz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ces of this paper are that it didn`t find the difference of modification works such as the children`s story and the animation into the comparison of the story and investigated the deep reason by psychologically accessing to the original source `folk tal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경, "「한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가족관계 비교분석 연구-부모와 그 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5
2 이종호, "「오세암」 모티프의 장르ㆍ매체별 서사학적 비교 연구"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245-298, 2009
3 王弼, "老子" 台北 11-12, 1964
4 레이조스 에그리, "희곡작법" 청하 25-66, 2003
5 한국불교연구원, "한국의 사찰 14" 일지사 78-81, 1978
6 최상수, "한국민족전설집" 통문관 428-429, 1984
7 박성철, "정채봉 동화 <오세암>과 애니메이션 <오세암>비교연구" 부산교육대학교 2008
8 융, "인간과 상징" 1-229,
9 한동석, "우주변화의 원리" 대원출판 54-143, 2003
10 권오호, "우리문화와 음양오행" 교보문고 15-24, 1996
1 김유경, "「한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가족관계 비교분석 연구-부모와 그 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5
2 이종호, "「오세암」 모티프의 장르ㆍ매체별 서사학적 비교 연구"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245-298, 2009
3 王弼, "老子" 台北 11-12, 1964
4 레이조스 에그리, "희곡작법" 청하 25-66, 2003
5 한국불교연구원, "한국의 사찰 14" 일지사 78-81, 1978
6 최상수, "한국민족전설집" 통문관 428-429, 1984
7 박성철, "정채봉 동화 <오세암>과 애니메이션 <오세암>비교연구" 부산교육대학교 2008
8 융, "인간과 상징" 1-229,
9 한동석, "우주변화의 원리" 대원출판 54-143, 2003
10 권오호, "우리문화와 음양오행" 교보문고 15-24, 1996
11 마리아 니콜라예바, "용의 아이들" 문학과 지성사 1-143, 1998
12 브루노 베텔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1" 시공주니어 97-, 1998
13 임운주, "애니메이션 플롯에 관한 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2006
14 김윤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홍익대학교 2003
15 박영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선과 악의 이미지 표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04
16 박기수, "애니메이션 서사구조와 전략" 논형 334-, 2004
17 정소은, "애니메이션 <오세암>의 아동매체로서의 의미분석" 성균관대학교 2004
18 조미라, "애니메이션 <오세암>과 <반딧불의 묘>의 서사연구 : ‘죽음’에 이르는 결말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애미에니션학회 7 : 182-205, 2003
19 이부영, "분석심리학-C.G.Jung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1998
20 리 와인담, "동화 쓰는 법" 보성사 75-, 1994
21 노제운, "동화 속의 숨은그림 찾기-정체봉의 <오세암>과 권정생의 <강아지똥> 분석" 안암어문학회 38 : 178-194, 1998
22 김용상, "동화 <오세암>과 애니메이션 <오세암>의 비교연구" 원광대 2008
23 김재호, "내러티브 상위구조와 하위구조에 따른 애니메이션 분석모형 연구" 홍익대학교 2007
24 조안 에이킨, "꿈과 상상력을 담은 동화쓰기" 백년글사랑 1-162, 2003
25 진 쿠퍼,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 상징사전" 까치 122-, 1996
26 김중곤, "道印" 삼보출판사 314-333, 2005
27 이지, "童心說, in: 분서 Ι" 한길사 522-, 2004
28 한정섭, "佛敎說話大事典(下)" 관음신앙 646-650,
29 한정섭, "佛敎說話大事典 下" 어화문화출판사 50-51, 1992
30 "‘애니메이션 <오세암>, 동화책과 만화책 동시 출간!’, 코아필름"
31 "‘애니 ‘오세암’ 국제영화제 관객상 수상’, 강원일보" 2005
32 "‘애니 100만 관객시대 기다리며’, 디지털타임스"
33 "‘[한국의 힘] ‘대박’ 환상 깨고 2-3년 기다려라.’, 경향신문"
34 "‘<오세암> 프랑스 안시 애니페스티벌 대상!’, 코아필름"
35 "‘<오세암> 성백엽 감독-달라진 것은 없다. 그래도 희망은 버리지 않는다.’, 맥스무비매거진"
36 "‘<오세암> 감독, 꿈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겨레신문"
37 "http://www.koreafilm.co.kr/news/news"
38 이부영, "Jung의 모성상과 모성콤플렉스론" 2 (2): 73-88, 1987
39 Maria Nikolajeva, "Children's Literature Comes of Age" Garland Publishing, Inc. 47-59, 1996
40 김종민, "<오세암>의 생산적 수용양상 연구" 청주대학교 2005
41 이상원, "<오세암>애니메이션의 영상표현 연출 분석과 한국 애니메이션의 발전방안"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408-417, 2003
42 안미영, "<오세암> 이야기의 변천과정과 인물의 성격 변화 - 설화 및 동화와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어린 아이'의 형상화 고찰" 한국비교문학회 (33) : 35-57, 2004
43 "'2004년 한국 애니메이션산업 주요 이슈’, 문화콘텐츠진흥원-KOCCA, 『2004 애니메이션산업백서』"
2000년대 텔레비전 추리 드라마의 특징 -심리적 요소의 활용을 중심으로-
초기 한민족 형성기의 차자 표기 자료를 통해 살펴본 한민족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6 | 1.16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2 | 1.77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