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성과 음운을 통해 본 한국의 악기 구음 = A Study on the Gueum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rough phonetics and pho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2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음성과 음운을 활용하여 국악기 구음을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국악기 구음의 원리와 체계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악기 구음 초성은 자음의 조음위치를 기준으로 치조음과 연구개음이 주로 사용되며, 조음방법을 기준으로 파열음과 마찰음, 비음, 유음 등에서 사용된다. 거문고와 피리 같은 선율악기 구음은 주로 조음방법을 기준으로 주법 등을 구별하며, 비선율 악기인 타악기 구음은 조음방법보다 조음위치를 주법 구분의 기준으로 더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거문고와 피리, 장구 구음의 중성은 대부분 후설모음을 사용하지만, 꽹과리는 전설모음만 사용한다. 이는 장구와 꽹과리는 모두 타악기 계통의 악기이지만, 악기 재질도 다르고 채편과 궁편의 양쪽을 사용하는 장구와 달리 한쪽만 주로 사용하는 꽹과리의 주법이 구분되기 때문에 모음으로 이를 구별하려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거문고나 피리같이 선율을 연주하는 악기들은 여섯 가지 이상의 다양한 모음을 사용하지만, 비선율 악기인 장구와 꽹과리는 세 가지 이하의 모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국악기 구음의 종성은 현악기와 타악기에서 주로 나타나며, 관악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악기인 거문고는 조음위치의 연구개음과 조음방법의 비음에서 제한적으로 받침을 사용하지만, 타악기는 조음위치의 치조음과 연구개음, 조음방법의 파열음, 비음 등에서 더 다양하게 받침을 활용한다.
      요컨대 음성과 음운을 통해 본 국악기 구음은 악기의 재질과 연주법, 대립 관계 등에 따라 구분되는데, 이는 다시 초성과 중성, 종성의 음소를 기준으로 서로 변별되며, 구분할 요소가 많은 선율 악기 구음은 자음보다는 모음이 더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음성과 음운을 활용하여 국악기 구음을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국악기 구음의 원리와 체계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악기 구음 초성은 자음의 조...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음성과 음운을 활용하여 국악기 구음을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국악기 구음의 원리와 체계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악기 구음 초성은 자음의 조음위치를 기준으로 치조음과 연구개음이 주로 사용되며, 조음방법을 기준으로 파열음과 마찰음, 비음, 유음 등에서 사용된다. 거문고와 피리 같은 선율악기 구음은 주로 조음방법을 기준으로 주법 등을 구별하며, 비선율 악기인 타악기 구음은 조음방법보다 조음위치를 주법 구분의 기준으로 더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거문고와 피리, 장구 구음의 중성은 대부분 후설모음을 사용하지만, 꽹과리는 전설모음만 사용한다. 이는 장구와 꽹과리는 모두 타악기 계통의 악기이지만, 악기 재질도 다르고 채편과 궁편의 양쪽을 사용하는 장구와 달리 한쪽만 주로 사용하는 꽹과리의 주법이 구분되기 때문에 모음으로 이를 구별하려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거문고나 피리같이 선율을 연주하는 악기들은 여섯 가지 이상의 다양한 모음을 사용하지만, 비선율 악기인 장구와 꽹과리는 세 가지 이하의 모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국악기 구음의 종성은 현악기와 타악기에서 주로 나타나며, 관악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악기인 거문고는 조음위치의 연구개음과 조음방법의 비음에서 제한적으로 받침을 사용하지만, 타악기는 조음위치의 치조음과 연구개음, 조음방법의 파열음, 비음 등에서 더 다양하게 받침을 활용한다.
      요컨대 음성과 음운을 통해 본 국악기 구음은 악기의 재질과 연주법, 대립 관계 등에 따라 구분되는데, 이는 다시 초성과 중성, 종성의 음소를 기준으로 서로 변별되며, 구분할 요소가 많은 선율 악기 구음은 자음보다는 모음이 더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ueum, oral pronunciation,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using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and based on that, we studied the principles and systems of gueum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itial consonants of gueum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mainly alveolar and velar sounds based on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of consonants, and appear in plosives, fricatives, nasals, and liquids based on the method of articulation. The gueum of melodic instruments such as geomungo and piri is distinguished by the method of articulation, and the gueum of percussion instruments, which are non-melodic instruments, uses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rather than the method of articulation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method of articulation.
      The neutral tones of the geomungo, piri, and janggu mostly use back vowels, but the kkwaenggwari only uses front vowels. This is because although both janggu and kkwaenggwari are percussion instruments, the material of the instrument is different, and unlike janggu that uses both chaepyeon and gungpyeon, the kkwaenggwari mainly uses one side, so it is understood that they are distinguished by vowels. In addition, while instruments that play melodies like geomungo and piri use more than six different vowels, janggu and kkwaenggwari, which are non-melodic instruments, use three or fewer vowels. In other words, string instruments and wind instruments that must distinguish multiple pitches require multiple vowels to distinguish them, but non-melodic percussion instruments that only need to distinguish rhythms us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vowels. However, even though they are both percussion instruments, like janggu and kkwaenggwari, vowels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onsonants in distinguishing the tones of the two instruments.
      The final consonan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gueum is mainly found in stringed instruments and percussion instruments, and is not used in wind instruments. The string instrument geomungo uses only the velar consonant in the articulation position and the nasal consonant in the articulation method, but percussion instruments use the alveolar consonant and velar consonant in the articulation position, and the plosive and nasal consonants in the articulation method.
      In short, the gueum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seen through phonetics and phonology is distinguished by the material of the instrument, the playing method, and the relationship of opposition, and this is again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phonemes of the initial consonant, medial vowel, and final consonant, and it was found that the vocalization of melodic instruments, which has many elements to distinguish, is more important based on vowels than on consonan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ueum, oral pronunciation,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using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and based on that, we studied the principles and systems of gueum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ueum, oral pronunciation,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using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and based on that, we studied the principles and systems of gueum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itial consonants of gueum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mainly alveolar and velar sounds based on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of consonants, and appear in plosives, fricatives, nasals, and liquids based on the method of articulation. The gueum of melodic instruments such as geomungo and piri is distinguished by the method of articulation, and the gueum of percussion instruments, which are non-melodic instruments, uses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rather than the method of articulation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method of articulation.
      The neutral tones of the geomungo, piri, and janggu mostly use back vowels, but the kkwaenggwari only uses front vowels. This is because although both janggu and kkwaenggwari are percussion instruments, the material of the instrument is different, and unlike janggu that uses both chaepyeon and gungpyeon, the kkwaenggwari mainly uses one side, so it is understood that they are distinguished by vowels. In addition, while instruments that play melodies like geomungo and piri use more than six different vowels, janggu and kkwaenggwari, which are non-melodic instruments, use three or fewer vowels. In other words, string instruments and wind instruments that must distinguish multiple pitches require multiple vowels to distinguish them, but non-melodic percussion instruments that only need to distinguish rhythms us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vowels. However, even though they are both percussion instruments, like janggu and kkwaenggwari, vowels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onsonants in distinguishing the tones of the two instruments.
      The final consonan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gueum is mainly found in stringed instruments and percussion instruments, and is not used in wind instruments. The string instrument geomungo uses only the velar consonant in the articulation position and the nasal consonant in the articulation method, but percussion instruments use the alveolar consonant and velar consonant in the articulation position, and the plosive and nasal consonants in the articulation method.
      In short, the gueum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seen through phonetics and phonology is distinguished by the material of the instrument, the playing method, and the relationship of opposition, and this is again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phonemes of the initial consonant, medial vowel, and final consonant, and it was found that the vocalization of melodic instruments, which has many elements to distinguish, is more important based on vowels than on consona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